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tific Conception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19초

화학 개념 학습에서 역할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 (The Influences of Role-Playing Analogy in Chemistry concept Learning)

  • 노태희;변순화;전경문;권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46-253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역할놀이 비유 활동의 효과를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개념 응용력, 학습 동기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1학년 4학급을 선정하여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에 무선배치하고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4차시 동안 수업을 시시하였다. 처치 집단은 역할놀이 비유 수업을 실시하고 통제 집단은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이해, 개념 응용의 파지, 그리고 학습 동기 중 자신감에서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개념 응용과 학습 동기 중 주의집중 및 관련성 영역에서 수업 처치와 성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개념 응용력 검사의 경우 처치 집단의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통계 집단의 학생들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주의집중 및 관련성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남학생들이 통제 집단의 남학생들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받았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 하였다.

유추활동 시기에 따른 초등학생의 공기 개념변화 효과 (The Effects of Placement of Analog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Air of Elementary Students)

  • 강정미;유병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57-65
    • /
    • 201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lacement of analogy on the conceptual changes of air of elementary students, while learning the air conceptions. The subjects consisted of 108 students who are in the sixth grade classes in an elementary school in Busan city. For this study, comparative group(37 members), experimental group I(37 members), and experimental group II(34 memgers) were selected. A pre-test and a post-test on the air conception were done both for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s of experiment group I and II are statistically higher than comparative group's. By the way, it just has a small gap between the comparative group and the experimental II. In other words, activity of analogy does not keep always constant to change of air conceptions of elementary students. Therefore, it has a different reason that only before or after during the analogy. Second, it shows that experimental group I has effected on a more change of air conceptions as compared with experimental group II. Then, the first group's result shows better than the other group's result. From this result, six grade students showed a change of air conceptions very well by analogy. It means if the analogy is given to students at the beginning state of chapter, they can understand scientific concepts easily.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 조사 (An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s Conception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 김용화;정완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6-16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6th grade children's preconception on body's digestion, circulation, breathing and excretion. By means of questionnaire, teacher is presented with misconception which students may have. On the basis of this way, firstly they draw up and put in free-concepts were investigated from objective test and sought after misconeption which student had and inquired whether the result of response made difference by sex and areas or not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1. In the course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mis-preconecptios, teacher had misconceptions partially, as like students. 2. Many a student have misconceptions: nourishment in made for itself in body. 3. In circulation range most of students know that heart is making blood, and they don't make conception that blood is nourishment which was eaten from food. 4. They know the breath is only physiological function: they breathe to live. All air-breathing is necessary. 5. They are not relevant blood in course of urine and sweat formation they have non-scientific conceptions which water eaten is so. They know that all of sweat and urine and ordure is excretion. To sum up, many student have misconceptions as for digestion and circulation and breath and excretion of body especially. Circulation and excretion is more so. if inspection in a field of sex, they will know male had less misconceptions than female. in a field of region, student from rural are as had more misconceptions than the one from urban areas.

  • PDF

관성개념에 대하여 자기의 생각과 불일치하는 상황의 유형에 따른 학생의 반응 (Students' Responses Confronted with Discrepant Situation Patterns about Inertia Concept)

  • 이경호;권재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16-527
    • /
    • 1999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신의 생각과 불일치 하는 관성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불일치 상황은 과학개념 변화 모형(권재술. 1989)을 참고하여 두 가지로 정하였다. 면담을 통하여 세가지 관성관련 문항에 대한 학생의 사전 개념과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후의 반응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불일치 상황 1에서 많은 학생들은 새로운 상황을 설명하지 못하였으며, 일부학생들은 자신의 선개념을 버리고 새로운 개념으로 그 상황을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 학생들의 새로운 개념은 대부분 비과학적인 개념이었다. 불일치 상황 2에서 대표적인 학생 반응은 자신의 선개념을 부분적으로 수정하면서도 본질적으로는 변화하지 않는 동화전략이었다. 한편, 학생들의 개념은 문항에 따라 다양하였으며, 불일치 상황에 대면한 후에 이전보다 더욱 다양한 개념 유형을 보여주었다.

  • PDF

예비 중등과학 교사들의 물체의 운동 개념의 과학사적 관점 분석 (Analysis of Secondary Pre-service Science Teachers' Conceptions about Motion of Objects Based on the Viewpoints of Science History)

  • 주지영;김소연;백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1049-1062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물체의 운동에 대한 과학사적 변천을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부터 뉴턴의 관점까지 다양하게 구분하고,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지는 운동의 원인, 운동의 형태, 운동에서 보존되는 양의 개념을 포함하며, 이를 예비 중등 과학 교사들에게 투입하여 이들의 응답을 과학사적 관점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물리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교 2학년생 20명과 다른 과학관련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교 2학년생 34명이었다. 연구 결과, 물리교육을 전공하는 중등 예비교사들은 다른 과학관련 교육을 전공하는 예비교사들보다 운동의 원인이나 운동의 형태에 관련된 개념에서는 관성과 뉴턴의 힘 개념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높았다. 그러나 이들은 전공에 상관없이 운동에서 보존되는 양에 대한 개념을 알아보는 설문지에서 운동량을 속력에 비례하는 것으로 이해한 데카르트의 관점이나 운동 에너지가 보존된다는 호이겐스의 관점을 가지는 비율이 매우 높았으며, 상대적으로 운동량을 속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이해하는 뉴턴의 관점을 가지고 있지 못하였다.

