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ed Extract

검색결과 760건 처리시간 0.021초

동과자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 및 미백 효능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 of Benincasa hispida seed extract)

  • 박규리;이지안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49-256
    • /
    • 2020
  • 본 연구는 피부 관리에 사용되는 천연화장품 원료로서 동과자 추출물의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항산화, 항염 그리고 미백 효능을 평가하였다. DPPH 자유라디컬 소거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총폴리페놀 함량은 메탄올추출물(22.42±0.002 mgGAE/g)이 열수추출물(9.77±0.002 mgGAE/g)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MTT assay 결과 동과자 추출물에 의한 RAW264.7 세포와 B16F10 세포에서의 세포독성은 없었다. 또한 LPS 처리에 의해 활성화된 RAW264.7 세포에서 NO 생성과 TNF-α 분비 억제능을 확인하였다. B16F10 melanoma 세포에서 동과자 추출물은 α-MSH에 의한 멜라닌 합성을 유의하게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westernblot 분석결과 동과자 메탄올추출물은 MITF, TRP-1 및 TRP-2 단백질의 발현 수준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동과자 추출물은 항산화, 항염 그리고 미백 효능을 가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구기자 종자 초임계유체 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가능성 평가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Produc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from Lycii Fructus Seed for Cosmetic Ingredients)

  • 김보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23-63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종자를 초임계유체 추출한 후 in vitro 미백활성과 항균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추출물을 에멀션에 적용하여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pH, 점도, 에멀션 입자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미백활성의 경우 $750{\mu}g/mL$에서 81.86 %의 미백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항균효과의 경우 Staphylococcus epidermidis, Candida albicans, Escherichia coli 균에서 항균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추출물을 함유한 에멀션 물리적 안정성 평가에서 점도와 pH가 28일 동안 큰 변화가 없었으며 유화물 입자 관찰 시 경시변화에 따른 합일과 분리현상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화장품소재로서의 구기자 씨앗 추출물이 유용되게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 것으로 평가된다.

차 부산물로부터 효소를 이용한 캠페롤 생산 (Production of kaempferol by enzymatic hydrolysis of tea seed extract)

  • 임윤영;김은기
    • KSBB Journal
    • /
    • 제23권2호
    • /
    • pp.131-134
    • /
    • 2008
  • 캠페롤은 항산화, 항염등의 성질을 가지고 있지만 생산이 쉽지가 않다. 차의 씨를 가공하고 발생하는 부산물 (tea seed extract)에는 캠페롤과 당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인 camelliaside A와 camelliaside B가 포함되어 있다. 본 실험에서는 캠페롤을 효소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산하였다. 가장 효과적인 효소는 $pectinex^{(R)}100L$ 이며, 효소 반응에서 캠페롤은 48시간내에 생산되었다. 반응 최적 조건은 $40^{\circ}C$, pH 4이며 생산의 최적조건하에서 차 부산물 1 kg당 1.6 g의 캠페롤이 생산되었고 약 80%의 캠페롤이 침전되었다. 효소반응에 의한 캠페롤 생산법은 생산물의 회수가 용이한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Grape seed extract (Vitis vinifera) partially reverses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in C57BL/6J mice

  • Park, Su-Hui;Park, Tae-Sun;Cha, Youn-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227-233
    • /
    • 2008
  •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ssess the anti-obesity effects of grape seed extract (GSE) supplement in C57BL/6J mice. Thirty mice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normal diet control group (ND), high fat diet control group (HD) and high fat diet plus grape seed extract supplemented group (HD+GSE). Results were as follows: 1. GSE supplement reduced the weight gain in mice fed high fat diets; epididymal and back fat weights, were lower compared to non-supplemented HD group. 2. Blood lipid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HD+GSE group than in the HD group. Serum HDL-C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the HD+GSE group compared with the other groups. 3. The concentrations of acid-insoluble acylcarnitines, (AIAC) in serum and liver were higher in the HD+GSE group than in the HD group. 4. GSE supplementation increased mRNA levels of lipolytic genes such as 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l (CPT-1) and decreased mRNA levels of lipogenic genes such as acetyl CoA carboxylase (ACC).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rape seed extract supplements in high fat diet might normalize body weight, epididymal and back fat weights, lipid concentrations, and carnitine levels through controlling lipid metabolism.

완숙 복분자 부위별 지방산 조성과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Comparison of Fatty Acids an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Pathogen of Acne in Different Parts of Ripened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 이경인;김수민;김선민;표병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66-469
    • /
    • 2011
  • 본 연구는 복분자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동결 건조한 완숙 복분자를 종자와 종자를 분리한 과육, 그리고 분리과정을 거치지 않은 과실로 구분하여 지방산조성 분석과 각 부위별 methanol 추출물의 여드름 관련 균주에 대한 항균 활성, 그리고 polyphenol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종자의 총 지방 및 지방산 함량이 다른 부위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종자의 주요 지방산으로 밝혀진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의 함량이 전체 지방산 조성의 81.262%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Polyphenol 함량 측정에서 123.64 mg/g으로 가장 높은 수준의 polyphenol 함량을 보였던 종자의 methanol 추출물이 DPPH radical 소거능에서도 다른 추출물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에서 실험에 사용된 모든 균주에 대해서 종자를 분리한 과육의 methanol 추출물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종자 추출물은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과육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비교해서 종자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각 균주별로 약 76.96~89.08%에 해당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완숙 복분자의 과육 부분뿐만 아니라 잔사나 폐기물로 버려질 수 있는 종자 부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Grapefruit Seed Extract와 Ascorbic Acid의 혼합 처리가 콩나물 변패 미생물과 저장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scorbic Acid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and Keeping Quality of Soybean Sprouts)

