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sonal catche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 남해와 동해 연안역 주요 먹이 어종의 풍도변화에 따른 삼치 개체군의 변동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김진영;김영순;김희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811-820
    • /
    • 2021
  • The population variation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according to its major prey abundance was analyzed using monthly catches of coastal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waters off Gyeongsangnam-do and eastern waters off Gyeongsangbuk-do of Korea from 2006 to 2019.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and its prey species fluctuated almost simultaneously with time lags of +2 to -2 months between the set net fisheries in the southern and eastern waters.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revealed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was influenced by its prey species such as hairtail and anchovy in southern waters, and common mackerel and horse mackerel in eastern waters. The model deviance explained 49% and 42% of Spanish mackerel abundance in southern and eastern water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bundance of Spanish mackerel is affected by seasonal migratory prey fish species in the coastal areas and can be linked to their northerly migration.

태안 연안에서 통발어선과 자망어선의 상업적 조업에 어획된 수산생물의 종조성 및 계절 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the aquatic organism caught by commercial fishing of the pot and gill net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Korea)

  • 정경숙;임양재;차병열;황학진;권대현;박종수;조현수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387-400
    • /
    • 2012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aquatic organism in the coastal waters off Taean, Korea were investigated using catches by commercial fishing of the pot and gill net from April 2010 to January 2011. A total of 58 species, 10,602 individuals and 547,569g of aquatic organism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quatic organism were composed of 22 species of Pisces, 20 species of Crustacea, 8 species of Gastropoda, 3 species of Echinodea, 2 species of Cephalopoda and Bivalvia, and 1 species of Holothuroidea. 41 species in 9 orders and 22 families were collected by the pot, and 28 species in 15 orders and 22 families were collected by the gill net. Volutharpa ampullacea was the most dominant in the pot, while Okamejei kenojei was the most dominant in the gill net. These two species accounted for 73.9% in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64.4% in biomass.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 in spring in the pot, and autumn in the gill net.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highest in winter and summer respectively in the pot, and summer in the gill net. The number of species of the consignment quantity caught by commercial fishery of the pot and gill net in Mohang was 12 and 14 respectively. Cluster analysis based on species composition of the 18 most common species showed that the species were separated into 3 different group. Group A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spring, group B was composed of species which were abundant in summer and autumn, and group C was composed of year-round residents.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에 의한 노린재류의 난기생봉 Ooencyrtus nezarae의 유인과 발생소장 (Seasonal Occurrence and Attraction of Egg Parasitoid of Bugs, Ooencyrtus nezarae, to Aggregation Pheromone of Bean Bug, Riptortus clavatus)

  • 허완;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1-137
    • /
    • 2005
  • 경남진주의 콩포장과 대학 캠퍼스에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을 사용하여 난기 생봉인 Ooencyrtus nerarae(Hymenoptera: Encyrtidae)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 설치된 트랩에 유살된 암컷의 수는 수컷 유살수의 317.5배와 103.4배이었고, 2004년 콩포장에서는 12.6배이었다. 콩포장에서 O. nezarae의 암컷은 8월 하순부터 유살되기 시작하여 9월 20일 전후에 가장 많이 유살되었다. 2003년과 2004년에 대학 캠퍼스에서는 8월 중하순부터 밀도가 증가하여 9월 상중순에 최성기를 나타내었다. 두 조사지역에서 모두 10월 이후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집합페로몬 세 성분, 즉 (E)-2-hexenyl (Z)-3-hexenoate(E2HZ3H)와 (E)-2-hexenyl (E)-2-hexenoate(E2HE2H) 및 myristyl isobutyrate(MI) 중에서 E2HZ3H 만이 O. nerarae에 대해 유인력을 나타내었다. E2HZ3H:E2HE2H:MI를 7:36:7로 배합한 것보다는 20:20:10이나 16.7:16.7:16.7으로 배합한 트랩에 더 많은 수가 유인되었는데, 이는 배합된 E2HZ3H의 량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誘蚊燈에 捕獲된 모기類의 季節的 發生消長: 大邱市隣近 한 豚舍를 對象으로 (Seasonal Prevalence of Mosquitoes Collected with Light Trap - At a Pig Shed in the Vicinity of Daegu City, Korea-)

