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ure Group Key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5초

An Efficient Group Key Agreement Using Hierarchical Key Tree in Mobile Environment

  • Cho, Seokhya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53-61
    • /
    • 2018
  • In this paper, the author proposes an efficient group key agreement scheme in a mobile environment where group members frequently join and leave. This protocol consists of basic protocols and general ones and is expected to be suitable for communications between a mobile device with limited computing capability and a key distributing center (or base station) with sufficient computing capability. Compared with other schemes,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protocol is a bit more efficient in the aspects of the overall cost for both communication and computation where the computational efficiency of the scheme is achieved by using exclusive or operations and a one-way hash function. Also, in the aspect of security, it guarantees both forward and backward secrecy based on the computational Diffie-Hellman (CDH) assumption so that secure group communication can be made possible. Furthermore, the author proves its security against a passive adversary in the random oracle model.

그룹 사용자간 안전한 콘텐츠 전송을 위한 Zhou의 ID-기반의 인증된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 분석 (Analysis on Zhou et al.'s ID-Based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To Exchange Secure Contents among Group Users)

  • 최재탁;권정옥;윤석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9-85
    • /
    • 2008
  • 유료 콘텐츠를 정당한 서비스 수신자에게 안전하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서비스 제공자와 수신자 사이에 안전한 키 교환이 필요하다.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은 이러한 그룹에 속한 멤버들이 공개된 통신망을 이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그룹의 세션키를 설정할 수 있게 한다. 최근에 L. Zhou는 효율적인 인증된 그룹 키 교환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Zhou의 기법이 전방향 안전성을 제공하지 않음을 보인다.

개선된 원 라운드 인증 그룹 키 합의 프로토콜 (An Improved One Round Authenticated Group Key Agreement)

  • 김호희;김순자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3-10
    • /
    • 2013
  • 많은 인증 키 합의 프로토콜이 제안되어 왔다. 여전히 안전한 인증키 합의 프로토콜을 설계하는 것이 이슈화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전형적인 ID 기반의 암호화 시스템의 공개키와 개인키 뿐 아니라 하나 더 많은 공개키와 개인키를 사용하는 원 라운드 인증 그룹키 합의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된 프로토콜은 Shi et al. 프로토콜과 He et al. 프로토콜을 수정 보완하였다. 제안된 프로토콜의 공개키 개인키와 서명 과정은 그들의 프로토콜보다 단순하다. 제안한 프로토콜은 안전하며, 통신과 계산 비용 면에서 그들의 프로토콜보다 더 효율적이다.

PC상의 암호파일의 안전한 복구를 위한 키복구 시스템의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Key Recovery System for Secure Recovery of Cryptographic Files in PC)

  • 장수진;고정호;이강수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67-186
    • /
    • 2002
  • The encryption of a file on a PC before saving can maintain security of the file. However, if the key for the encrypted file is lost or damaged, the encrypted file can not be decrypted, resulting in serious economical loss to the user or the user group. In order to minimize the economical loss a secure and reliable key recovery technology is required. Presented in this paper is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KRS (PC based Key Recovery System) which supports encryption and decryption of file and recovery of the encrypted file in emergency. The encapsulating method, which attaches key recovery information to encrypted file, is applied to the PKRS. In addition, the PKRS is developed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Requirements for Key Recovery Products proposed by NIST and requirements of Common Criteria 2.0 to prove the safety and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security system. This system is applicable to a PC and can be further extended to internet or intranet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where in encryption and recovery of file is possible.

