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ret Data

검색결과 369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Data Sharing Scheme using ECP-ABSC that Provides Data User Traceability in the Cloud

  • Hwang, Yong-Woon;Kim, Taehoon;Seo, Daehee;Lee, Im-Yeo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12호
    • /
    • pp.4042-4061
    • /
    • 2022
  • Recently, various security threats such as data leakage and data forgery have been possible in the communication and storage of data shared in the cloud environment. This paper conducted a study on the CP-ABSC scheme to solve these security threats. In the existing CP-ABSC scheme, if the data is obtained by the unsigncryption of the data user incorrectly, the identity of the data owner who uploaded the ciphertext cannot be known. Also, when verifying the leaked secret key, the identity information of the data user who leaked the secret key cannot be known. In terms of efficiency, the number of attributes can affect the ciphertext. In addition, a large amount of computation is required for the user to unsigncrypt the ciphertext. In this paper, we propose ECP-ABSC that provides data user traceability, and use it in a cloud environment to provide an efficient and secure data sharing scheme. The proposed ECP-ABSC scheme can trace and verify the identity of the data owner who uploaded the ciphertext incorrectly and the data user who leaked the secret key for the first time. In addition, the ciphertext of a constant size is output and the efficiency of the user's unsigncryption computation were improved.

New Text Steganography Technique Based on Part-of-Speech Tagging and Format-Preserving Encryption

  • Mohammed Abdul Majeed;Rossilawati Sulaiman;Zarina Shukur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1호
    • /
    • pp.170-191
    • /
    • 2024
  • The transmission of confidential data using cover media is called steganography. The three requirements of any effective steganography system are high embedding capacity, security, and imperceptibility. The text file's structure, which makes syntax and grammar more visually obvious than in other media, contributes to its poor imperceptibility. Text steganography is regarded as the most challenging carrier to hide secret data because of its insufficient redundant data compared to other digital objects. Unicode characters, especially non-printing or invisible, are employed for hiding data by mapping a specific amount of secret data bits in each character and inserting the character into cover text spaces. These characters are known with limited spaces to embed secret data. Current studies that used Unicode characters in text steganography focused on increasing the data hiding capacity with insufficient redundant data in a text file. A sequential embedding pattern is often selected and included in all available positions in the cover text. This embedding pattern negatively affects the text steganography system's imperceptibility and security. Thus, this study attempts to solve these limitations using the Part-of-speech (POS) tagging technique combined with the randomization concept in data hiding. Combining these two techniques allows inserting the Unicode characters in randomized patterns with specific positions in the cover text to increase data hiding capacity with minimum effects on imperceptibility and security. Format-preserving encryption (FPE) is also used to encrypt a secret message without changing its size before the embedding processes. By comparing the proposed technique to already existing one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it fulfils the cover file's capacity, imperceptibility, and security requirements.

Recoverable Private Key Scheme for Consortium Blockchain Based on Verifiable Secret Sharing

  • Li, Guojia;You, Lin;Hu, Gengran;Hu, Liq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5권8호
    • /
    • pp.2865-2878
    • /
    • 2021
  • As a current popular technology, the blockchain has a serious issue: the private key cannot be retrieved due to force majeure. Since the outcome of the blockchain-based Bitcoin, there have been many occurrences of the users who lost or forgot their private keys and could not retrieve their token wallets, and it may cause the permanent loss of their corresponding blockchain accounts, resulting in irreparable losses for the users. We propose a recoverable private key scheme for consortium blockchain based on the verifiable secret sharing which can enable the user's private key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to be securely recovered through a verifiable secret sharing method. In our secret sharing scheme, users use the biometric keys to encrypt shares, and the preset committer peers in the consortium blockchain act as the participants to store the users' private key shares. Due to the particularity of the biometric key, only the user can complete the correct secret recovery. Our comparisons with the existing mnemonic systems or the multi-signature schemes have shown that our scheme can allow users to recover their private keys without storing the passwords accurately. Hence, our scheme can improve the account security and recoverability of the data-sharing systems across physical and virtual platforms that use blockchain technology.