  • 孫錫洛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17-125
    • /
    • 1984
  • 1. 14個月間 養豚과 養鷄를 主業으로 하는 한 農家의 豚舍에 誘蚊燈을 設置하여 誘引捕獲된 모기類의 總個體數는 1981年에 12,942, 1982年에는 118,061로서 1982年度 것이 新年度보다 約 9.1培 많았으며 性比는 1981年度에 암컷이 77%, 수컷은 23%였고, 1982年에는 암컷이 96%, 수컷은 4%였다. 2. 誘蚊燈으로 捕獲된 모기類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 C. (C.)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C. (C.) vagans, C. (C.) orientalis, C. (C.) bitaeniorhynchus, Aedes (Aedimorphus) vexans nipponii,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7種이었다. 3. 7種 中 季節消長이 뚜렷한 種으로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 C. (C.)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3種으로서 捕獲成績順으로 配列하면 1981年에는 Culex (Culex) pipiens pallens가 全모기類의 44.9% (性比 : 0.85), Anopeles (Anopheles) sinensis 42.9% (0.05),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년 12.1% (0.01)였으며 1982年度에는 反對로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 70.4% (0.00), Anopheles (Anopheles) sinensis 25.2% (0.05), Culex (Culex) pipiens pallens 4.4% (2.19)로 나타났다. 4. 全모기類의 月別 捕獲個體數에 對한 百分率은 다음과 같다. 5月 : 0.1% (1981年), 0.0% (1982年); 6月 : 3.5%, 1.3%; 7月 : 50.0%, 33.9%; 8月 : 37.1%, 52.1%; 9月 : 8.8%, 11.9%; 10月 : 0.5%, 0.8%; 11月 : 0.1%. 5. 모기類의 出現은 1981年과 1982年 모두 5月初로서 共通性을 지니고 있으나 增加勢를 보이는 것은 다르게 나타났다. 즉, 1981年은 6月 첫째 週이고 1982年은 前年度보다 3週 앞당겨진 5月 둘째 週였다. 6. 發生最大 peak는 1981年이 7月 다섯째 週이고, 1982年은 2週가 늦은 8月 둘째 週였다. 7. Culex (Culex) pipiens pallen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度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度는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8.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 1982年 모두 8月 둘째 週였다. 9. Anopheles (Anopheles) sinensis의 最大發生 peak는 1981年에 7月 다섯째 週, 1982年은 2週 앞당겨진 7月 셋째 週였다. 10. 重要 3種의 最大 peak를 比城하면 Culex (Culex) pipiens pallens와 Anopheles (Anopheles) sinensis는 1981年과 1982年 모두 最大 peak時期가 同一하였으며, Culex (Culex) tritaeniorhynchus summoro년는 2年間 모두 8月둘째 週에 나타났다.

  • PDF

쓰시마 난류역에서의 선망 어장 환경 (Environment of the Purse-seiner Fishing Ground in the Tsushima a Current)

  • 조규대;양용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21권1호
    • /
    • pp.41-61
    • /
    • 1985
  • 선망 어업은 우리나라 연안 어업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며, 그 주 대상 어종은 고등어류이고 주 어장은 쓰시마 난류역이다. 이들의 어장과 해황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크기별 고등어 어획량의 평균 분포(1974~1982)를 파악하고, 주요 어장인 제주도 동쪽 및 서쪽에 대한 해양 관측을 1983년 7월과 10월에 각각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고등어류의 주요 어장은 역시 한국 남해의 쓰시마 난류역이었으며, 주어기는 5월과 9~10월이었다. 또 고등어류의 어획량은 체장 27~31cm(2~3세)인 소.중 고등어가 약 90%를 차지하였으나, 2~3월에는 체장 22cm (1세)의 콩 고등어가 약 40~70% 이었다. 계절적인 어장의 위치를 쓰시마 난류의 지표수인 15$^{\circ}C$ 등온선의 북상 또는 남하 위치로 알 수 있었다. 제주도 동쪽 및 서쪽의 주어장은 쓰시마 난류수와 한국 연안수 혹은 황해 저층 냉수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조경역 이었다. 또 이들 어장의 투명도 및 수색, 태양광의 투과율의 분포는 수온과 염분의 분포 및 플랑크톤 습증량의 분포와 비슷하였다.

  • PDF

제주도 근해의 옥돔 어업과 어장 환경에 관한 연구 (The fishery and fishing ground environment for red horsehead (Branchiostegus japonicus) on the adjacent seas of Jeju Island)

  • 김정창;강일권;김동선;이준호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2권1호
    • /
    • pp.19-29
    • /
    • 2006
  • To investigate the fishery and fishing ground environment of red horsehead (Branchiostegus japonicus), the author analyzed the fishery data and examined the amount of catches and oceanic environment on the adjacent seas of Jeju island and East China Sea. It was turned out that the favourable season of the red horsehead fishery is the month from March to June, the main fishing ground is located in 60 mile radius from the position $32.5^{\circ}N,\;125.7^{\circ}E$. The bottom seawater temperature in fishing ground was shown between $l3^{\circ}C\;and\;16^{\circ}C$, the salinity was appeared between 33.5 and 34.0psu without the seasonal variation of the year. Concentrations of materials(e.g, $NO_3^-\;and\;NO_2^-$) in spring and summer time in main fishing ground were higher than any other seasons, but that of phospheric materials were lower than any other seasons. Concentrations of $chlorophyll\;-\;{\alpha}$ in the main fishing ground was the highest in spring and summer at the surface layer, but the vertical profile of the $chlorophyll\;-\;{\alpha}$ concentrations in all seasons were not variable at bottom layer. Mean density of zooplankton abundance according to the vertical structure was higher and much stable in summer and autumn than spring and winter.

