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curriculum

검색결과 501건 처리시간 0.03초

개화기이후 가정과교육의 사적 고찰 - 1900~1945년을 중심으로 - (A Brief Hist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Modern Period (GAEWHA-KI) - (1900~1945))

  • 양문식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2-106
    • /
    • 1973
  • Brief histor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fter modern period (GAEWHA-KI) (1900~1945).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our country is known to have been developed mainly through school education by need of women education. The first period is construed "from 1890's until before the conclusion of ULSABOHO treaty, which can be referred to as an inception of the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by including subjects of sewing and manual arts in the curriculum of EWHA-hakang. The second period is "from the conclusion of ULSABOHO treaty in 1905 until the a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was decreed, transition of the education for home economics and major curriculum thereof and the text books of home economics are handled. The third period is "from the promulgation of CHOSUN education act in 1911 until the fall of Japan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is period is described in terms of national education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The education was first renewed by women missionaries with the onset of "blooming period (GAEWHA-KI)" and school education of home economics far educating women was initiated at EWHA-hakdang in 1896, in 1908, with the pronulgation of the act of higher education for women, major curriculum and subjects were set up and text books of home economics were also compiled. In accordance with CHOSUN education act in 1911, housekeeping and sewing subjects at secondary school were taught 10 hours a week with the emphasis on general education and practical subject oriented training. Home economics under the Japanese rule was so educated as to imbue, students with the sense of nationality by teaching Korean custom and family habits.

  • PDF

탐구형 소프트웨어의 활용에 따른 중학교 기하영역의 지도계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Sequence in Secondary School Geometry Using Dynamic Software)

  • 류희찬;정보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2권1호
    • /
    • pp.111-144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truction sequence and teaching units for secondary school geometry using dynamic computer software like CabriII, GSP, Wingeom, Poly. For this purpose, literature was reviewed on various issues of geometry education and geometry curriculum using dynamic software. By the literature review, instructional sequence for teaching geometry in middle schools was designed. And, based on the newly developed instructional sequence, one sample teaching unit was developed. The basic principles for the development were to connect intuition geometry and formal geometry, and to emphasize students' investigative experience. Finally, experiment to check out teachers' response to the newly developed material was conducted by using questionnaire.

  • PDF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주생활 영역 내용 변화 - 1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 (Changes of Housing in the FCS Curricular from the 1st to 2009 Revised of Secondary School)

  • 허영선;김남은;최민지;백민경;곽선정;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95-118
    • /
    • 2013
  • 이 연구는 교육과정이 고시된 1차 교육과정부터 현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9회 시기의 가정과 교육과정 문서에서 주생활 영역과 관련된 내용이 어떻게 변화되어왔는지를 성격, 목표, 내용 체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자료는 국가교육과정 정보센터(NCIC) 홈페이지(http://www.ncic.re.kr/2012. 04. 08)의 교육과정 자료실에 탑재된 1차 교육과정(1955. 08)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2012. 03)에서 중 고등학교 가정과(실업 가정과) 교육과정을 다운 받아 주생활 영역에 중점을 두어 내용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시기별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에서 주생활 영역을 살펴본 후, 주생활 내용 체계를 중 고를 나눠 대단원, 중단원, 소단원, 내용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정과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를 거치면서 교과명, 교육목표, 교육내용, 이수범위, 학년별 시간 배당, 교육내용 선정 및 조직과 강조점이 변화하였다. 교과명은 실업(교수요목기)->실업 가정(1차교육과정)->실업 가정, 가정(2차~6차)->실과(7차 이후)로 변화하였다. 교육목표는 직업교육적 접근(1차~3차 교육과정)->보통 교육적 교양 교육적 접근(4차~7차)->비판적 접근(2007 개정 이후)으로 변화하였다. 가정과목의 이수는 여학생만 대상으로 하다가 6차 교육과정부터 남녀 공통이수로 변화하게 되었으며, 학년별 이수시간은 감소하였다. 교육내용은 노작교육의 형태에서 가족 및 일상생활과 가정과 관련된 직업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둘째, 교과의 성격은 1차 교육과정에서는 제시되었으나 2차 교육과정 이후 5차 교육과정까지는 제시되지 않다가 6차 교육과정부터 중 고로 나눠 다시 제시되었고, 7차 교육과정부터는 고등학교 가정과학에서 주생활 영역의 성격을 따로 기술하고 있다. 셋째, 목표는 1차에서 5차 교육과정까지는 교과 목표와 과목 목표를 모두 제시하였고, 6차 교육과정에서는 가정 교과의 목표만 제시되었고, 7차 교육과정부터는 목표와 성격이 통합적으로 제시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일반적인 교육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성취해야 하는 성취기준을 제시하면서 목표가 포함되어 기술되었다. 교육과정에 반영되는 시대적인 관점에 따라 제시되는 관점도 변화하였는데, 점차 사회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목표가 설정된 가치관 교육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주생활 교육내용은 교육과정이 개정 될 때마다 지도범위의 증가와 감소 및 영역별 변화가 크게 나타났으며 사회적인 흐름이 반영되어 변화하였다. 중학교 수업시수의 감소와 함께 일부 학년으로의 집중현상과 영역별로 제시되었던 단원이 통합되어 나타나는 형태로 변화하였다. 환경에 대한 관심에 따라 친환경 주거, 코하우징, 유니버설 등 새로운 개념들이 도입되었고,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주생활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사회 인간 환경에 대한 배려와 나눔에 관한 내용을 주요 학습내용으로 제시되면서 시대적인 흐름을 반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는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의 변화로 필수에서 선택이수로 변화하였고, 영역은 더 세분화되었다. 세계화의 흐름에 맞추어 다른 나라의 주생활 문화를 비교하는 내용이 등장하였으며 환경친화적인 가치관과 지속가능한 주생활 양식, 사회 인간 환경에 대한 배려와 나눔에 관한 내용이 제시되면서 사회적 관심사를 반영하고 있었다. 고등학교의 학습내용은 중학교의 학습내용에서 세분화되고 심화되어 구성되었으며, 고등학교는 중학교와 달리 주거와 개인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라 그 범위가 확대되어 지역사회 및 환경, 주택 시장의 상황, 공동체적 삶까지 고려한 거시적인 관점으로 제시되었다.

