• 제목/요약/키워드: Self-Control Efficacy

검색결과 1,052건 처리시간 0.029초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Resilient Parenting Program)

  • 양옥경;김연수;권자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143-17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만족감을 증진시키며, 가족관계를 향상하여 가족의 긍정적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매 2시간씩, 총 8회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부모역할 만족도, 양육효능감, 그리고 가족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 사후조사, 그리고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가 각각 실시되었으며,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상자들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부모역할에 대한 일반적 만족도, 자녀양육에 대안 효능감과 전반적 양육능력, 학습지도능력, 그리고 가족관계와 가족 간 수용존중능력 영역에서 유의미한 양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고 알 수 있으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모역할능력을 강화하고 가족기능을 증진하는 사회복지실천의 도구로서 유용성이 있다고 알 수 있다.

  • PDF

청소년기 흡연의사결정-유혹 유형과 유형별 흡연 관련 특성 (Types of Smoking Decision Making-Temptation in Adolescents and Related Characteristics)

  • 장성옥;송준아;이수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0-70
    • /
    • 2008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ypes of smoking decision making-temptation in adolescent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type among student smokers. Method: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March to July. 2006. A survey was administered to 275 students in 13 high schools and 15 middle schools in Seoul, South Korea. To identify types and characteristics smoking decision making-temptation in adolescents, cluster analysis using the K-mean method was employed. Characteristics of the influenti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identified types of adolescent smokers were evaluated using ANOVA. Results: Four types of smoking pattern in adolescents were identified: habitual craving (17.7%), nicotine dependence (35.8%), feeblemindedness (28.4%), and self control (18.1%). The score for nicotine dependency was higher in the habitual craving type than any other type (F=11.79, p=.001), while the score for self efficacy for smoking abstinence was higher in the self control type (F=23.06, p=.000). Conclusions: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effective interventions for smoking cessation in adolescents require not only active implementation of nicotine replacement therapy but also development of individualized approaches for each person targeting change in the social environment that may lead to positive smoking decisional balance.

  • PDF

지역사회 거주 남성노인을 위한 치매 돌봄 프로그램 효과 (The Development and Effect of a Dementia Care Support Program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 고하나;박연환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81-93
    • /
    • 2020
  • Purpose: We developed and tested the effects of a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among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and post-test desig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26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used multiple intervention strategies including improving understanding of dementia through education, activities for dementia prevention, and promoting psychological change. In particular, based on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he care of the men older adults, we used strategies to promote motivation and reinforce strengths.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6-week intervention program,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older adult men in the care program interv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for the following: cognitive functions (p=.035), attitude toward dementia (p=.026), preventive behavior (p=.007), geriatric depression (p=.013), caring confidence (p=.018), and self-esteem (p=.013).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care program for dementia patients has positive effects on increasing their cognitive function, attitude toward dementia, preventive behavior, caring confidence, self-efficacy, and on decreasing depression rates in this population. Based on this, we can recommend this program to men caregivers for the improved care of dementia in community centers.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의 효과 연구 (A Study on Effect of Reading Guidance Program based on Enneagram of Personality)

  • 백진환;한윤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45-64
    • /
    • 2014
  • 이 연구는 심리 및 신체적으로 성장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6학년 어린이를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의 심리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6학년의 품성 및 인성발달을 위하여 필요한 심리요인들로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을 본 실험연구의 검사도구로 채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수업을 실행하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개 학급을 편의모집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남학생 14명, 여학생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발달정도를 측정하였다. 또 실험집단에는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을 적용한 독서지도를 실험 처치하여 결과를 공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통제집단과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실험집단에서 자기격려, 자기효능감, 사회성 모두 향상되었다.

예비부부 대상 웹 기반 수태 전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Effects of Web-based Preconceptio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Couples about to be Married)

  • 제남주;최소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720-732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Web-based preconception health promotion program to improve preconception health promotion awareness, perceived benefits, perceived self-efficacy and health behavior, and to reduce perceived barriers in couples about to be married. Method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n=26 couples) or control group (n=25 couples). This program was comprised of a six hour Web-based lecture series which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over a four week period. Results: Results for the two groups showed: 1)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conception health promotion awareness in men (self-perception: z=-3.62, p <.001 content: F=18.49, p <.001) and in women (self-perception: z=-2.89, p =.004 content F=36.93, p <.001), 2)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enefits in men (z=-3.09, p =.002), and in women (F=6.38, p =.004), 3)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barriers in men (F=3.64, p =.030), and in women (F=11.36, p <.001), 4)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elf-efficacy in men (F=12.16, p <.001),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omen (F=1.93, p =.166), 5)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en (F=16.31, p <.001), and in women (F=10.99, p =.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ogram i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in couples about to be married. Therefore, this program can be useful in encouraging health-promoting behavior for couples about to be married.

