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production time

검색결과 243건 처리시간 0.026초

중부지역에서 잎들깨 품종의 종자생산을 위한 비닐하우스 재배 적정파종기 (Optimum Sowing date for Seed Production of Late-maturing Vegetable Perilla at Green House of Middle Region)

  • 주정일;최현구;강영식;성열규;이희봉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310-315
    • /
    • 2012
  • 들깻잎 생산 전용품종은 대부분 만생종으로서 우량종자를 채종하고자 할 경우 도복 등이 발생하지 않아 생육관리가 용이하면서 종실 충실도가 높은 파종적기를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이에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잎들깨 생산 전용 품종 '잎들깨 1호'를 시험재료로 하여 5월 6일부터 7월 15일 까지 10일 간격으로 8회 파종하여 생육, 도복 발생 여부, 적산온도 및 수량성을 분석하였다. 1. 파종시기가 늦을수록 경장이 짧아지고, 주경절수, 분지수, 화방군수와 화방당 삭수는 감소되었다. 그러나 파종시기가 빠를수록 지상부 생육이 왕성하여 도복이 발생하였다. 2. 개화일수는 파종시기가 늦어질수록 직선적으로 감소되었는데 5월 6일을 기준으로 파종이 1일 지연되면 개화일수는 0.86일씩 단축되었고, 개화기부터 성숙기까지의 결실일수는 29~31일로 파종기 이동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3. 등숙립율과 종실수량은 5월 6일 파종부터 6월 15일 파종까지 유의성이 없었고, 6월 25일 파종 이후부터 급격히 감소되었다. 4. 등숙에 필요한 적산온도, 도복 발생 여부, 등숙립율과 발아율 등으로 판단하면 만생종 잎들깨 품종의 중부지역 비닐하우스에서 파종적기는 6월 5일(정식 7월 5일)~6월 15일(정식 7월 15일)이었고, 이때 10월 28일~11월 3일경에 성숙되어 종자생산이 가능하였다. 5. 연차에 따라 $0^{\circ}C$ 이하로 떨어지는 시기가 일찍 오는 경우 한해에 의하여 노지재배는 고사될 우려가 있고, 중부지역에서는 비닐하우스를 이용한 잎들깨 채종재배가 가능하였다.

유채 품질 평가 현황과 전망 (Prospect and Situation of Quality Improvement in Oilseed rape)

  • 장영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
    • /
    • pp.175-185
    • /
    • 2002
  • Rapeseed(Brassica napus L.) is an important oil crop as a vegetable oil, concentrated feed and industrial materials. The name "canola" was registered in 1979 by the Western Canadian Oilseed Crushers Association to describe "double-low" varieties. Double low indicates that the processed oil contains less than 2% erucic-acid and the meal less than 3mg/g of glucosinolates. Today annual worldwide production of rapeseed is approximately 35 million tons on 24 million hectares. China accounts for 33% of the world production and the European Economic Community for nearly 32%. Canola ranks 3rd in production among the world's oilseed crops following soybeans, sunflowers, peanuts and cottonseed. The recent advances in genomics and in gene function studies has allowed us to understand the detailed genetic basis of many complex traits, such as flowering time, height, and disease resistance. The manipulation of seed oil content via transgene insertion has been one of the earliest successful applications of modern biotechnology in agriculture. For example, the first transgenic crop with a modified seed composition to be approved for unrestricted commercial cultivation in the US was a lauric oil, rape-seed, grown in 1995. There were also some significant early successes, mostly notably the achievement of 40% to 60% lauric acid content in rapeseed oil, which normally accumulates little or no lauric acid. The name "$\textrm{Laurical}^{TM}$" was registered in 1995 by Calgene Inc. Nevertheless, attempts to achieve high levels of other novel fatty acids in seed oils have met with much less success and there have been several reports that the presence of novel fatty acids in transgenic plants can sometimes lead to the induction of catabolic pathways which break down the novel fatty acid, i.e. the plant recognizes the "strange" fatty acid and, far from tolerating it, may even actively eliminate it from the seed oil. It is likely that, in the future, transgenic oil crops and newly domesticated oil crops will both be developed in order to provide the increased amount and diversity of oils which will be required for both edible and industrial use. It is important that we recognize that both approaches have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ints. It will be a combination of these two strategies that is most likely to supply the increasing demands for pl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ant oils in the 21st century and beyond.