  • PDF

Enhanced Secure Sensor Association and Key Management in Wireless Body Area Networks

  • Shen, Jian;Tan, Haowen;Moh, Sangman;Chung, Ilyong;Liu, Qi;Sun, Xingming
    • Journal of Communications and Networks
    • /
    • 제17권5호
    • /
    • pp.453-462
    • /
    • 2015
  • Body area networks (BANs) have emerged as an enabling technique for e-healthcare systems, which can be used to continuously and remotely monitor patients' health. In BANs, the data of a patient's vital body functions and movements can be collected by small wearable or implantable sensors and sent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iques. Due to the shared wireless medium between the sensors in BANs, it may be possible to have malicious attacks on e-healthcare systems. The security and privacy issues of BANs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o provide secure and correct association of a group of sensors with a patient and satisfy the requirements of data confidentiality and integrity in BANs, we propose a novel enhanced secure sensor association and key management protocol based on elliptic curve cryptography and hash chains. The authentication procedure and group key generation are very simple and efficient. Therefore, our protocol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the power and resource constrained sensor nodes in BANs. From a comparison of results, furthermore, we can conclude that the proposed protocol dramatically reduces the computation and communication cost for the authentication and key derivation compared with previous protocols. We believe that our protocol is attractive in the application of BANs.

실시간 멀티캐스팅 정보보안을 위한 그룹키 관리 (A Group Key Management for Real-Time Multicasting Information Security)

  • 홍종준;황교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0C권6호
    • /
    • pp.809-814
    • /
    • 2003
  • 실시간 데이터를 사용자 그룹에게 전송하는 멀티캣그트는 유니캐스트에 비해 링크의 수가 많으므로 부당한 침입자로부터 신분위장, 서비스 거부 공격 등의 많은 공격을 받기 쉽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시된 기존의 그룹키 관리 구조는 비교적 규모가 큰 구조에 맞는 라우팅 프로토콜에 적합하도록 설계되었다. 따라서 소규모의라우팅 구조에 적용된 기존 그룹키 관리 구조는 항상 기본적인 코어 트리를 요구하거나 키 분배에 따른 많은 부하를 갖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라우팅 구조에 적용된 기존 그룹키 관리 구조는 항상 기본적인 코어 트리를 요구하거나 키 분배에 따른 많은 부하를 갖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라우팅 구조에 적합한 PIM-SM 라우팅을 이용하여, 안전한 멀티캐스트 통신이 가능한 그룹키 관리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한 방식은 멀티캐스트 통신 그룹을 RP(Rendezvous-Point) 단위의 부그룹으로 나누고, 각 RP에 부그룹 키 관리자를 부여하여 송/수신자간에 그룹키를 주고 받도록 한다. 이로서 송/수신자간에 보호채널이 설정되고 안전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그룹키에 따른 데이터 변환작업이 필요하지 않고 경로 변경에 따른 새로룬 키 분배가 불필요하게 되어 데이터 전송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대규모 동적 그룹에서 안전한 멀티캐스트를 위한 키 분배 프로토콜 (A Key Distribution Protocol for Secure Multicasting in Large Dynamic Groups)

  • 김태연;김영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9C권4호
    • /
    • pp.597-604
    • /
    • 2002
  • 멀티캐스트 통신에서 그룹에 새로운 멤버가 가입하거나 기존의 멤버가 탈퇴하는 경우 멤버들이 사용중인 그룹 키는 갱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절차는 완전 전방향과 후방향 비밀성을 보장하기 의해 필요하다(8). 불행하게도, 빈번한 멤버쉽이 변경되는 대규모 그룹에서의 키 갱신은 그룹을 확장하는데 커다란 장애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대규모 동적 그룹에서 그룹 키를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안전한 멀티캐스트 프로토콜과는 달리, 제안된 프로토콜은 키 갱신의 빈도와 계산에 따른 오버헤드가 전체 그룹의 크기가 아닌 서브그룹의 크기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대규모 그룹으로 확장이 가능하며, 그룹 접근 제어를 수행하는 서브그룹 관리자가 송신자에 의해 전송된 멀티캐스트 데이터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하는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또한 무선 컴퓨팅 환경에서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는 보안 서비스를 제공한다.

