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layer

검색결과 464건 처리시간 0.037초

Low-temperature Epitaxial Growth of a Uniform Polycrystalline Si Film with Large Grains on SiO2 Substrate by Al-assisted Crystal Growth

  • Ahn, Kyung Min;Kang, Seung Mo;Moon, Seon Hong;Kwon, HyukSang;Ahn, Byung Tae
    • Current Photovoltaic Research
    • /
    • 제1권2호
    • /
    • pp.103-108
    • /
    • 2013
  • Epitaxial growth of a high-quality thin Si film is essential for the application to low-cost thin-film Si solar cells. A polycrystalline Si film was grown on a $SiO_2$ substrate at $450^{\circ}C$ by a Al-assisted crystal growth process. For the purpose, a thin Al layer was deposited on the $SiO_2$ substrate for Al-assisted crystal growth. However, the epitaxial growth of Si film resulted in a rough surface with humps. Then, we introduced a thin amorphous Si seed layer on the Al film to minimize the initial roughness of Si film. With the help of the Si seed layer, the surface of the epitaxial Si film was smooth and the crystallinity of the Si film was much improved. The grain size of the $1.5-{\mu}m$-thick Si film was as large as 1 mm. The Al content in the Si film was 3.7% and the hole concentration was estimated to be $3{\times}10^{17}/cm^3$, which was one order of magnitude higher than desirable value for Si base layer. The results suggest that Al-doped Si layer could be use as a seed layer for additional epitaxial growth of intrinsic or boron-doped Si layer because the Al-doped Si layer has large grains.

나노패턴 성형을 위한 금속 나노 스탬퍼 제작 (Fabrication of metallic nano-stamper to replicate nanoscale patterns)

  • 김영규;이동철;강신일
    • 한국소성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성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81-484
    • /
    • 2003
  • In this study, we fabricated the master metallic nano-stamper with nano pillar patterns to apply replication processes which is adequate for mass production. Master nano patterns with various hole diameters between 300 nm and 1000 nm was fabricated by e-beam lithography. After the seed layer was deposited on the master nano patterns using e-beam evaporation, the nickel was electroformed. In each step, the shape and surface roughness of their patterns were analyzed using SEM and AFM.

  • PDF

Application of the electroless plating method to the fabrication of metallic bus electrodes of PDP

  • Oh, Young-Joo;Jeung, Won-Young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3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829-831
    • /
    • 2003
  • In the present study, the electroless plating method was applied instead of the sputtering as a formation method of metallic bus electrodes. No additional blackening step is needed in this method since this process provides a metallic seed layer with black color by a single step. The parameters which affects color and morphology of the metallic seed layer in the electroless plating solution were investigated

  • PDF

실리콘 실험실에 구리 오염을 방지 할 수 있는 고밀도/고균일의 Solder Bump 형성방법 (Fabrication Method of High-density and High-uniformity Solder Bump without Copper Cross-contamination in Si-LSI Laboratory)

  • 김성진;주철원;박성수;백규하;이희태;송민규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3-29
    • /
    • 2000
  • 사용되는 metal구분 없이 반도체 공정장비들을 사용함으로써 cross-contamination을 유발시킬 수 있다. 특히, copper(Cu)는 확산이 쉽게 되어 cross-contamination에 의해 수 ppm정도가 wafer에 오염되더라도 트랜지스터의 leakage current발생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Si-IC성능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Si-LSI 실험실에서 할 수 있는 공정과 Si-LSI 실험실을 나와 할 수 있는 공정으로 구분하여 최대한 Si-LSI 장비를 공유함으로써 최소한의 장비로 Cu cross-contamination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전기도금을 할 때 전극으로 사용되어지는 TiW/Al sputtering, photoresist (PR) coating, solder bump형성을 위한 via형성까지는 Si-LSI 실험실에서 하고, 독립적인 다른 실험실에서 Cu-seed sputtering, solder 전기도금, 전극 etching, reflow공정을 하면 된다. 두꺼운 PR을 얻기 위하여 PR을 수회 도포(multiple coaling) 하고, 유기산 주석과 유기산 연의 비를 정확히 액 조성함으로서 Sn:Pb의 조성비가 6 : 4인 solder bump를 얻을 수 있었다. solder를 도금하기 전에 저속 도금으로 Cu를 도금하여, PR 표면의 Cu/Ti seed층을 via와 PR표면과의 저항 차를 이용하여 PR표면의 Cu-seed를 Cu도금 중에 etching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via만 Cu를 도금하고 Ti층을 etching한 후, solder를 도금함으로써 저 비용으로 folder bump 높이가 60 $\mu\textrm{m}$ 이상 높고, 고 균일/고 밀도의 solder bump를 형성시킬 수 있었다.