헤어리베치 수확 시기에 따른 종자 수량, 발아율 및 경실종자 비율 변화 양상 (Change of Seed Yield, Germination Rate and Hard Seed Rate with Harvest Time in Hairy Vetch (Vicia villosa Roth))

  • 구자환;김민태;손범영;이진석;김정태;황종진;백성범;문중경;권영업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7-164
    • /
    • 2012
  • 본 시험은 친환경농업 및 조사료 용도로 재배가 증가하고 있는 헤어리베치를 대상으로 국내 헤어리베치 종자 채종 시 개화 후 경과 일시에 따른 채종 수량 추이를 조사하여 안전 다수확 채종 기간을 구명하기 위하여 경기도 수원시에 위치한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헤어리베치 품종 '청풍보라'를 이용하여 2009년부터 2011년까지 3개년에 걸쳐 시험하였다. 2009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11일), 42일 (6월 18일), 48일 (6월 24일), 54일 (6월 30일), 58일 (7월 4일) 등 5회, 2010년도는 개화 후 35일 (6월 21일), 42일 (6월 28일), 48일(7월 4일), 54일 (7월 10일), 58일 (7월 14일) 등 5회, 그리고 2011년에는 개화 후 39일 (6월 21일), 49일 (7월 1일), 53일 (7월 5일) 등 3회 수확하여 종자 수량과 발아율을 조사한 결과 종자 수량은 개화 후 경과 일수와 비례하여 증가하다가 개화 후 42일 (2010년도), 49일 (2011년도), 54일 (2009년도)에 정점을 나타낸 이후 도복으로 인한 꼬투리 소실로 수량이 감소하였다. 수확 시기가 늦어질수록 1,000립 중과 발아율이 증가하였으나 장마기 이후에 수확 된 종자는 수발아 종자 발생이 증가하였다. 이상의 본 시험 결과에 의하면 헤어리베치 종자 안전 다수확을 위한 수확 시기는 개화 후 42일에서 54일 사이에 장마 전 기간으로 판단되었다.

파종시기가 오차드그라스의 생육특성 및 종자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eding Time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and Seed Productivity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 최기준;정의수;임용우;임영철;김기용;성병렬;김맹중;박근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01-106
    • /
    • 2003
  • 본 연구는 오차드그라스 종자생산을 위한 적정 파종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축산기술연구소 초지사료과 시험포장에서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실시되었다. 공시품종은 국내에서 육성한 오차드그라스 "합성2호"로 하였다. 처리내용은 파종시기로 8월 10, 20, 30일과 9월 10, 20, 30일에 하였다. 시험구 배치는 난괴법 3반복으로 하였다. 정착상태는 8월 10일 파종에서는 늦 장마로 인하여 유모의 정착이 불량하였다. 수량구성요소 중 단위면적당 이삭수는 8월 20일 파종에서 $265/\textrm{m}^2$로 가장 많았고, 파종기가 늦을수록 이삭수가 줄었으며, 9월 20일 이후 파종은 출수경이 거의 없었다. 수량구성요소들은 8월 20일 파종 이후부터 파종기가 늦어질수록 점차 불량하였다. 그에 따라서 종자수량도 8월 20일 파종에서 759kg/ha로 가장 많았고, 파종이 늦어질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적으로 감소하였다.