고등학생의 과학학습관 (High School Students' Views about Learning and Knowing of Science)

  • 박현주;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9-75
    • /
    • 2001
  • 이 연구는 개념생태 구성요소 중 학습자가 지닌 동기 심리적 관점의 측면에서 수행되었다. 즉 학습자가 학습동기와 관련하여 과학학습에 대한 개념을 어떻게 구성하고 있는가에 대하여 정성적인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수도권에 소재한 '가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3명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연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위하여 자료의 수집과 분석 의 전과정 동안 삼각측정법을 사용하였다. 면담, 직접 및 간접 관찰, 문서를 통한 자료 수집을 하여 분석한 후, 사례 연구를 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자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열정은 과학 학습에 대한 관점과 관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관점은 지식의 본성, 학습의 본성, 인식론적 확신 근거를 포함한 과학 및 과학 수업에 대한 관점에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과학학습관은 학습자들의 자아 효능과 과학학습 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여진다.

  • PDF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Class)

  • 유희원;차현정;김민석;함동철;김희백;유준희;박현주;김찬종;최승언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265-2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들의 내적 및 관계적 요소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달의 위상변화와 출몰 시각 변화에 대하여 사회적 공동구성과 과학적 모델링을 강조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학생들의 상호작용에서의 역할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성격유형 자아개념 친구관계 부모관계 교사관계의 5가지 요소를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뒤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각 요소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평소 친구와의 친밀도와 학교수업 참여도가 상호작용과 연관성이 높은 요소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이나 자아개념, 부모관계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개인 내부의 다양한 요인까지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전략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물질 영역의 과학적 모형 유형 분석 (Analysis of Scientific Models in Science Textbooks for the 7th Grade)

  • 김애정;박현주;김찬종;김희백;유준희;최승언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63-370
    • /
    • 2012
  •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11종을 대상으로, '물질 영역'에 속하는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변화와 에너지'라는 세 단원에 제시된 모형의 유형 및 특성을 조사하고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은 표상 양식과 표상의 속성으로 나누어져있으며, 표상 양식은 활동 모형, 비유적 모형, 상징적 모형, 이론적 모형으로 분류하고, 표상의 속성은 정적 모형과 동적모형으로 분류하였다. 개발되어진 과학적 모형 분석틀을 가지고 교과서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형의 유형과 빈도수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표상 양식에서는 활동 모형과 비유적 모형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표상의 속성에서는 동적 모형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물질 영역에서는 입자 개념을 다루며 학생들이 일상생활에서 접하는 거시적인 현상들을 분자의 배열이나 운동과 같은 미시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현 교과서들에 나타난 과학적 모형 사용의 제한점과 바람직한 방향을 모색하게 할 뿐 아니라, 앞으로 집필되어질 교과서와 수업을 구성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것이다.

SPACE 수업 전략이 국민 학교 아동들의 증발과 응결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iveness of SPAC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Conceptual Change of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 최병순;김효남;강순희;김영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72-284
    • /
    • 1994
  •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hildren's ideas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between pre- and post-intervention. Forty-eight children from six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Kyung Ki provinces were sampl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A set of structured activities was then provided which allow children to explore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phenomena. All of these activities had a preliminary phase which required the child to predict or speculate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using their existing knowledge. These structured activities on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were reviewed by three professors and eigth primary school teachers. Their comments were used to revise the original contents of the structured activities. The data analysed were gathered by the questionaire and the interview. Pre- and post-intervention data related to evaporation and condensation were collected by the same teacher, and analysed into the same category scheme. Data coding was carried out several times by the researcher to ensure reliablity. Data collected were then classifi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s of children's idea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he vocabulary used to describe the evaporation phenomena varied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the scientific term "evaporated" was more frequently used by the older children after post-intervention. But everyday terms such as"dried up","disappered", "gone up" were also used by children as much as the level of pre-intervention. Scientific conception on the location of evaporated water, the factor of evaporation, the ideas about getting the water back and assumption about the physical state of the missing water has been increased for the most of the children after intervention. It was found that the intervention using was effective SPACE strategies regardless of the grade level of the children.

  • PDF

화산과 지진에 관한 초등학교 학생들의 개념 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types of Children등s Conception on Volcanos and Earthquakes in the Elementary Schools)

  • 위홍;이항로;우종옥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1호
    • /
    • pp.33-46
    • /
    • 1998
  • This study researched the concepts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ve after having learned volcano and earthquake. The reacher collected and adjusted the journals related to this study, and sampled the concepts included in Chap. One "Moving Earth", the first term of the elementary school sixth year. The students' descriptive responses were analyzed after subjective questions on the basis of above were developed and put into. After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answer sheets were categorized by key words and the types of concept were made out by qualitative analysis, it was showed what was differences between the sexual, regional and achievement lev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ough the types of concept about volcano and earthquake were found variably, it was showed that wrong preconception was not corrected, especially the exact understanding about terms not attained to, which led to the trouble in conceptual readjustment of students. Second, though the response rate about the types of scientific concept was found high that volcano was made out of explosion and eruption of magma and lava, there were also children who described not the interior factor of globe but the surface facto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divided into the interior factor of globe and the surface factor and analyzed about earthquake, there were a great number of children who responded as the surface factor though most of the students responded to the interior factor of globe. Fourth, through some types of 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formation of concept was much influenced by experience of children's life, curriculum, and the method of study. Fifth, In the most test question, the scientific concept was found that boys were higher than girls in the distinction of sex, the children of cities than those of town and island, and the upper group than the lower group in the achievement leve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