  • PDF

광쌍안정을 갖는 GaAs/AlGaAs MQW 도파로형 위상 광변조기 (GaAs/AlGaAs MQW waveguide phase modulator with optical bistability)

    • 한국광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80-28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자기 전광 효과를 이용하여 광쌍안정을 갖는 새로운 형태의 도파로형 광변조기의 동작 특성에 관하여 논하였다. 제작된 소자는 전계의 세기에 따른 굴절률의 변화를 이용하는 위상 변조형 광변조기와 전기적 쌍안정성을 갖는 수광 소자가 병렬로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다. 광도파로층과 수광 소자의 흡수층은 GaAs/AlGaAs 다중 양자 우물층을 사용하였다. 수광 소자에 흡수되는 광의 세기에 따라 변하는 다이오드 전압은 도파로형 광변조기를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며 SEED의 전기적 쌍안정을 이용하여 도파로형 광변조기의 광쌍안정을 얻을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광변조기는 기존의 도파로형 광변조기에 비해 낮은 입력광에서도 광안쌍정을 갖는 장점을 갖는다.

  • PDF

비결합형 터널접합구조에서 Cr 하지층에 따른 전자기적 특성변화 (The Electromagnetic Properties in Uncoupled funnel-junction with Various Cr Seed Layer)

  • 박진우;전동민;윤성용;이종윤;서수정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91-96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DC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사용하여 Cr/Co/Al-Ox/Co/Ni-Fe 다층박막에 다양한 두께의 Cr 하지층을 삽입함에 따른 자기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3 nm 두께의 Cr 하지층 증착시 자기저항비의 변화는 관찰할 수 없었고 적정한 Cr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Co의 보자력이 크게 증가되었다 또한, 산화시간이 길수록 두 강자성층간에 보자력 차이 및 절연층의 저항이 점차 증가하였는데, 이는 산화시간에 따라 상부층 계면의 평탄성의 증가에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되며 TEM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다. Cr 하지층 유무에 관계없이 최고 자기저항비가 나타나는 절연층의 산화시간은 60~70초로 비슷하였지만 Cr 두께가 증가할수록 자기저항비는 감소하였다. 이는 전극간 계면의 거칠기의 증가로 인해 미반응 Al의 잔존 확률이 상대적으로 커짐에 따라 터널 전자의 산란이 증가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로 Cr하지층의 두께는 3 nm로 고정하였으며 하지층의 증착 및 적정산화를 통하여 두 강자성층간에 큰 보자력 차이를 유도할 수 있었다. 이는 재현성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점을 지닌 TMR 소자에 매우 긍정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된다.̄

3-성분 종입자법으로 제조한 저전압 ZnO 바리스터의 발진 전도특성 (The oscillation conduction characteristics of ZnO varistor fabricated with 3-composition seed grain method)

  • 장경욱;김영천;황석영;김용주;이준웅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9권10호
    • /
    • pp.1019-1026
    • /
    • 1996
  • In this study, we may be presented the carrier oscillation properties for the low-voltage varistor fabricated by a new method of three composition seed grain,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carriers at the its equivalent circuit model. The oscillation phenomena of carriers appeared from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under knee voltage is shown by the transient flow of nontrapped carriers group in the trap level of intergranular layer, surface state and/or depletion layer. In particularly, current oscillation phenomena is hardly shown in the high electric field. It is that the injected carriers from both electrodes are directly from the conduction band of forward biased ZnO grain through the intergranular layer into the reverse biased ZnO grain, because the trap level in the electric field above the knee voltage is mostly filled.