인삼종자의 채종적기구명과 배발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timum Time of Seed Production and Development of Embryo in Panax ginseng C.A.Meyer)

  • 안상득;권우생;정찬문;손은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3-128
    • /
    • 1986
  • 수분후 시기별 배발달 상태와 종자형질의 생장, 개갑 및 발아특성을 연관시켜 조사 연구하여 인삼종자의 채종가능시기와 채종적기를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분후 열매, 종자 및 배유의 크기는 초기생장이 빨라 20일경에는 성숙한 종자 크기와 큰 차이가 없어 조기채종종자와 완숙종자간에만 유의차가 인정되었으나 종자중은 시기가 경과할 수록 점차 무거워지는 경향이었다. 2. 수분후 20일경에 채종한 종자는 전혀 개갑이 되지 않았으나 30일 후에 채종한 종자는 개갑과 발아가 비교적 양호하여 수분 30일 후면 종자채종이 가능한 시기로 사료되었다. 3. 인삼의 채종적기는 중앙부위의 소화 적심시 수분후 약 50일경의 완숙기에 채종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4. 배의 발아시기는 수분후 약 10일경으로 추측되었으며 배의 생장속도는 초기단계에서 빠른 경향을 보여 채종가능시기인 수분후 30일경의 배장은 200$mu extrm{m}$ 이상으로 자엽조직이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 PDF

낙엽송 클론 채종원에서 구과 채취시기에 따른 구과특성 및 종자품질 (Cone Characteristics and Seed Quality among Harvest Times in the Clonal Seed Orchard of Larix kaempferi)

  • 김예지;구다은;조계홍;최희윤;우영곤;이채빈;유성열;주혜준;강규석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2권3호
    • /
    • pp.352-362
    • /
    • 2023
  • 일본잎갈나무는 종자 생산의 풍흉 주기가 길고 불규칙하여 채종원산 우량 종자의 안정적인 대량생산을 위해 종자 생산 효율을 높이는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구과의 채취시기는 구과특성과 종자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종자 뿐만 아니라 유묘 생산까지도 영향을 준다. 충주 일본잎갈나무 채종원에서 구과의 적정한 채취시기를 판단하고 채취시기별 구과 및 종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021-2022년도에 채취시기별로 구과 함수율, 종자 효율(생산량), 발아율, 발아세 등을 조사하여 다변량 분석을 수행하였다. 8월 초에 구과 함수율의 감소와 구과의 갈변이 이루어졌고, 발아율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9월말에 최고점이 나타나 경향성이 뚜렷하지 않았다. 구과 채취시기가 늦을수록 발아속도는 우수하였으나, 종자 비산, 충해 종자의 증가로 종자 효율은 감소하였다. 따라서 발아율과 종자 생산량을 최대로 하는 구과의 최적 채취시기는 8월 초일 것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균일한 묘목 생산에 기여하는 발아속도를 고려한다면 시기적절한 병해충 방제를 통해 종자손실을 절감시킬 수 있는 9월 초에 구과를 채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일본잎갈나무 채종원에서 구과의 갈변 정도와 함수율은 구과 채취시기의 결정 지표로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eed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Inhibits TNF-${\alpha}$-induced Migration In Human Aortic Smooth Muscle Cells Via MMP-9 Inhibition

  • Kim, Jai-Eun;Choi, Dall-Yeong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80-487
    • /
    • 2009
  • Atherosclerosis, slow progressing inflammatory lesion in arteries, 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cardiovascular diseases. As mortality due to cardiovascular disease keeps increasing in Korea, researches on pathological mechanism of atherosclerosis may be beneficial in fighting against cardiovascular diseases. It is known that migration and MMP-9 secretion of Vascular Smooth Muscle Cell(VSMC) play a significant part in pathogenesis of atherosclerosis, although detailed mechanism of entire process is not clarified. We investigated whether the seeds of Trichosanthes kirilowii maxim (TS), inhibit migration and MMP-9 production of HASMC(human aortic SMC), which were induced by TNF-${\alpha}$ treatment. Migration assay showed that TS inhibited the migration of HASMC induced by TNF-${\alpha}$, in dose dependent manner. Also by Zymography MMP-9 production of HASMC was found to be reduced by TS, both in time and in dose dependent manner. Western blotting results suggest TS suppress activity of MAPkinases.

