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waste

검색결과 228건 처리시간 0.027초

망간단괴 용융환원 폐슬래그의 재활용 방안 (Survey on the Recycling of Waste Slag Generated by Smelting Reduction of Deep-Sea Manganese Nodules)

  • 박형규;남철우;김성돈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3권4호
    • /
    • pp.69-74
    • /
    • 2014
  • 심해저 망간단괴를 용융환원 제련시 발생된 슬래그에 규사와 cokes를 일정량 배합하여 아크로에서 재용융하여 Fe-Si-Mn 합금철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2차 슬래그는 아직 특정 용도가 개발되지 않은 폐슬래그로 취급되는데, 이 폐슬래그의 재활용 방안에 대하여 요업 원료로의 활용가능성과 건설재료로의 활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망간단괴 폐슬래그를 포틀랜드시멘트, 캐스타블내화물과 같은 요업원료로 사용하는 것은 조성 차이가 많아서 직접적인 활용이 곤란하고, 다른 활용방법으로서 폐슬래그를 도로 노반재나 성토재 및 복토재 등과 같은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것이 무난하다고 판단된다. 도로 건설재료로 사용시 혹시 있을지도 모를 토양 오염에 대비하여 유해물질들에 대한 용출시험을 KS 기준에 따라 수행한 결과 폐슬래그의 무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망간단괴 폐슬래그를 도로 성토재나 노반재와 같은 건설재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코자 한다.

패각류를 혼입한 모르터의 기초물성 평가 및 계면 결합상태 (Evaluation on the Properties and Interfacial Bonding Form of Mortar Mixed with Waste Shells)

  • 문훈;김지현;이재용;정철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08-209
    • /
    • 2014
  • Recently, many environmental problems occur due to the waste shells in South Korea. In case of oyster and cockle, utilizing waste shells to produce fertilizer once also, but due to sluggish consumption, production is no longer difficult. The stored amount of waste shells in the fertilizer manufacturing company is overfilled, and thus cannot accept any more of the waste shells. As a result, landfill and dumping of waste shells have become an increasingly environmental problems. In this research,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and interfacial bonding form of the mortar mixed with waste shells (manila clam, cockle, clam, sea mussel, oyster) were evaluated.

  • PDF

포항 지역 해안 투기 매립장의 수리 특성에 관한 연구 (Hydraulic Properties of a Coastal Waste Dump in Pohang, Southeastern Korea)

  • 김윤영;강동근;이강근
    • 대한지하수환경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8
    • /
    • 1996
  • 해양 투기 매립장은 바다를 메워서 만들었으므로 그 속에서의 지하수 수리 특성은 대수층이나 일반 육상 매립지안의 지하수 수리 특성과 크게 다르다. 포항 지역의 해양 투기 매립지에서 양수 시험이나 순간수위 변화 시험으로 수리 특성을 파악하기 어려워서 조석 현상과 지하수위 변화로 부터 수리 특성을 추정하였다. 투기 매립지의 지하수위는 인근 해수면보다 약 40 cm 높게 관측되었고, 그 이유를 추정하였다 매립지내 지하수와 해수와의 상관 관계는 매립지내 지하수 수질의 수직적 분포로도 설명된다.

  • PDF

폐기물 해상매립장의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장래 수도권 지역의 매립폐기물 처리를 중심으로 - (Research for Construction of Landfills at Sea Disposal of Wastes to be Reclaim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 the Future)

  • 정공일;김영수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9-180
    • /
    • 2001
  • The quantity of waste has been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and consumption after industrialization. Accordingly it caused the urban environmental problems, the lack of landfill and the pollution around the landfill. Thus, it is necessary to research the adequate alternative in the long-term. In case of Japan, areas and quantities of landfills at sea are more great than those of landfills in land. And investigating our condition, landfills of the metropolitan area in land are to be fully filled with wastes up to 2020 and be closed. In this research, construction of landfill sites at sea is suggested as the alternative waste disposal method and it is suggested that in our country, the suitable landfill sites of the metropolitan area are the regions around Jangbong-do Island and Muei-do Island. It is expected that the best way to transport wastes is to transport through Kyungin canal from the middle collection center to the lower Han River. Rough cost for construction of landfill at sea, if it is used for 50 years, is expected to be 2 trillion won and total time to construct the landfill is expected to be 10 years. Many studies concerning to this research proposal are to be performed so that construction of landfills familiar to environment are to be accomplished.

  • PDF

가연성 해양폐기물 열분해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a Pyrolysis Characteristics for Combustible Ocean waste)

  • 김용섭;김도영;황기연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30-134
    • /
    • 2001
  • Recently environmental pollution at sea becomes serious, so every governmental organization makes its effort to solve this problem. Combustible ocean wastes as of ropes, fishing nets, and tires are usually highly polymerized compound materials. The problem of ocean waste treatment can be solved by using the pyrolysis method. Pyrolysis characteristics of ocean waste was examined to get the basic data for the production system of fuel from the ocean waste. Thermogravimetric experiment showed that residual mass rate decreases as the velocity of temperature-rising becomes lower. The pyrolysis of waste rope and fishing net occurs at 300~450$^{\circ}C $ and the waste tire does at 350~450$^{\circ}C $. Pyrolysis time is estimated about 15 to 20 minutes in the temperature range when lively act of pyrolysis temperature reached.