모듈러 특성을 이용한 공간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Steganographic Method on Spatial Domain Using Modular Characteristic)

  • 박영란;신상욱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13-119
    • /
    • 2006
  • 화상을 이용한 심층암호는 화상에 숨긴 비밀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비밀 통신의 한 방법이다. 디지털 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은닉시키기 위해서 엄폐화상은 은닉 알고리즘에 의해 변경이 되며, 그 결과 은닉화상이 생성된다. 송신자는 의미 없는 일반적인 엄폐화상에 비밀 메시지를 숨긴 은닉화상을 수신자에게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상의 연속 두 화소간의 차분과 비밀 양자화 범위를 이용하여 비밀 메시지를 은닉하는 공간 영역 기반의 심층암호 기법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 방식은 삽입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모듈러 연산을 이용한다. 제안 방식은 모듈러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기존의 관련 방식[6]보다 비밀 메시지의 삽입용량을 평균 60% 정도 더 증가시킬 수 있었다.

안전한 전송을 위한 MRNS(Mixed Radix Number System)네트워크에서의 비밀 다중 경로의 설계 (The Design of Secret Multi-Paths on MRNS(Mixed Radix Numbers System) Network for Secure Transmission)

  • 김성열;정일용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6호
    • /
    • pp.1534-1541
    • /
    • 1996
  • 경로 보안은 데이타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경로의 비밀성에 관한 것이다. 만일 경로의 일부분이라도 알려진다면 이 경로를 통해 전달된 데이타가 유출될 확률은 크 다. 이런 이유때문에 데이타의 전송경로는 보호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우리는 한 개 의 중간노드를 비밀리 선택하여 기존의 최단 거리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하는 방 법을 선택하지 않고 이 중간 노드를 이용하여 데이타를 전송한다. 더 나아가 우리가 여러 개의 비밀경로를 이용한다면 한 개의 경로에 모든 데이타를 보내는 대신에 각 경로에 partial 데이타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타의 보안은 좀 더 강해진다. 이 러한 아이디어를 실현하기 위해 데이타는 정보분산 방법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partial 데이타로 나누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아이디어를 네트워크상 에서 구현한다.

  • PDF

안전한 통신을 위한 비밀 경로 알고리즘의 분석 (An Analysis of the Secret Routing Algorithm for Secure Communications)

  • Yongkeun Bae;Ilyong Chung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105-116
    • /
    • 1997
  • 경로 보안은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선택된 경로의 비밀성에 관한 것이다. 만일 경로의 일부분이라도 알려진다면 이 경로를 통해 전달된 데이터가 유출될 확률은 높아지므로 데이터의 전송 경로는 보호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중간 노드를 비밀리 선택하여 기존의 최단 거리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대신에 이 중간 노드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목적 노드에 보낸다. 더 나아가 여러 개의 비밀 경로를 이용한다면 한 개의 경로에 모든 데이터를 보내는 대신에 각 경로에 partial 데이터를 보낼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의 보안은 좀 더 강해진다. 본 논문에서는 MRNS네트워크 상에서 특수한 메트릭스를 응용하여 시간 복잡도가 O(l)인 비밀 다중 경로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불확실성의 관점에서 이 알고리즘의 안전도를 분석한다.

임계 방식 기반 안전 비밀조각 공유 P2P 시스템 연구 (Study on Threshold Scheme based Secure Secret Sharing P2P System)

  • 최정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3호
    • /
    • pp.21-33
    • /
    • 2022
  • 본 논문은 기업비밀 노출로 초래될 손실을 현격히 줄일 안전 비밀조각 공유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연구 시스템은 중앙서버 방식이 아닌 효율적 P2P 분산 시스템을 제안한다. 최근 비트코인 유통 시스템도 역시 P2P 분산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능이 단순하고 확장성이 높고 전송 효율적인 토렌트 P2P 분산 구조와 그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토렌트 파일조각 대신 임계 샤미르(Shamir) 비밀조각의 보안 유통을 설계한다. 본 연구는 임계 샤미르 비밀조각 공유기법 (Threshold Shamir Secret Sharing Scheme)을 시스템에 적용하고. 동시에 다중 협동장치의 서명기법을 사용하여 안전하고 강력한 다중인증방식의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안전한 비밀 데이터 유통도 공개키로 암호화 교환된 임시키의 대칭암호방식의 효율적 암호화로 전송을 한다. 짧은 유효기간의 임시키는 세션 동안 생성되고 세션 마감후 소멸하므로 키 노출에서 안전하다. 특별히 본 제안한 시스템의 특징은 임계 분산기법을 효율적 토렌트 P2P 분산 시스템에 구조적 변경없이 효과적으로 적용한다. 동시에 본 시스템은 효율적인 임시키 대칭암호방식으로 비밀파일 유통에 기밀성을 보장하고 임시키는 공개키 암호방식으로 안전하게 교환된다, 본 시스템은 외부 유출 기기도 사용자로 동적 등록이 가능하다. 이 확장성으로 기밀성과 인증성을 동적으로 등록된 사용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군사기밀 유출 사례 분석을 통한 군 내부정보 유출 방지 방안 : 내부자 행위 중심으로 (Measures to Prevent the Leakage of Military Internal Inform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Military Secret Leakage Cases: Focusing on Insider Behaviors)

