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fire investigation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33초

열화된 저압용 콘센트에서 방전신호의 발생과 검출 (Generation and Detection of Discharge Signals in Deteriorated)

  • 송재용;서황동;문승보;길경석;조영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00-203
    • /
    • 2005
  • Most of electrical fires are caused by short circuits, overheating of wires, deterioration and incomplete connection of wiring devices. The last two cases are predictable before the occurrence of fire because of its slow progress. In this paper, we have simulated the discharge signals caused by the deterioration and incomplete connection of wiring devices using an aged concent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charge signals. From the experimental data, we could characterize the frequency spectrums of the discharge signals depending on the cases. The higher frequency components of the signal are attenuated by the capacitance and inductance of power lines as the measuring point is getting away from the discharges. Main frequency components of the discharge signal are existent at 600 kHz - 1.5 MHz in incomplete connections and at 210 kHz - 8 Mhz in deteriorations of the concent.

  • PDF

목조문화재 파손요인에 관한 연구-마곡사 심검당, 김주태 가옥 (A study on investigation in damage sector of Wooden Cultural propertices-Housing Sin Keom Dang of MakokSa & Kim, Joo Tae's house)

  • 김사덕;이용희;윤희상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5호
    • /
    • pp.104-127
    • /
    • 1994
  • Traditional architecture has structural limits after some terms because it almost made by wood elements. So in the name of 'Restoration', by anatural process, repair works are accomplished. But the repair works of traditional buildings have some problems in spite of best men power and technology. To overcome this problems, we need more detailed studies for examine the reasons of destruction in elements of wooden buildings. The life limits of wooden buildings are caused by natural circumstances and humanic circumstances, the former has bad effect on the damage in wooden buildings. There are various elements of damage in the wooden buildings, earthquake, the falling of a thunderbolt, fire, and rain, microorganism, insect, and so on. Moreover pollutions-sulfurous acid gas, acidorganic matters -are important reason of shortening the life of wooden buildings. From 1981 till now we investigated important traditional buildings under repair works by the way scientific analysis to catch the sample - seramics, woods, insects, metals, etc. In this reports we suggest various method of investigation with two samples of tradional house made by wood, one is Kim Joo Tea House, the order is Simgum-dang of Magok-Sa(dwelling of monk).

  • PDF

침식 마모 손상된 차량용 워터펌프의 성능저하 연구 (Study on the Performance Deterioration of Erosion-corrosion Damaged Automotive Water Pump)

  • 전승원;박찬성;김윤호;이규정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6
    • /
    • 2009
  • 침식마모로 인하여 손상되어 차량화재를 유발한 차량용 워터펌프의 성능저하를 CFX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손상에 따른 성능저하를 해석하기 위하여, 블레이드의 굽힘 변형과 간극의 증가를 고려하였다. 캐비테이션 해석 시에는 포화증기 발생과 응축 과정을 모델링하기 위하여 Rayleigh-Plesset 모델을 적용하였다.

병렬아크에 대한 누전차단기의 트립특성 분석 (Analysis of Tripping Characteristics of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against Parallel Arcing)

  • 김일권;박대원;최수연;조영진;길경석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78-479
    • /
    • 2007
  • Many electrical fires are occurred by leakage currents and sparks generated by a short circuit. Earth leakage circuit breakers (ELCBs) should be tripped at the moment of the faults mentioned above.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tripping characteristics of ELCBs against parallel arcing faults. A diesel engine generator with the capacity of 375 kVA source was adopted to provide enough large current when a parallel arcing occurr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most ELCBs we experimented were not tripped against short-duration pulse currents produced by parallel arcing because the ELCBs are designed to be tripped by a large current with long duration similar to power frequency.

  • PDF

CNG 차량 폭발의 용기 손상 평가에 관한 법공학적 연구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Assessment of Damage to Pressure Vessel Because of CNG Vehicle Explosion)

  • 김의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5권4호
    • /
    • pp.439-445
    • /
    • 2011
  • 대기오염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경유차 배출 가스 저감을 위한 최적의 대안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천연가스차량의 보급이 크게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추세에도 불구하고 그 안전성에 대해서는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그 이용에 따른 안전사고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천연가스버스 압력용기 파열 사고는 대중들이 많이 이용한다는 점에서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어 그 심각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법공학적인 측면에서 좀 더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사고조사와 원인 규명을 통해서 사전에 예방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유사 및 동종재해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해석을 통한 용기의 설계 검증과 용기의 파손형태 검사 및 재료 물성평가 등을 통해 용기파손에 의한 CNG 차량 폭발 사고에 관한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동일 형태의 차량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고소작업차 부품 손상 평가에 관한 법공학적 연구 (Forensic Engineering Study on Assessment of Damage to Aerial Lifter Parts)

  • 김의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1호
    • /
    • pp.1727-1732
    • /
    • 2010
  • 고소작업차는 최근 건물이 초고층화됨에 따라 그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나 그 이용에 따른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고소작업차 붐대 및 유압기기를 구성하는 부품 손상은 탑승인원이 많은 경우 다수의 피해자가 추락으로 인해 사망에 이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문제를 안고 있으며 또한 유사 사고가 다시 발생할 수 있는 점이 내재되어 있어 그 심각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법공학적인 측면에서 좀 더 전문화되고 체계적인 사고조사와 원인 규명을 통해서 사전에 예방대책을 마련함으로써 유사 및 동종재해의 발생을 최소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파단면 검사를 통한 부품 파손형태 검사 및 재료 물성평가 등을 통해 기계부품 파손에 의한 추락 사고에 관한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함으로써 동일 형태의 안전사고 예방에 기여하고자 한다.