  • PDF

천수용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시스템 개발(PART II : 시스템 구성 및 성능시험) (Development of Multi-purpose Marine Wastes Cleaning Systems for the Shallow Waters(PART II : System Development and Performance Evaluation))

  • 조용진;문일성;신명수;유정석;강창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62-67
    • /
    • 2002
  • 본 연구는 '천수용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시스템 개발(PART I 초기 개념설계)'의 후속연구로서, 천수용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시스템의 시스템 구성 및 성능시험 결과에 대하여 논한다(조[2003]). 수거깊이 15미터 이내의 항내 침적폐기물의 수거를 위한 다관절 수거시스템과 100미터 이내의 예인식 수거시스템이 개발되었다(해양수산부[2001]). 다관절 수거시스템은 부유폐기물, 침적 잔여폐기물의 수거, 작업의 고효율화를 위한 스틸와이어커터 시스템도 포함이 되어 다기능화 되어있다. 이 시스템의 시제품을 제작하여 수심이 낮은 해역에서 실해역 시운전을 수행, 시스템의 성능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로서, 개발된 시스템은 안전하고 원활하게 작동되어 시스템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 PDF

방사성폐기물 처분을 위한 결정질 기반암의 지하수 수질 평가 (Evaluation of Groundwater Quality in Crystalline Bedrock Site for Disposal of Radioactive Waste)

  • 이정환;정해룡;정재열;박주완;윤시태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75-28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결정질 기반암에 위치하는 12개 시추공의 지하수 수질을 분석하여, 다변량 통계 분석법을 활용하여 지하수 수질 진화 특성 및 성분 기원을 평가하였다. 지하수 수질 유형은 Na(Ca)-$HCO_3$형과 Ca-$HCO_3$형이 가장 우세하여, 물-암석 반응에 의한 직접적인 양이온 교환 반응($Ca^{2+}{\rightarrow}Na^+$)을 지시하며, 현장 지하수 특성과 실내 지하수 분석 결과에 기초한 연구지역의 지하수 수질 진화는 초기 내지 중간 정도의 단계를 지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다변량 분석 결과, 인위적인 기원인 $NO_3{^-}$와 다른 성분들 간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Na^+$, $Cl^-$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난다. 염무의 기원인 $Cl^-$와는 $Na^+$, $SO{_4}^{2-}$, $Mg^{2+}$, $K^+$와 양의 상관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다른 성분들($Ca^{2+}$, $Fe^{2+}$, $HCO_3{^-}$, $F^-$, $SiO_2$)과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는다. $Cl^-$ 농도가 일반적인 지하수 수질 범위에 포함되고 $NO_3{^-}$ 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치 이하로서 농도가 매우 낮으며, 대부분의 광물에 대해서 지하수 화학성분들은 불포화상태를 지시한다. 따라서, 연구지역의 수질 성분들은 대부분 물-암석 반응을 통한 자연적인 기원을 지시하고 부분적으로는 자연적인 염무와 농업과 관련된 인위적인 오염으로부터 기인된다.

제주 북서해역 선박기인 해양폐기물 발생량 분석 (Analysis of the Generation Amount of Abandoned Marine Waste from Ships in the Northwest Sea of Jeju Island)

  • 김병엽;주혜민;이창헌;김광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1-87
    • /
    • 2021
  • 제주해역은 많은 상선 및 어선들이 항해를 하고, 자망, 트롤 등 다양한 어구를 활용하여 어로활동을 하고 있다. 그 동안 해양폐기물 수집은 주로 제주도 해안 및 연안해역에서 시행되고 있으나, 연근해 해역에서 발생되는 해양폐기물 발생에 대한 수집 및 연구가 미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제주대학교 실습선을 이용하여 제주도 북서해역에 침전한 해양폐기물을 수거하고 각 폐기물별로 관련 선박의 항적을 분석하였다. 또한 일정 구역 및 선박 체류시간별로 얼마나 많은 해양폐기물을 투기하고 있는지 분석하기 위해 선박자동식별장치 항적데이터를 활용하여 대상해역에 선박이 체류한 시간을 추출하여, 어선업종별로 1 ㎢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양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연근해 해역은 어선기인 폐어구가 대다수였으며, 그중 자망 및 통발 어구가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단위구역에서 시간당 해양폐기물 발생량은 자망어업이 평균 0.94 kg, 통발어업이 3.49 kg, 저인망어업이 0.10 kg, 연승어업이 0.11 kg, 기타어업이 0.02 kg으로 산출되었다. 이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연근해 수중환경 정화시 해양폐기물 발생이 높은 해역위주로 해양폐기물 수거가 가능할 것이다.

천수용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시스템 개발(PART I : 초기 개념설계) (Development of Muki-purpose Marine Wastes Cleaning Systems for the Shallow Waters(PART I : Preliminary Conceptual Design))

  • 조용진;문일성;신명수;유정석;강창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50-61
    • /
    • 2002
  • 본 연구는 '해양폐기물 수거선박 요구조건 및 선단구성[1]'의 후속연구로서, 주로 서해안 그리고 남해안 일부를 대상으로 하는 천수용 다기능 해양폐기물 수거시스템의 초기 개념설계 결과에 대하여 논한다. 일일 수거 목표량을 포함하는 수거 시스템의 임무를 도출하고, 요구조건에 부합되는 초기 개념설계, 일반배치를 수행하였다. 또한, 구성된 수거 시스템의 타당성 검토를 위하여 복원성 검토, 컴퓨터 그래픽 시뮬레이션 작업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남여수항 실해역에서 시스템 검증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결과로서 개발된 시스템의 효용성,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