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class

검색결과 242건 처리시간 0.021초

A Practical Study o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Class

  • 이동로;이상복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JOINT CONFERENCEOF KDISS AND KDAS
    • /
    • pp.229-233
    • /
    • 2006
  • I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most math teachers do it and students enjoy it well before 11th grade. But,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feel statistics hard at 11th grade, which has been contained permutations, combinations, random variables, probability distributions, hypotheses and tests for normal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statistics for math teachers and also find many students enjoying it.

  • PDF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 (Secondary School Students' Epistemological View and Ontological View about Nature)

  • 원정애;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158-1172
    • /
    • 2004
  • 이 연구는 중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관점중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러한 관점의 원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156명의 중등학생들이 참여했고, 자료는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이 설문지는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연구 결과, 중등학생들의 자연에 대한 관점 중에는 자연은 알 수 없다는 인식론적 관점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관점의 근원은 자연의 규칙성과 조화, 예측 가능한 자연 현상, 자연 현상의 순환 과정이나 인과 관계,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등으로 매우 다양하였다. 중등학생들의 존재론적 관점에는 초자연적인 관점이 가장 많았다. 존재론적 관점들 중에서 학생들의 초자연적 관점은 그들의 신학적 측면의 영향이 광범위하게 나타났다. 과학이 다루는 세상이면서 동시에 과학의 대상물이 존재하는 물질세계인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은 학습자가 과학 학습을 어떻게 이해하는지에 대한 바탕을 제공하는 중요한 자료가 된다. 앞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자연에 대한 인식론적 관점과 존재론적 관점과 그들의 과학 학습 과정 사이의 관련성의 연구가 필요하다.

제7차 교육 과정에 따른 중학교 수학 교과에서의 특별 활동 (On the Educational Management of Extra Curricular Activity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under the 7th Curriculum)

  • 박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0권1호
    • /
    • pp.53-66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activate mathematics class in the extra curricular activity under the 7th curriculum. For that purpose, we investigate the current management of the extra curricular activity in the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and analysis the result. We suggest the main counterplan to activate mathematics class of extra curricular activity as following; (1) Develope teaching materials and programs for mathematics class. (2) Get the mathematics laboratory.

  • PDF

A Note o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chool Class

  • Lee, Sang-Bock;Lee, Dong-R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7권2호
    • /
    • pp.449-453
    • /
    • 2006
  • In teaching statistics in the secondary school, most math teachers do it and students enjoy it well before 11th grade. But, both of teachers and students feel statistics hard at 11th grade, which has been contained permutations, combinations, random variables, probability distributions, hypotheses and tests for normal distribution.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icient teaching methods of statistics for math teachers and also find many students enjoying it.

  • PDF

자율주행 자동차를 이용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using Self-Driving Cars)

  • 류혜인;이정훈;조정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7호
    • /
    • pp.227-23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인공지능을 활용하여 실생활의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전 연구에서 개발한 K-12 대상 인공지능 교육체계를 기반으로 설계한 교육 프로그램은 실생활의 문제 중에서 최근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주요 주제로 선정하여 총 12차시로 구성하였다.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교육의 효과성 분석과 수업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와 인공지능 효능감이 향상된 것으로 확인하였고, 수업 만족도는 교육 내용, 수업에 대한 재미, 수업의 난이도, 인공지능에 대한 흥미 등 모든 항목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등 학생 대상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nalysis of Keywords and Language Networks of Pedagogical Problems in the Secondary-School Teacher's Employment Exam : Focusing on the 2019~2022 School Year Exam