  • PDF

3-성분 종입자 법으로 제조한 ZnO 바리스터의 입계모델에서 캐리어의 거동 특성 (Properties for the Behavior of Charged Carrier within the Intergranular Layer of ZnO Varistor Fabricated 3-Composition Seed Grain Method)

  • 장경욱;이준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159-1161
    • /
    • 1993
  • This paper may be presented the carrier oscillation properties for the varistor fabricated by a new method of three-composition seed grain, in order to analyze the behavior of carriers at the its equivalent circuit model. The oscillation phenomena of carriers appeared from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under knee voltage is shown by the transient flow of non trapped carriers group in the trap level of intergranular layer, surface state and/or depletion layer. However, Current oscillation phenomena is hardly shown in the high electric field. The injected carriers from both electrodes are directly flowed from the conduction band of forward biased grain through the intergranular layer into the reverse biased grain, because the trap level in the electric field above the knee voltage is mostly filled.

  • PDF

Identification of triacylglycerols in coix seed extract by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and liquid chromatography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 Sim, Hee-Jung;Lee, Seul gi;Park, Na-Hyun;Kim, Youna;Cho, Hyun-Woo;Hong, Jongki
    • 분석과학
    • /
    • 제30권2호
    • /
    • pp.102-111
    • /
    • 2017
  • Here we reported a methodology for identification of triacylglycerols (TAGs) and diacylglycerols (DAGs) in coix seed by preparative thin layer chromatography (prep-TLC) and non-aqueous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NARP LC)-atmospheric pressure chemical ionization (APCI) tandem mass spectrometry (MS/MS). Lipid components were extracted from coix seed by reflux extraction using n-hexane for 3 hr. TAGs and DAGs in coix seed extract were effectively purified and isolated from matrix interferences by prep-TLC and then analyzed by LC-APCI-MS and MS/MS for identification. TAGs were effectively identified taking into consideration of their LC retention behavior, APCI-MS spectra patterns, and MS/MS spectra of $[DAG]^+$ ions. In MS/MS spectra of TAGs, diacylglycerol-like fragment $[DAG]^+$ ions were useful to identify TAGs with isobaric fragment ions. Based on an established method, 27 TAGs and 8 DAGs were identified in coix seed extract. Among them, 15 TAGs and 8 DAGs were for the first time observed in coix seed. Interestingly, some of TAGs isolated by prep-TLC were partly converted into DAGs through probably photolysis process during storing in room temperature. Thus, degradation phenomenon of TAG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quality evaluation and nutritional property of coix seed. LC-APCI-MS/MS combined with prep-TLC will be practical method for precise TAG and DAG analysis of other herbal plants.

Ag 씨앗층이 SmCo/Cr 박막의 자기적 특성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 Seed Layer on the Magnetic Properties and the Microstructural Evolution of SmCo/Cr Thin Films)

  • 이성래;고광식;김영근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3-71
    • /
    • 2001
  • 유리 기판위에 증착한 Ag 씨앗층이 SmCo/C자막의 미세구조 변화와 자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Ag층의 두께가 1nm인 경우 Cr의 거칠기와 입자크기, 그리고 (110)배향성이 감소되어 SmCo/Cr/Ag박막의 보자력 및 각형비가 감소하였다 Ag의 두께가 3 nm인 경우 Ag 씨앗층은 섬형화되어 Cr 하지층의 거칠기가 증가하고 Cr(110)배향성의 증가 그리고 결정립 크기를 감소시켜 보자력이 다시 증가되었다. Ag층의 섬형화에 의한 마이크로 범프효과는 스퍼터 증착분압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즉 증착 분압이 30 mTorr인 경우 Ag 층의 두께가 3 nm일 때 그 현상이 나타났으나, 5 mTorr에서는 1 nm 두께에서 마이크로 범프 효과가 관측되었다. 두께가 3 nm인 Ag 씨앗층의 도입은 자화반전 거동을 자구벽이동에서 자구회전거동으로 변화시켰으며, 이는 Cr 결정립 크기 감소에 의해 증가된 결정립계가 pinning site로 작용하여 SmCo 자성층의 자구벽이동을 방해하였기 때문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