  • PDF

액체 상태에서의 현상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의 설명 (Perspective Primary Teachers' Explanations of Liquid-State Phenomena)

  • 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4호
    • /
    • pp.371-384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perspective teachers' conceptions of liquid-state and get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or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instrument was composed of seven questions focusing on aspects of liquid-state phenomen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have various alternative concepts about liquid-state. The problem revealed in almost every question was their macroscopic explanations for the phenomena. In addition, it appeared that the participants seemed to understand phenomena in terminology level, but they didn't know basic reasons or fundamental concepts about the phenomena. It is required to change the curriculum or instructional methods in secondary school and teacher education programs to anchor the scientific concepts on molecular or microscopic level.

  • PDF

남북한 중등학교 수학교육의 통합방안 모색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 우정호;박문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49-70
    • /
    • 2002
  • There have recently been increasing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n many areas of society, involving politics, economics, culture,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developments, research activities are more strongly demanded in each of these areas to help prepare for the final unification of the two parts of the nation. In the area of mathematics education, scholars have started to conduct comparative studie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As a response to the growing demand of the time, in this thesis we compared the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in South Korea with that in North Korea. To begin with, we examined the background of education, in North Korea, particularly predominant ideological, epistemological and teaching theoretical aspects of education in North Korea. Thereafter, we compared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South Korea with that of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ese examinations, we compared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we attempted to suggest a guideline for researches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of the mathematics curriculum of South and North Korea. As a communist society, North Korea awards the socialist ideology the supreme rank and treats all school subjects as instrumental tools that are subordinated to the dominant communist ideology. On the other hand, under the socialist ideology North Korea also emphasizes the achievement of the objective of socialist economic development by expanding the production of material wealth. As such, mathematics in North Korea is seen as a tool subject for training skilled technical hands and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hence promoting the socialist material prod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Hence, the mathematics education of North Korea adopts a so-called "awakening teaching method," and emphasizes the approaches that combine intuition with logical explanation using materials related with the ideology or actual life. These basic viewpoints of North Korea on mathematics educ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of South Korea, which emphasize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acquisition of academic mathematical knowledge, and which focus on organizing as well as discovering knowledge of learners' own accord. In comparison of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sed in South and North Korea, we looked through external forms, contents, quantity of each area of school mathematics, viewpoints of teaching, and term. We have identified similarities in algebra area and differences in geometry area especially in teaching sequence and approaching method. Many differences are also found in mathematical terms. Especially, it is found that North Korea uses mathematical terms in Hangul more actively than South Korea. We examined the specific topics that are treate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outer-center & inner-center of triangle" and "mathematical induction", and identified such differences more concretely. Through this comparison, it was found that the concrete heterogeneity in the textbooks largely derive from the differences in the basic ideological viewpoint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we attempted to make some suggestions for the researches preparing for the unification in the area of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 PDF

중등학교 가정과교사의 자격기준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the requirement criteria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 백인경;왕석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105-125
    • /
    • 2009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교사로서 필요한 자격을 실증적 자료 수집에 의한 통계적 검증 과정(주성분분석)을 통해 확인하여 제시하고, 교사와 학생이 가정과 교사의 자격기준 중 어떤 요인(자격기준)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는지를 조사하여, 중등학교 가정과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로서의 자격을 확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주성분 분석 과정을 통하여 확인된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의 전문가', '다양한 학습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 '전문적 지식을 갖춘 교과 전문가', '공정하며 민주적인 교실 환경 조성자', '학생의 특성과 환경을 이해하는 진로 및 상담전문가'의 6가지로, 이러한 6개의 총 요인은 전체분산의 60.41%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6가지 자격기준 모두를 가정과 교사가 학생보다 가정과교사에게 필요한 자격으로 보다 중요한 자격기준이라고 응답하였으나, 각 자격기준의 중요도의 순위는 동일하여서 교사나 학생집단 모두 '교직 사명감과 건전한 인성을 가진 학생의 지원자'영역을 가정교사의 가장 중요한 자격기준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자격기준은 '평가와 연계된 수업 전문가'영역으로 나타났다. 한편, 가정과 교사들은 남자교사보다는 여자교사가, 복수 부전공을 이수한 교사일수록, 또 교사연수에 참여한 횟수가 많은 교사일수록, 가정과 교사 자격기준의 6개 요인을 보다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학생들은 가정 실습의 횟수가 많은 학생일수록, 또 가정 담당 교사를 좋아하는 학생일수록, 그리고 기술 가정 교과 성적이 높으며, 가정 영역에 대한 흥미도가 높은 학생일수록 가정과 교사자격기준의 6개 각 요인이 가정과 교사에게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학생의 교사 인식에는 가정과 수업에서의 실습, 교사 선호도, 교과에 대한 흥미도와 성취도 여부가 중요한 변인으로 규명되었다.