국내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 흡연예방 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Systematic Review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이혜진;김혜경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7-42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and their effectiveness for Korea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by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Electronic searches were performed in RISS, NAL, DBPia, KISS using keywords according to inclusion criteria. 21 studies published from 2003 to the first half of 2017 that dealt with effects of smoking prevention programs for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systematic review. Results: All 21 studies were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s. More than half of the programs(66.7%) were conducted for male and female. Most of the programs were conducted more than once a week(71.4%). 14 studies(66.7%) did not report using a theoretical model. Five dependent variables(knowledge of smoking, attitude toward smoking, non-smoking intention, self-assertiveness, and self-efficacy)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moking prevention programs. Knowledge of smoking was the most effective at hedge's g=0.673. Self-efficacy and self-assertiveness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hedge's g=0.461 and hedge's g=0.279, respectively. Effect sizes of attitude toward smoking and non-smoking inten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moderator effect analysis on the knowledge of smoking variabl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were 'gender of participants'(p<0.01) and 'duration of the program'(p<0.001).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ill be evidence-based data for researchers conducting smoking prevention programs in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 PDF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University Entrepreneurship Education's Creativity Capacity to Entrepreneurship Willingness: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 안태욱;박재환;이일한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7년도 통합학술대회
    • /
    • pp.1-13
    • /
    • 2017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점차 창의적 인재 육성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새로운 신성장 산업의 혁신을 하는 창업과 이러한 시대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창의적 인재에 대한 교육이 시급함을 인지하였고 기존의 교육으로는 불가능하다는 비판과 함께 창업교육에서 강조하고 있는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창의성 역량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 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특히, 교육을 통한 창업의지의 영향에 대해서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의성 역량교육이 창업의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사회적지지 조절효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16년 8월부터 1개월동안 전국 대학생 393개의 표본으로 실증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협업적의사소통 능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반면 혁신적 업무행동능력은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은 없었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과 혁신적 업무행동 능력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협업적 의사소통능력은 창업의지에 직접적인 영향이 없었다. 자기효능감은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 사이에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는 직접적인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대학생들에게 창의성 역량 교육의 효과로 인하여 자기자신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 많다는 점을 도출 할 수 있었으며 무엇보다 자기효능감이 창업의지에 대한 긍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이 사회적지지(부모의지지)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지에 긍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하였고 대학생의 경우 사회진출을 위한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부모님들의 지지가 보다 지금보다 적극적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그럼으로 대학에서 청년들의 창업의지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처럼 대학생들에게 직접적인 교육의 확대뿐만 아니라 부모님에 대한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상과 창업에 대한 이해증진을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 PDF

청년층의 창업교육 인지도가 셀프리더십 전략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Youth perceived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the self-leadership strategy)

  • 김연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77-85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 청년층의 창업교육 구성내용에 대한 인지된 중요도가 개인의 내재적 자기효능감과 내적 자기조절, 자기보상의 셀프리더십 전략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창업교육 개념에 대한 인지된 중요도는 셀프리더십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 반면, 창업교육의 창의성에 대한 인지된 중요도는 행동중심적 셀프리더십, 자연보상적 셀프리더십, 건설적 사유 셀프리더십 전략 모두 정(+)의 영향을 주었다. 창업교육 경영에 대한 인지된 중요도는 자연보상적 셀프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쳤고, 행동주의적 셀프리더십, 건설적 사유 셀프리더십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교육 특허에 대한 인지된 중요도는 행동중심적, 건설적 사유 셀프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발명교육의 경영, 창의성, 특허와 같은 실제 창업내용을 중요하게 인지하는 청년층들이 자기통제와 긍정적 자기보상의 셀프리더십 수준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Effects of Birth Control Empowerment Program for Married Immigrant Vietnamese Women in South Korea

  • Kim, Jihyun;Kim, Nam Cho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
    • /
    • 2017
  • Purpose: Aims of the researchers were to develop an birth control empowerment program (BCEP) designed to help married immigrant women in Korea to plan their pregnancies. Methods: This study was a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BCEP. The BCEP was developed based on Falk-Rafael (2001)'s Empowerment caring model. The program was offered on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for a total of 10 weeks. The BCEP incorporated group instruction, group discussion, and counseling. The elig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experimental group (n=23) or control group (n=23). Results: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had significantly better outcomes in contraceptive knowledge (p<.001), contraceptive self-efficacy (p=.014), perceived contraceptive control (p<.001), sex-related spousal communication (p<.001), and sexual autonomy (p=.009). Conclusion: The BCEP was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which can promote family planning practices among married immigrant women.

보육교사를 위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iveness of a Program for Enhancing Parent Education and Counseling Competence for Child Care Teachers)

  • 김민정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311-332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 29명(중재집단 12명, 통제집단 17명)을 대상으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0회기로 구성된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를 조사함으로 써, 이러한 변인들의 사전-사후조사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조사도구는 교사의 정서조절, 교사효능감,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및 직무만족도로 구성되고, 모든 척도는 교사의 자기보고로 평가되었다. 그 결과, 중재집단의 경우 보육교사의 정서조절 능력과 교사효능감 및 직무만족도는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는 부모-교사 간 의사소통의 어려움 중 교사자신과 관련된 어려움이 증가되었고, 그 외 변인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부모교육 및 상담능력 강화 프로그램이 보육교사 자신의 심리적 안정감과 더불어,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