박과 종자용 진공노즐식 파종기 개발(I) 대립종자의 진공파종을 위한 요인구명 - (Development of Vacuum Nozzle Seeder for Cucuribitaceous Seeds(I) - Design factors for vacuum seeding large sized seeds -)

  • 김동억;장유섭;김승희;이공인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8권6호
    • /
    • pp.525-530
    • /
    • 2003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vacuum nozzle seeder for the automation of large seeds sowing of fruit vegetables and rootstocks. Moreover, the seeding efficiency was examined to find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considering high precision seeding. The important operating factors for high seeding rate were typically nozzle diameter and absorbing vacuum pressure. The optimum nozzle diameters were found 1.5, 1.5 and 2.0 mm for Chambak, Tuktozwa and Hukjong while the optimum vacuum pressures were 8.0㎪, 10.6㎪ and 5.3㎪, respectively. Under the optimum operating condi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aximum seeding rates were 97.6%, 98.8% and 97.6% respectively for Chambak Tuktozwa and Hukjong. The vibrating acceleration of the hopper did not mak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eeding rate when the vacuum pressure reached 8.0㎪ and the sowing rate became higher with lighter seed. As the seed became heavier, the larger diameter of nozzle was recommended 1.5mm of the nozzle diameter was found to be applied for the experimental seeds. The vacuum pressure was also found 8.0㎪ - 13.3㎪ at that time.

호밀 수확시기가 종실의 수량과 발아 및 유묘생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rvesting Time on Seed Yield, Seed Germination and Seedling Growth of Rye (Secale cereale L.))

  • 류한욱;강광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6-133
    • /
    • 1988
  • 우리나라에서 호밀을 채종 목적으로 재배할 때 여름 장마로 인한 호밀 성숙후기 이후에 발생하는 종자 품질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기수확한계기를 구명하고자 팔당 호밀(재래종)을 공시하여 출수후 25일부터 55일까지 5일 간격으로 수확기를 달리하고 종실발육 수량 및 종자활력에 관한 시험조사를 1984년 및 1986년에 영남대학교 실험농장에서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확기별 천립중변화는 출수후 50일까지는 수확 지연에 따라 직선적으로 증가하나 그 이후는 연차에 따라 일정하지 않았다. 종실수분함량은 수확이 늦었을 때 반대로 감소하였다. 2. 종실의 길이는 출수후 30일까지 빠르게 그리고 그 이후는 완만하게 신장되었고, 두께와 폭은 출수후 50일까지 완만하게 발육되었다. 3. 수확기가 늦어짐에 따라 수량이 높아지는 영향은 뚜렷하나 출확기 40일과 45일 수확에서 차이가 크다. 4. 2$0^{\circ}C$ 항온에서 종자발아율은 출수후 25일 수확구를 제외하면 종자성숙에 따라 발아율의 차이가 없으나, 1$0^{\circ}C$, 3$0^{\circ}C$에서는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에서 발아율이 낮았다. 실온에서 pot 에 파종한 경우 발아율은 2$0^{\circ}C$ 항온에서와 유사하였다. 5. pot에서 초장은 종자성숙이 진전될수록 긴 경향이나 출수후 45일 이후 수확 종자간에는 차이가 없고 유묘의 건물중은 출수후 50일까지 종자성숙기간이 길수록 높았다. 6. 항온에서 종실의 성숙일수와 발아율간의 상관은 저온(1$0^{\circ}C$) 및 발아초기(치상후 4일)에서만 정의 상관이 있었다. pot 에서는 종실의 성숙일수와 초장, 건물중 그리고 천립중간에는 유의한 정의 상관을 보였다. 7. 포장에서 월동후 유식물수 비율은 57~67%로 출수후 30일~50일에 수확한 종실간의 차이가 없으나 생육초기의 초장은 출수후 35일 이전 수확한 종실의 경우는 작았다. 출수기는 출수후 40일 수확한 종실은 출수기가 늦지 않으며 간장은 종자 성숙정도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8. 채종목적인 호밀 재배에서 우기를 회피하여 종자 수량감소 최소화할 수 있는 수확기는 출수후 45 일 (개화후 38일)경 이라고 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