  • PDF

The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An Attempt for Change

  • Wong Ngai-Ying;Chiu Ming Ming;Wong Ka-Ming;Lam Chi-Chung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25-45
    • /
    • 2005
  • Background Phenomenography suggests that more variation is associated with wider ways of experiencing phenomena. In the discipline of mathematics, broadening the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might enhance students' ability to solve mathematics problems Aim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1. enhance secondary school students' capabilities for dealing with mathematical problems; and 2. examine if students' conception of mathematics can thereby be broadened. Sample 410 Secondary 1 students from ten school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reference group consisted of 275 Secondary 1 students. Methods The students were provided with non-routine problems in their normal mathematics classes for one academic year. Their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their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their problem-solving performance were measured both at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year. Results and conclusion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 of students receiving non-routine problems improved more than that of other students, but the effect depended on the level of use of the non-routine problems and the academic standards of the students. Thus, use of non-routine mathematical problems that appropriately fits students' ability levels can induce changes in their lived space of mathematics learning and broaden their conceptions of mathematics and of mathematics learning.

  • PDF

초중등 과학교사들의 과학연구윤리교육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f Science Teachers Regarding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 김성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chool teachers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perception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 survey was administer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167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studying in K University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The survey was organized to examine participants' 1) science research ethics awareness, 2) status of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3) needs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4)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in school. Each item was responded using either 1 to 5 Likert type scale, multiple choices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both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above average interest in science research ethic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nterest than elementary school teachers(p<0.05). In degree of awareness of science research ethics, plagiarism (M=3.9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free-riding(M=3.78), the scientist's social responsibility(M=3.71), and forge(M=3.61). In response science research ethics problem occurs in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more than the average(M=3.39). Teacher's response on the teaching of science research ethics ranges from 3.02 to 4.47, but each science research ethics elements was showed a large deviatio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that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needed(M=4.34).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school curriculum. Eighty-five percen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should be started from elementary school. 'Discussion-type classes with examples' was preferred as an effective teaching. And teachers needed 'instructional materials' and 'teachers training' for science research ethics education.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achers' Perception of Participation in School Curriculum Organization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 박미정;임윤진;권유진;이광재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34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기술·가정과 교사의 학교교육과정 편성 참여와 고교학점제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의표집 방법으로 전국의 중등 기술·가정과 교사 345명의 설문 자료를 SPSS 24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 F검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현재 단위 학교에서 기술·가정과 교육과정 편성 시수가 부족하고(61.1%), 교사의 수도 부족(53%)하다고 인식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부분 참여하고 있었으며(62.0%), 향후 학교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도 매우 높았다(4.47, 89.9%). 둘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대해 보통 이상으로 알고 있었고(3.34) 긍정적인 인식(37.7%)보다 부정적인 인식(52.8%)이 많았다. 고교학점제 도입으로 학생들의 진로 선택(3.88)과 전공 분야의 전문내용 심화(3.81)를 긍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한 반면, 비입시 과목으로 인한 선택 감소(3.90)와 이에 따른 교사 전보의 어려움(3.57) 등을 부정적인 영향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기술·가정과 교사들은 고교학점제 도입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진로선택과목의 조정(4.51), 선택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보급(4.46), 기술과 가정의 분리(4.45), 평가방법 및 적용에 대한 연수 제공(4.44)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술·가정 교과가 차기 교육과정 개정과 고교학점제에 지혜롭게 대비할 수 있는 기초 자료와 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과정 편제에 대한 논의의 단초를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중등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and its Implementation)

  • 이옥화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12
    • /
    • 2006
  •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과의 7차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교육과정의 개선에 관한 제언을 하고자 이루어졌다. 선택과목인 컴퓨터교과의 운영 현황은 1. 컴퓨터 보유 현황, 2. 컴퓨터교과목을 선택한 학교 현황, 3. 컴퓨터 과목 담당 교사의 전문성, 4. 컴퓨터교사의 업무량, 5. 컴퓨터 과목의 교수학습 자료, 6.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 7. 컴퓨터 수업 운영의 어려운 점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5년도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통계, 2005년 9월의 국회국정감사자료를 이용하였고, 2005년도 7월에 경기도 충청도 지역의 컴퓨터 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심층 면접한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에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