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a dike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3초

연약지반에 축조하는 강제치환 호안사석의 시공관리방법에 관한 연구

  • 김유성;박병갑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 /
    • pp.1466-1472
    • /
    • 2010
  • In order to construct extremely large scale of sea dike like Saemanguem dike, extremely large amount of mass of rock are needed. In this case, it is general methods to estimate required amount of rock mas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onsolidation settlement and bearing capacity of seabed, because it is impossible to estimate exact amount of rock material based on varied seabed condition.. Even in this general methods, it is very few case to manage rock mass amount by estimation of actual input rock mass but the main point is focused on the final section formation considering of designed section and reserve embankment, so excessive or underestimating result of rock mass would be occurred surely. This general methods is not resonable in the points of economic and stable. In this study, optimum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of rubble mound in the 3rd section construction of Saemanguem sea dike is suggested based on comparing required rock mass estimating from consolidation settlement theory with actual input rock mass. It is found out that the optimum input quantity of rock mass is about $1,900{\sim}2,000m^3$/day.

  • PDF

새만금간척전후의 잔차류의 계절변화에 관한연구(농지조성 및 농어촌정비) (A study of seasonal variation of the residual flow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2000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47-53
    • /
    • 2000
  • Saemangeum coastal area is being constructed the 33km sea dike and 40,000ha reclamation a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idual circulations in spring before and after the dike construction by a robust diagnostic and prognostic numerical model. Heat flux at the sea surface in May was adopted on the basis of the daily inflow of solar radiation at the earth surface, assuming an average atmospheric transmission and no clouds, as a function of latitude and time of year(George L.P.,J. E. William,1990). The discharge from the Geum, the Mankyung and the Dongjin rivers was adopted on the basis of experience formula of river flow in May(The M. of C.,Korea, 1993).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along the open boundaries ar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field observations. The results of spring of the residual flow in the Saemangeum coastal area by a prognostic numerical model lea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Water temperature in spring is the highest, salinity is the lowest and density is the lowest at the upper layer near the coast after the dike construction. The flow pattern at the upper layer during spring is anti-clockwise circulation between Wi and Shinsi islands. The flow pattern at the lower layer is clockwise circulation between Wi and Shinsi islands.

  • PDF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09-115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45-151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