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Compassion

검색결과 97건 처리시간 0.022초

Influencing of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 Min, Hee-Hong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87-795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level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establish measures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to utilize them.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190 dental hygienists of the clinic from February 1 to April 30, 2020.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with the help of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Dental hygienists scored 3.47 points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e variables that influence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The variables influencing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ere monthly income_dummy2 (200-249/≥250),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as found to be related to burnout and compassion satisfaction; additionally, compassion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influence. Therefore, it will reduce burnout,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contribute to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o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 Oh, Chung-Uk;Kim, Seon-Ry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15-12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passion satisfaction, compassion fatigue, burnout on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126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Chungbuk and Kangwon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with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Finding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positively affected by compassion satisfaction. Secondly,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negatively affected by compassion fatigue. Thirdly,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was negatively affected by burnout.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provide strong empirical evidence for the importance of compassion fatigue, compassion satisfaction and burnout in explaining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Therefore, strategies to decrease compassion fatigue and burnout and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are needed to improve the attitude towards terminal care among care provid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공감역량의 관계: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ompassion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Nursing Professionalism)

  • 전원희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69-178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ompassion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Methods: A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120 nursing students recruited from three universities i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self-reporting scales of stress of clinical practic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passion competence. Baron and Kenny's regression method and the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ism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ompassion competence. Results: The mean score for compassion competence was above average. Of the compassion competence domains, sensitivity and insights had the highest and lowest scores,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compassion competence scores according to their grade and level of satisfaction with nursing major. Compassion competence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hereas it correlated positively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In addition, nursing professionalism exerte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compassion competence.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enha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could help promote compassion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who experience stress in clinical practice.

COVID-19 대응 군 간부의 소진, 이차적 외상성 스트레스 및 공감만족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of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COVID-19)

  • 백서영;황신우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17-227
    • /
    • 202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dividual and occupational factors influencing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in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supporting civilians in responding to COVID-19. Methods: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on 140 special forces' military officers who experienced responding to disasters within 3 month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21. Results: The mean scores for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compassion satisfaction were 21.67±6.03, 20.54±8.21, and 39.72±8.12 out of 50, respectively. The significant factors that influenced burnout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were 'higher passive stress copying styles' (B=0.17, p<.001; B=0.31, p=<.001, respectively) and 'lower social support (B=-0.11, p=.031; B=-0.10, p=.001, respectively). The compassion satisfaction was mo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higher self-efficacy' (B=0.37, p=<.001), 'higher active stress copying styles' (B=0.19, p=.006), and 'education responding to disasters' (B=2.04, p=.029).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ctive stress coping styles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for military officers responding to disasters to minimize burn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and to improve compassion satisfaction.

수치심이 자비명상에 대한 저항감에 미치는 영향: 자비 대상(자기 vs. 타인)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hame on the Dislike for Loving-kindness & Compassion Meditation: The Moderator Effect of Object of Loving-kindness & Compassion)

  • 박도현;김완석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3권2호
    • /
    • pp.131-157
    • /
    • 2017
  • 자비명상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시작하여 다른 사람들에게 자애와 연민의 마음을 불러일으키는 수련법으로 근래 다양한 치료적 장면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한편 수치심은 부정적 자기개념을 포함하는 무의식적이고 암묵적인 정서라고 알려져 있다. 수치심은 자기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자비명상 중에 수치심이 높은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자비의 마음을 불러일으키기 어려워한다는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심의 이런 특징이 자비명상수련 대상에 따라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자비명상을 자애명상과 연민명상으로 나누어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은 자애명상 실험으로서 참가자(N = 108)들을 자기를 대상으로 한 자기-자애 처치와 긍정적 타인을 대상으로 한 타인-자애 처치에 무선 할당하였다. 이들에게 8분간의 처치를 가하고 수치심에 따라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과 몰입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실험 2(N = 116)는 연민명상 실험으로서 실험 1에서의 자애명상 처치를 연민명상 처치로 바꾸어 유사한 절차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두 가지 실험을 행한 이유는 자애심과 연민심에 심리학적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때문이었다. 실험 1의 결과,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자애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실험 2의 결과 역시, 수치심이 높을수록 자기-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한 저항감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연민명상 지시문에 대해서는 수치심의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수치심 정서의 특징과 관련하여 논의하였으며, 부정적 자기개념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비명상을 적용할 때에 고려할 사항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의 요인 타당성 연구 (Study of Factor Validity of Korean Version Self-Compassion)