  • 박우포;조성환;이동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86-1093
    • /
    • 1998
  • The antimicrobial effect of mixed solutions of grapefruit seed extract(250ppm) and ascorbic acid(1%) on the spoilage microorganisms such as Staphylococcus epidermi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syringae, Candida albicans and Corynebacterium xerosis isolated from the spoiled soybean sprouts were investigated. Cell wall and membrane were partially destroyed and the contents of the destroyed cell were exuded after treatment. Packages with 30 m cast polypropylene(CPP), 16 m polyolefin(RD 106) and 10 m high density polyethylene(HDPE) were applied for soybean sprouts dipped in mixed solutions respectively. Oxygen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side packages were dependent on the kind of films during storage at 5oC.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mixed solutions was maintained for 5 days at CPP package. Package with HDPE showed a severe browning than the others after 5 days. Ascorbic acid content of mixed solution treatment was higher than that of control for each package.

  • PDF

Antioxidant Effe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Extracts

  • Kim, Ran
    • KSBB Journal
    • /
    • 제32권2호
    • /
    • pp.140-145
    • /
    • 201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tioxidant effects of different extracts of Salicornia bigelovii se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chelating activity of ferrous,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s of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were measured for different extracts. Ethanol extract (10 mg/mL) was found to have the maximum DPPH radical scavenging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65.26 and 62.36%, respectively). However, hot water extract (10 mg/mL) showed the highest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nd chelating activities (51.50 and 53.24%, respectively).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were 522.8 and $480.35{\mu}g/mg$, respectively. They were 401.51 and $352.60{\mu}g/mg$, respectively, in the hot water extrac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S. bigelovii seed have good potential to be used as a new source of antioxidants for functional foods,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rape-Seed Extracts Prepared from Different Solvents

  • Chnng, Hae-Kyung;Choi, Chang-Sook;Park, Won-Jong;Kang, Myung-Hwa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6호
    • /
    • pp.715-721
    • /
    • 2005
  •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seeds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following lipid peroxidation, 2-deoxyribose degradation, SOD-like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thiza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scavenging ability, and electron-donating ability using 1,1-diphenyl-2-pycryl hydrazil (DPPH) method. Total phenol and flavanol contents of mixted-solven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single-solvent extracts, with the mixing ratio of 17:3 (ethyl acetate: water) (EW) showed the highest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 of TBARS following phosphatidylcholine peroxidation were 14, 45, 45, 7, 4, 25, 21, 23, and 20% for ascorbic acid (AA), butylated hyroxytoluene (BHT), quercetin (Q), acetone extract (AT), ethyl acetate (EA) extract, methanol (MeOH) extract, 4:1 (EA) extract, 9:1 (EW)-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for 2-deoxyribose degradation were 5, 80, 87, 78, 56, 73, 64, 60, and 75% in AA, BHT, Q, AT, EA, MeOH extract, 4:1 EW extract, 9:1 EW extract, and 17:3 EW extract, respectively. MeOH grape seed extract showed distinctly stronger electron-donating activity than other solvent extracts.

두유에서 자몽씨 추출물의 Bacillus 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bacterial Effects on Bacillus Stearothermophilus by Adding Natural Grapefruit Seed Extracts in Soymilk)

  • 조경환;박수길
    • 공업화학
    • /
    • 제16권1호
    • /
    • pp.139-143
    • /
    • 2005
  • 천연향균물질인 자몽씨 추출물을 0.01~0.03% 첨가하여 내열성 포자형성균인 Bacillus stearothermophilus를 비롯하여, 저온성 세균인 Bacillus subtilis, 식품 독성을 일으키는 Staptylococcus aureus 등에 대하여 생장억제 효과를 분석 하였다. 그리고 이 추출물을 실제 공정에 이용하기 위한 현장실험에서는 두유에 자몽씨 추출물을 0.2% 첨가 시 B. stearothermophilus의 성장은 억제 되었으나 완전사멸은 되지 않았고 B. subtilis와 S. aureus는 각각 48 h과 72 h내에 사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조건은 경제성, 유화안정성, 관능 상에 문제가 발생되며, 그 해결방안으로 두유에 자몽씨 추출물의 0.015% 첨가와 $121^{\circ}C$에서 10 min간 처리하는 열처리조건을 병행하므로서 균을 완전히 사멸하고 제품의 안정성과 관능 상의 문제점 해결 가능성을 높일 수 있었다.

오미자종자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소거능 (The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Schizandra chinensis RUPRECHT(Omija) Seed)

  • 정기태;주인옥;최정식;홍재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928-935
    • /
    • 2000
  • 오미자 종자의 몇가지 용매 추출물과 분획물의 항산화성, 항균성, 아질산염 소거능에 대하여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다. 돈지와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력은 오미자종자의 methanol 추출물이, 대두유는 ethanol 추출물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methanol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에서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이 가장 컸다. 오미자 종자 추출 용매별 항균 효과는 L. planterum, B. subtilis, E. coli, P. citrinium는 methanol 추출물이, S. aureus와 S. typhimurium은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균 활성이 가장 컸다. 전반적으로 항균 활성이 큰 methanol 추출물을 분획하여 항균력을 검토한 바, buthanol 분획물이 L. planterum, B. subtilis, S. aureus, S. typhimurium 및 E. coli에서 항균 활성이 가장 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효과는 반응 pH가 낮을수록 우수했으며 methanol 추출물의 buthanol 분획이 다른 추출물과 분획물 중에서 가장 높은 아질산염 분해능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