착화탄 연소에 의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입증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f verifying a suicide by carbon monoxide intoxication committed by burning an ignition charcoal briquette)

  • 성태명;조주익;안필상
    • 분석과학
    • /
    • 제28권6호
    • /
    • pp.398-408
    • /
    • 2015
  • 번개탄과 같은 착화탄을 이용한 일산화탄소 중독사는 국내에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자살과 관련되지만 타살의 가능성을 절대적으로 배제할 수는 없는 실정이다. 때문에 변사자와 사건 현장을 법과학적으로 철저하게 조사하여 변사자가 자살을 실행했다는 것을 입증해야 하며, 착화탄을 사용하여 자살을 했을 경우 착화탄이 접촉될 수 있는 손, 콧속 및 문고리 등에서 착화탄성분을 확인하는 것이 사건현장과 변사자와의 관련성을 입증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착화탄성분은 외관 및 화학적 조성을 토대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판별분석을 통하여 검출된 착화탄성분이 검정색으로 관찰되는 목편과는 뚜렷하게 구별됨을 확인하였다. 자살을 입증한 사례에서 착화탄성분 분석을 위하여 실체현미경 및 주사형 전자현미경에너지분산형 X-선분석기(SEM-EDX)를 사용하였고, 일부 탄화된 수지상물질의 성분 분석을 위하여 현미경-적외선분광광도계(microscope-FT/IR) 및 열분해-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Py-GC/MS)를 사용하였다. 또한 수면제 약물인 디펜히드라민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질량분석기(GC/MS)를 사용하였고, 혈중 일산화탄소-헤모글로빈(CO-Hb) 농도 확인을 위하여 기체크로마토그래프(GC/TCD)를 사용하였다. 착화탄성분을 외관형상 및 화학적 성분을 토대로 손바닥 및 손잡이 등에서 확인하였으며, 특히 변사자의 콧구멍에서 착화탄성분을 검출함으로써 변사자가 자살을 위해 직접 불을 피웠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부 탄화된 검정색물질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수지로 포장용 비닐가방에 널리 사용되는 재질로 착화탄을 운반할 때 사용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수면제 성분으로 디펜히드라민이 2.3 mg/L 검출되었으나 사망사건에서 검출된 농도 8-31 mg/L (평균 16 mg/L) 보다 훨씬 낮은 농도로 단지 수면을 유도했을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79%의 혈중 CO-Hb의 검출은 일산화탄소 중독이 사망원인이었음을 나타내었다. 위에서 언급된 절차들은 밀폐된 방 또는 차량 안에서 착화탄을 피워 사망한 일산화탄소 중독사에서 자살인지를 판단하는데 있어 매우 훌륭한 사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발화열원에 따른 화재발생 특성 분석 (Analysis of Fire Occurre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Ignition Heat Sources)

  • 이경수;김태형;이재오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280-289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발화열원을 작동기기, 담뱃불·라이터불, 불꽃·불티 등 발화열원에 따른 화재 발생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일원배치 분산분석과 교차분석을 이용하여 발화열원에 따른 발화환경, 화재피해 현황 및 규모, 발화원인과의 차이 검증을 통해 화재발생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작동기기에 의해 발생한 화재는 다른 발화열원에 비해 평일에 발생 빈도가 높고, 이재세대수와 이재민 발생이 가장 많아 소방력 동원과 재산피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최초착화물은 전기·전자기기에 의해 발생되었으며, 합성수지에 의해 연소가 확대되는 특징을 보였다. 담뱃불·라이터불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는 토·일요일에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소방력 동원보다는 경찰력 동원이 많은 특징을 보였다. 특히, 최초착화물과 연소확대물은 종이·목재·건초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꽃·불티에 의해 발생하는 화재는 토·일요일에 화재가 가장 많이 발생되었으며, 최초착화물과 연소확대물은 종이·목재·건초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소방서와의 거리가 가장 먼 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특징을 보였다. 모든 발화열원에서의 공통적인 특징은 오후시간대에 화재가 가장 많았으며, 화재유형은 건축구조물화재가 지배적이었고 발화지점만 연소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대형 화재가 발생하게 될 확률은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화재 예방 및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해서는 화재 발생 경향을 분석하고 화재발생 요인에 따른 적절한 대비를 해야 한다. 향후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화재발생 특성 분석을 위해서는 재난 데이터의 표준화와, 데이터 개방 및 활성화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