  • 구도연;정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160-169
    • /
    • 2016
  • 자기자비 척도(Self-Compassion Scale: SCS)는 Neff(2003a)에 의해 개발되었고, 국내에서는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2008)에 의해 번안 및 타당화 되었다. 하지만, 원척도와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가 대학생만을 대상으로 타당화 한 제한점이 있고, 자기자비 척도의 요인 구조가 일관되지 않는다는 국외 연구 결과도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8세에서 79세의 성인 43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자료를 바탕으로 자기자비 척도의 요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2요인, 3요인, 6요인 구조 세 가지 모형으로 구성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비교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 6개의 요인이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도 6요인 구조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자애척도의 한국어판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

  • 조성주;김지웅
    • 정신신체의학
    • /
    • 제19권1호
    • /
    • pp.34-40
    • /
    • 2011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주로 의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의 신뢰도를 조사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의과 대학생 및 일반인 484명을 대상으로 자기-자애 척도를 평가 하였으며 자기-자애 척도의 6개 요인에 따른 남녀별 측정치를 구하고, 남녀 간의 차이를 독립 표본 t-검사를 통해서 비교하였다. 또한, 내적 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n=30)를 측정하였다. 결 과: 한국판 자기-자애 척도의 내적 일치도(Cron-bach's alpha)는 0.76 이었으며 각 6개 요인에 대한 전체 점수의 검사-재검사 점수 간의 Pearson 상관계수는 0.53이었다. 각 요인에 대한 반분 신뢰도 분석에서 자기-자애 척도 전체 26문항에 대한 Guttman split-half reliability는 0.89으로 측정 되었으며 6가지 각 요인에 대한 신뢰도는 0.60에서 0.85로 측정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신뢰도를 보여 주었다. 타당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보완될 경우 한국어판 자기-자애 척도를 다양한 임상 영역 및 연구에서 유용한 도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on Collective Self-Esteem: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Work-Related Identity and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179-18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 관련 정체성을 매개로 집단적 자긍심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고, 긍정적 업무관련 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8년 4월1일부터 4월25일까지 서울지역 12개 사회복지기관과 경기지역 13개 사회복지 기관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369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다. 또한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이 집단적 자긍심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긍정적 업무관련정체성의 매개효과와 조직 동일시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실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들이 조직 내에서 컴페션을 경험할 때 업무에 대한 긍정성과 집단에 대한 자긍심, 그리고 조직 동일시를 갖게 될 것을 시사해준다.

대학생들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을 통한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Effect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University Students: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through Internalized Shame)

  • 성은아;김영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50-463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와 자기자비 조절효과를 포함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학생 327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5.0과 Macro 3.4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자비는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내면화된 수치심을 거쳐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을 자기자비가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 Su-Jeong, Lee;Hyun-E, Yeom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5권4호
    • /
    • pp.169-177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n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Methods: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118 hospice nurses from 16 hospitals in Daejeon, Chungcheo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including the Spirituality Scale, Index of Work Satisfaction, the Compassion Competence Scale for Nurses, and general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he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version 26.0. Results: Compassion competence was correlated with spirituality (r=0.66, P<0.001) and job satisfaction (r=0.52, P<0.001), and spirituality was cor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r=0.44, P<0.001). Spirituality (β=0.513, P<0.001) and job satisfaction (β=0.273, P<0.001)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after adjusting for the sociodemographic and work-related covariates. The step-by-step results from hierarchical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so indicated that spirituality had a stronger impact than job satisfaction on compassion competence. Conclusion: Our finding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spirituality, which plays a role in guiding the compassion competence of hospice nurs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pirituality and job satisfaction of hospice nurses, which could facilitate their compassion competence and thereb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