여자만 저층트롤 어획실태와 종조성 (Fishing investigation and species composition of the catch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Yeo-ja bay, Korea)

  • 김주일;서영일;이선길;김성태;주현;장선익;오택윤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3권4호
    • /
    • pp.241-250
    • /
    • 2007
  • Fishes were caught by a bottom trawl in the Yeo-ja bay of Korea by every three month(March, June, September and December) and seasonal variation of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studied in 2005. The catches were 1,187kg and were composed of 115 species with 20 hauls by 5 stations. The dominant species caught were Charybdis bimcaulata, Crangon hakodatei, Parapenaeus fissurus, Oratosguilla oratoria, and Thryssa purava. One hundred fifty species were identified as fish(38%), crustacea(20%), mollusca(4%) and others(38%) which including of Asterias amurensis. The amount of species was high in June and September and low in March and December. The diversity index(H') was about 1.2-2.5 and station similarity of fishes caught among the community was 0.009-0.230.

거제도 다포 연안 정치망 어획물의 종조성 및 주요 어종의 분포 특성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et-net Catches on the Coast of Dapo, Geoje Island)

  • 정경미;이동진;강수경;최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997-1005
    • /
    • 2014
  • We analyzed annual and seasonal variations in fish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patterns using both daily catch and quantitative analysis data collected from a set-net fishery over a period of two years (2011-2012) on the coast of Dapo, Geoje Island. Set-net fishing season in this area is from May to November, and the annual yield based on the daily catch data was 171,412 kg in 2011, and 102,611 kg in 2012. In total, there were 46 species (belonging to 36 families and 12 orders) in 2011, and 41 species (belonging to 25 families and 9 orders) in 2012.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numbers were Trachurus japonicus, Engraulis japonicus, Clupea pallasii, Scomber japonicus, and Sphyraena pinguis. The range in fork length for T. japonicus and E. japonicus was from 3.2 to 23.9 cm, and from 2.6 to 13.3 cm, respectively. The fork length of recruiting juveniles to the Dapo set-net fishing ground ranged from 4.6 to 7.8 cm (median) for T. japonicus, and from 4.1 to 5.0 cm (median) for E. japonicus. The fact that most of the fish caught from the two species were at immature growth stages implies that the coast of Dapo can act as a nursery area for these migratory species.

제주도 서부연안 어류군집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of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Jeju Island, Korea)

  • 이승종;고준철;유준택;임양재;김병엽;김주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67-176
    • /
    • 2009
  • 제주도 서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어종들의 군집구조와 계절변동을 알아보기 위해 2008년에 홑자망, 삼중자망 그리고 통발을 이용하여 어획물의 종조성 및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13목 45과 81종이 출현하였으며 농어목과 쏨뱅이목 어종이 전체 출현종수의 69.1%를 차지하고 있었다. 시기별 출현종수는 고수온기인 7월에 54종으로 가장 많이 출현하였고 저수온기인 4월 42종으로 가장 적게 출현하였다. 시기별 출현개체수와 생체량은 9월에 895 개체, 135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12월에 450 개체, 52 kg로 낮았다. 조사어구 중 어획량이 가장 빈약했던 홑자망을 제외한 삼중자망과 통발의 다양도 지수를 구한 결과 각각 2.88~3.22, 1.31~1.87의 범위로 변화하였고 두 어구 모두 9월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주요 우점종은 쏨뱅이, 쥐치, 호박돔, 황놀래기 등으로서 이 어종들은 계절에 상관없이 조사해역 내에서 우점 출현하고 있었다.

거베라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의 가해양상, 발생소장 및 색상별 유인량 (Damaged Aspects, Seasonal Fluctuations, and Attractivity of Various Colors on Liriomyza trifolii Burgess (Diptera: Agromyzidae) in Gerbera)

  • 박종대;구용수;최덕수;김상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97-103
    • /
    • 2001
  • 전남지역에서 아메리카잎굴파리에 의한 거베라 피해엽율은 정식후 1년차에 89.7%, 2년차에 85.5%이었다. 피해주에서 갱도에 의한 피해엽율과 흡즙흔에 의한 피해엽율은 각각 44.7%와 55.3%이었다 황색끈끈이트랩에 유인된 성충은 5월 하순에 정식한 경우 정식 1년차에는 초기부터 성충이 포획되어 8월 상순까지 포획량이 계속 증가하였으나 이후 8월 하순까지는 밀도가 감소하다가 9월 상순부터 다시 포획량이 증가하였다. 정식 2년차에는 4월 하순부터 성충이 포획되기 시작하여 5월 중순부터 급격히 증가하고 7월 상순까지 높은밀도를 유지하다가 7월 중순부터 점차 밀도가 감소하여 7월 하순부터는 낮은 밀도를 유지하였으나,포충망에 의한 조사는 9월 상순과 10월 하순에 높은 밀도를 유지하였다. 유충과 번데기 밀도변동은 성충발생과 비슷하였으나 번데기 발생 peak가 유충보다 일주일 가량 늦었다. 거베라에서 기생봉에 기생당한 유충수는 정식 5주째부터 많아지기 시작하여 8월 하순까지 기생율이 평균 65%로 높았으나 9월 상순부터는 50%수준이었다. 유색끈끈이트랩에 유인량은 황색에서 가장 많았으며, 트랩의 설치위치는 지상 30~60cm범위에서 포획량이 많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