Fully secure non-monotonic access structure CP-ABE scheme

  • Yang, Dan;Wang, Baocang;Ban, Xuehua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3호
    • /
    • pp.1315-1329
    • /
    • 2018
  • Ciphertext-policy attribute-based encryption (CP-ABE) associates ciphertext with access policies. Only when the user's attributes satisfy the ciphertext's policy, they can be capable to decrypt the ciphertext. Expressivity and security are the two directions for the research of CP-ABE. Most of the existing schemes only consider monotonic access structures are selectively secure, resulting in lower expressivity and lower security. Therefore, fully secure CP-ABE schemes with non-monotonic access structure are desired. In the existing fully secure non-monotonic access structure CP-ABE schemes, the attributes that are set is bounded and a one-use constraint is required by these projects on attributes, and efficiency will be lost.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 flaw referred to above, we propose a new fully secure non-monotonic access structure CP-ABE. Our proposition enforces no constraints on the scale of the attributes that are set and permits attributes' unrestricted utilization. Furthermore, the scheme's public parameters are composed of a constant number of group elements. We further compare the performance of our scheme with former non-monotonic access structure ABE schemes. It is shown that our scheme has relatively lower computation cost and stronger security.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세션 키 설정 방안 (A Session Key Establishment Scheme in Mobile Ad-Hoc Networks)

  • 왕기철;정병호;조기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정보통신
    • /
    • 제31권4호
    • /
    • pp.353-362
    • /
    • 2004
  •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는 무선채널을 통해 데이타가 전송되고 중앙의 관리기관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가용자원이 빈약하고 여러 가지 보안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따라서 임의의 두 노드간에 안전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안전하고 통신부하가 작은 세션 키 설정 방법이 요구된다. 그러나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기존의 키 설정 방법들은 모든 노드들에게 동일한 그룹 키를 분배하거나 효율적인 공개키 관리를 위한 방법들에 집중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들간에 안전하게 그리고 작은 부하로 세션 키를 설정하는 방법이 제안된다. 제안하는 방법은 비밀 분산기법과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한다. 클러스터내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각 노드들은 클러스터내에서는 부분 비밀키를 사용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에 자신의 클러스터 헤드와 세션 키를 생성한다. 또한 다른 클러스터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서 각 노드들은 상대방 노드의 공개키와 Diffie-Hellman 키 교환 방법을 이용하여 세션 키를 설정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실험을 통하여 클러스터 헤드 인중기반의 방법(1)에 비해 우수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안전한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한 효율적인 그룹 키 분배 방식 (An Efficient Group Key Distribution Mechanism for the Secure Multicast Communication in Mobile Ad Hoc Networks)

  • 임유진;안상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3C권3호
    • /
    • pp.339-344
    • /
    • 2006
  • 그룹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이동 애드혹 네트워크(mobile ad hoc network (MANET)) 응용들에서는 안전한 멀티캐스트 데이터의 전송을 위하여 그룹 키를 이용한 데이터의 암호화를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동적인 그룹 멤버쉽으로 인하여 각 그룹 멤버가 가입 또는 탈퇴할 때마다 그룹 키를 갱신하기 위한 키 분배 방식이 요구된다. 유선 망에서 사용되는 그룹 키 분배 방식은 크게 naive 방식과 트리 기반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Naive 방식은 유니캐스트를 기반으로 동작하므로 대규모 그룹 통신에는 적합하지 않다. 반면 트리 기반 방식은 그룹 크기에 대한 확장성을 가지나 그룹 키 분배를 위한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법을 필요로 한다. 신뢰성 있는 멀티캐스트 기법은 이동 노드로부터 많은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트 리 기반 방식은 소규모 MANET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규모 그룹 환경에서 naive 방식을 기반으로 하는 새로운 그룹 키 분배 프로토콜인 PROMPT(PROxy-based key Management ProTocol)를 제안하였다. PROMPT는 무선 채널의 특성을 이용한 소스 노드로부터의 first-hop grouping과 프락시(proxy) 노드로부터의 last-hop grouping을 통하여 일반 naive 방식의 메시지 오버헤드를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