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ity Keypad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18초

원형 스마트폰 잠금 패턴 방식 제안 (A proposal of Circular Lock Pattern Method on Smart phone)

  • 임지우;이승재;장원준;권혁동;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471-1477
    • /
    • 2019
  • 스마트폰에는 현재 다양한 보안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핀 번호와 패턴 잠금 방식은 초기 스마트폰부터 사용되었을 정도로 오래 사용되었다. 하지만 패턴 잠금 방식은 오래 사용된 만큼 보안이 취약하다. 핀 번호 방식의 보안 강도가 약간 높은 정도라면 패턴 잠금 방식은 중간 정도에 그친다. 그럼에도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패턴 잠금 방식을 이용하고 있는데 아직 생체보안을 지원하지 않는 기종을 사용하는 사용자가 있기 때문이다. 생체보안을 지원하지 않는 기종에서 제일 편리한 보안 방식은 패턴 잠금 방식이다. 그러나 기존의 패턴 잠금 방식은 Shoulder surfing attack과 Smudge attack에 취약하다. 따라서 패턴 잠금 방식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 동시에 기존 방식의 취약점을 해결하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화면에 배치되는 각각의 점을 원형으로 배치한 뒤 무작위로 숫자를 부여하는 잠금 방식이다. 본 방식을 도입하게 된다면 기존의 취약점을 상당히 해결할 수 있다. 즉, 기존의 패턴 잠금 방식에 비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위치정보로 비밀정보를 유추할 수 있는 공격에 내성이 있는 테트리스 형태 기반의 보안 키패드 (Virtual Keypads based on Tetris with Resistance for Attack using Location Information)

  • 문형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7-44
    • /
    • 2017
  • 모바일 단말기는 터치 스크린 상의 가상 키패드로 비밀번호와 같은 중요 정보를 입력하여 결제 및 인증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기로 입력한 비밀번호를 유추하기 위해 공격자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정보를 탈취한다. 구글 글래스를 이용한 훔쳐보기나 어깨너머 공격으로부터 터치된 비밀번호 정보를 알아내거나 탈취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터치한 비밀번호를 유추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보안 키패드는 손쉬운 입력을 위해 일부 키를 제외하고 거의 정해진 순서대로 같은 크기의 키패드로 같은 문자를 배치하기 때문에 구글 글래스나 어깨너머 공격 등에 취약하다. 보안 키패드를 다양한 모양과 위치를 재배치하므로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논문은 13가지의 테트리스의 다양한 형태와 크기를 생성하고, 키패드를 이어 붙여서 배치하는 보안 키패드를 제안한다. 보안 키패드는 다양한 모양과 크기를 테트리스 게임처럼 배열하므로 가상 키패드를 다양하게 만들어 공격자가 터치한 위치정보가 알더라도 키패드의 크기를 달라 입력된 비밀정보를 유추하기가 어렵다.

개인 정보를 이용한 OTP 기반의 스마트 잠금장치구현 (Implementation of the OTP Based Smart Locks Using Personal Information)

  • 성기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66-768
    • /
    • 2016
  • 기존의 잠금장치는 복잡한 패스워드 적용으로 인한 사용회피, 자주 사용 되는 키패드의 흔적으로 인한 보안성 취약 등의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장치의 단점을 극복하고, 네트워크가 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성을 고려하는 OTP 생성을 기반으로 하는 잠금장치를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알고리즘을 구현하였다.

  • PDF

IoT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Door Lock using Internet of Things)

  • 김장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39-544
    • /
    • 2020
  • 최근 홈네트워크에서 IoT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기술이 표준화되고, 디지털 도어락도 IoT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보안과 안전이 보장되는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락이 동작되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Raspberry-PI와 웹 서버를 연동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여기에 Converter기능을 대신 하는 Arduino를 연결한 후,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홈네트워크 이더넷은 기존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유동 IP 주소를 사용하는 Raspberry-PI가 DNS 정보를 쉽게 유지하고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이 인터넷으로 접속한 후 지정 주소로 들어가서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홈네트워크와 Arduino 연결은 Raspberry-PI와 블루투스 페어링으로 1:1 연결하여 임의의 사용자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키패드의 비밀번호를 사용하거나 RFID 카드를 이용해 제어하는 방법이 아닌, 스마트 폰으로 도어락 열림/닫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임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보안성을 높인 방법으로 판단이 되었고,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유용성을 높였다.

VR 상에서의 안전한 PIN 입력 방법 제안 (Proposal of Safe PIN Input Method on VR)

  • 김현준;권혁동;권용빈;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22-629
    • /
    • 2019
  • 가상현실 속에서 실제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VR(Virtual Reality)은 Head Mounted Display(HMD) 기기를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체험을 제공한다. 최근 VR의 시장은 커졌으나 가상현실에서의 보안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미흡하다. 현재 VR을 활용한 많은 개인화된 서비스들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안전한 사용자 인증이 중요하다. VR의 HMD 기기를 착용을 하면 주변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기에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PIN)입력 시에 Shoulder Surfing Attack (SSA)으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분석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해커가 입력 패턴을 분석하더라도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VR 특성에 맞게 기존 직사각형 모양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가상 키패드와 사용자와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자물쇠 오브젝트를 최초로 구현 하였다. 또한 VR의 기존 입력 장치들과 동일한 센서를 사용하는 스마트 글러브와 이에 적합한 회전방식의 PIN입력 방식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총 세 가지의 VR 상에서의 안전한 PIN 입력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SSA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아두이노와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과 앱 개발에 대한 연구 (Study on Development for Smart Door Lock and App. using Arduino and Infrared Sensor)

  • 전형준;나윤수;윤여균;김경호;안희운;김재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1199-1206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전자기기를 스마트폰의 앱을 통해 쉽게 작동시킬 수 있다는 것에 의해 기존의 키패드로만 제어되는 도어락과는 달리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게 앱 인벤터를 이용하여 앱을 제작하였다. 블루투스 모듈 실험을 통해 장애물이 없을 시 스마트폰과 통신거리가 최대 10m까지 제어가 되었고, 음성인식 실험을 통해 60dB의 소음 시 주파수가 500~1000Hz와 1000~1500Hz에서는 인식률이 각각 85%와 90%로 나왔으며, 80dB 소음 시 500~1000Hz와 1000~1500Hz일 때는 각각 70%와 80%의 인식률을 보였다. 실험 평가 결과를 통해 편의성과 보안성을 향상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