  • 엄정호;김남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85-92
    • /
    • 2020
  • 최근에 발생한 군사기밀 유출 사례 중에는 정보통신망을 이용한 내부정보 유출은 드물다. 그 이유는 군 업무 특성상 국방정보통신망은 자료 전송용 인터넷과 내부 업무용 인트라넷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인터넷망을 통해서 자료를 송·수신할 때는 까다로운 절차를 거치게 때문이다. 최근 군사기밀 유출 사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유출 경로는 비밀을 복사하여 넘겨주거나 스마트폰으로 촬영하여 전송하거나 기밀 내용을 기억한 후에 발설한 것이다. 그래서 정보통신망을 대상으로 한 군사기밀 유출 차단 또는 탐지하는 기술은 효과적이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출 대상인 군사기밀이 아닌 유출 주체자인 내부자 행위에 중점을 두고 정보유출 방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 번째는 군사기밀을 유출하는 행위를 차단하는 예방 대책이고 두 번째는 군사기밀 파일에 의심스러운 접근행위를 차단하는 방안이며, 마지막으로 내부자의 정보유출 행위를 탐지하는 방안이다.

XNOR-XOR과 피보나치 기법을 이용하여 이미지에서 한글 비밀 메시 지를 은닉하는 방법 (An Approach of Hiding Hangul Secret Message in Image using XNOR-XOR and Fibonacci Technique)

  • 지선수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9-114
    • /
    • 2021
  • 네트워크 환경에서 다양한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송수신되는 민감한 비밀 정보를 공격자로부터 보호하는 것은 어렵다. 이미지에 비트화된 비밀 자료를 LSB 기법으로 은닉하는 것은 공격에 매우 취약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암호화와 정보은닉이 결합하는 하이브리드 방법이 활용된다. 이용자가 비밀 메시지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비밀 통신을 구현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즉, 이미지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보안성과 인식 불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접근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 MSB와 LSB를 기반하여 커버 이미지에 한글 메시지를 은닉하는 LSB 스테가노 그래피 기법을 제안한다. 이때 한글을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리한 후, 비밀 자료는 선택된 MSB에 따라 Exclusive-OR 혹은 Exclusive-NOR 연산을 적용한다. 또한 계산된 비밀 자료는 피보나치 기법에 의해 변환된 커버 이미지의 LSB n개 비트에 은닉한다. 적용된 결과의 효율성을 확인하기 위해 PSNR을 이용하였다. 허용되는 결과로서 적합한 41.517(dB)가 확인되었다.

스테가노그라피 기법이 적용된 QR코드 이미지 기반의 키 교환 프로토콜 (A Key Exchange Protocol based on the Steganography with the QR code)

  • 이길제;윤은준;유기영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6호
    • /
    • pp.173-179
    • /
    • 2013
  • 기존의 키 교환 프로토콜은 암호학적 방법들을 사용하여 비밀 키를 전달해왔지만, 공격자들로 하여금 다양한 공격을 받아왔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스테가노그라피 기법을 이용한 키 교환 프로토콜을 제안하였다. 스테가노그라피 기법은 이미지, 문서, 동영상, MP3 파일 등에 비밀 정보를 숨겨 공격자가 비밀 정보가 전달되고 있다는 것을 모르게 하는 방법으로 비밀 키를 공격자의 의심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2차원 바코드인 QR코드를 비밀 키가 삽입되는 이미지로 사용하여 공격자가 QR 코드를 스캔하여도 QR코드 생성 시 사용되었던 URL로 접속하게 되며 QR 코드에 비밀 키가 삽입된 것을 인식하지 못하게 한다. 실험을 통해서 기존의 스테가노그라피에서 사용되었던 이미지와 QR코드의 이미지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여 QR 코드 이미지를 사용했을 때 효율성을 검증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