  • Kwon, Choong-Ho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7호
    • /
    • pp.115-12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2019~2022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교육학문제의 연도별 핵심어와 그 경향, 핵심어들의 언어네트워크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는 것이다. 주요 연구방법론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이었으며, 분석프로그램으로는 KrKwic, Wordcloud Maker, Ucinet6, NetDraw 등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교육학문제의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는 교사, 학생, 교육과정, 수업, 평가 등의 기존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들이었으며, 최근 코로나 19 상황의 온라인수업 진행을 반영한 핵심어(온라인, 위키, 토의식, 정보 등)들도 추가로 등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4개년도 통합 텍스트에서의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는 학생(44), 교사(39), 수업(27), 학교(18), 교육과정(16), 온라인(10), 토의식(8) 등이었다. 둘째, 4개년도 상위출현빈도 핵심어들의 전체 언어네트워크는 상당한 수준의 밀도(0.566), 총연결수(492), 평균연결정도(16.4)로 분석되었다. 연결정도 중심성은 교사(199.0), 수업(197.0), 학생(185.0), 학교(150.0) 순으로 나타났으며, 매개 중심성은 교사(30.859), 수업(18.956), 학생(16.054), 학교(15.745)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중등교사 임용시험 수험생인 예비교사, 해당 시험 출제 관리하는 기관과 관련자, 중등학교 예비교사 양성기관의 교수자와 행정가들에게 고려해볼 만한 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초.중등학교에서 진행되는 환경 관련 수업의 현황 분석 (Analyzing the Status of Environment-related Teach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손연아;박정은;민병미;최돈형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0권3호
    • /
    • pp.45-6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atus of environment-related teach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Items in the questionnai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heory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tegrated education. The questionnaire was responded to 501 elementary school teachers, 273 middle school teachers, and 210 high school teachers in the city of Seoul and Kyunggi Province. The survey analysis revealed tha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s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for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Contrary to the teachers' expectations, it was found that there is insu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for teaching in the domain of 'environmental action skills' and they could not confidently teach the skills in environment-related class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teachers in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pre- and in-service programs will be developed systematically in a workshop to give teachers an opportunity to analyze teaching materials, design instruction plan, perform class trial, and evaluate the class situation for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erve as a basic reference for improvement of environment-related subject education.

  • PDF

Students' Salivary Cortisol level and Emotional intensity vary by teacher's teaching style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

  • Lee, Jun-Ki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9권7호
    • /
    • pp.783-791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my hypothesis that how teacher's teaching style influences emotional and physiological states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Sixty healthy secondary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ivided into two groups: manipulation and non-manipulation. Each group underwent different styles of teaching on the scientific hypothesis-generating of com starch experiment. Before and after the class, the strength of emotion was measured using adjective emoticon check lists and they extracted their saliva sample for salivary hormone analysis. Here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intensity of positive emotions in the manipul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one in the non-manipulation group, whereas the intensity of negative emotions in the non-manipulation group was significantly stronger than the one in the manipulation group. Second, the cortisol level, an indicator of stress, was decreased in the manipulation group whereas it was increased in non-manipulation group. Third, the quality of scientific hypotheses which is generated by students during the class had no connection with types of instructions. Fourth, this study fou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tudents' emotional intensity of interest and concentration changes of salivary cortisol. Therefore, the different teaching styles have influence upon students' attitude and interest in science.

Demographics, Social Media Use and Perceived Academic Stres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t. Thomas Aquinas College, Akure, Nigeria

  • Igbinovia, Magnus Osahon;Idhalama, Ogagaoghene Uzezi;Alex-Nmecha, Juliet C.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7-29
    • /
    • 2019
  • The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mographics and social media use on perceived academic stres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t. Thomas Aquinas College, Akure, Nigeria. This was achieved using five research questions and four null hypotheses. The population of the study consisted of 1,107 students at ISCED level 3, out of which 286 were selected based on the Israel (2003) model for determining sample size. The Ex-Post Facto (EPT) research design of the correlational type was employed to investigate the study while questionnaire was used for data elicitation. Out of the 286 copies distributed, 192 (67% response rate) were retrieved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inferential statistic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is high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majorly for meeting new friends and chatting. The perceived academic stress (PAS) of the students was found to be moderate. Of the three demographics considered, only cla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PAS. Use of social media did not have significantly influence on PAS of the students. When combined, demographics and social media use predicted PAS; and when considered relatively,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only class as an aspect of demographics predicted PAS. Therefore, the authors concluded that PA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is not directly influenced by demographics (except for class) and social media use. Based on the study's conclusion, recommendations were made.

초·중등학교에서의 인공지능 융합교육 수업 설계를 위한 제언 (Suggestions for Class Design of Artificial Intelligence Convergence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 윤혜진;조정원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2-184
    • /
    • 2022
  • 초·중등학교 교육에서 인공지능(AI)이 강조됨에 따라, 교과 활동에 AI를 접목한 수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에서의 AI 수업은 관련 교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교과를 통해 이루어지므로, 교수자는 융합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수·학습 및 평가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먼저 융합교육의 의미와 효과적인 수업 활동을 위해 검토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초·중등학교에서의 AI 수업 설계를 위해 고려할 사항에 대해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특징, 교육과정 총론에 제시된 학교급별 교육목표, 수업 내용 구성을 위해 참고할 자료, AI가 적용된 소프트웨어에 대한 관점, 예상 수업 절차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제언으로서 첫째, 초·중등학교 교육의 특징에 기반하여 AI 교육을 통해 함양할 수 있는 역량 도출의 필요성과 둘째, 학교에서의 AI 교육의 기존 사례 탐구를 바탕으로 교과 특성을 반영한 AI 수업의 교수·학습 설계 요소 및 절차 규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