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 between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Class

과학적 모형의 사회적 공동구성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 학생들의 상호작용 역할과 개인의 내적, 관계적 요인 사이의 관련성

  • Received : 2012.05.13
  • Accepted : 2012.06.14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try to analyze the effect that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ffects the interactions among science gifted students. For this, I analyze the interacting role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ocial co-construction and scientific model constructing class for phase change and rising-sinking time of moon and categorize according to type. I analyze aspects of interaction and association of each elements in the students after I understand character type self conception friendship a parents-children relationship relation with teachers derived from advanced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and depth interview. After analyzing, I find the following-close friendship form or not and usual school class participation appear important factors that have strong connection with the aspect of the interactions. Also, character type, self conception and relation of parents affect the interactions relatively lower. Through this study, We identify two things. Firstly, We must consider individual's inside factors for making animatedly the interaction among the students. Secondly, We get considering factors that devise the strategies for making the interaction animatedly.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들의 내적 및 관계적 요소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달의 위상변화와 출몰 시각 변화에 대하여 사회적 공동구성과 과학적 모델링을 강조한 수업에서 나타나는 과학 영재학생들의 상호작용에서의 역할을 분석하고 유형별로 범주화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한 성격유형 자아개념 친구관계 부모관계 교사관계의 5가지 요소를 설문지와 심층 인터뷰를 통해 파악한 뒤 상호작용의 양상과 학생들에게서 나타난 각 요소의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평소 친구와의 친밀도와 학교수업 참여도가 상호작용과 연관성이 높은 요소로 나타났으며 성격유형이나 자아개념, 부모관계의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의 상호작용을 활발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개인 내부의 다양한 요인까지 고려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전략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미숙, 윤초희, 조석희 (2005). 우리나라 중학생 영재의 지적, 정의적 특성: 일반학생과의 비교 및 학년과 성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6(3), 25-58.
  2. 김선희, 김기연, 이종희 (2005). 중학교 수학영재와 과학영재 및 일반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정서적 특성 비교.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4(1), 113-124.
  3. 김지영, 성숙경, 박종윤,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 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4. 김이원 (2010). 초등 과학에 대한 협동 학습에서 사회적 상호작용과 창발성 발현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5. 김종백 (2006). 과학영재를 위한 교수-학습 전략. 영재와 영재교육, 5(2), 19-32.
  6. 김창민, 노태희, 강석진 (2000). 소집단 토론과정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3), 353-363.
  7. 노태희, 임희준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8. 노태희, 강석진, 정영선, 한수진 (2001). 학습 전략에 따른 소집단 토론에서의 언어적 상호 작용 양상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2), 279-288.
  9. 박향숙 (2004). 가족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친구 관계 및 학교 적응. 석사학위논문. 춘천교육대학교.
  10. 배진호, 옥수경 (2009).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초등과학 수업이 메타 인지, 과학학습 동기,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28(4), 519-528.
  11. 백선희 (2004). 대학의 웹기반 수업에서 학습자의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향 요인 분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2. 서혜애 (2009). 과학영재교육원 생물반 중학생들의 특성: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따른 개인적 성향 및 학습선호도. 영재교육연구, 19(3), 457-476.
  13. 신재한 (2009). 학습자 성격 유형별 집단 구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온라인 토론 참여 양상에 대한 연구. 초등교육연구, 22(2), 27-47.
  14. 신희이, 문혁준 (2009).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 아동학회지, 30(4), 1-14.
  15. 원미연 (2008). 중학교 기술.가정과 '제품의 구상과 만들기' 단원의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학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6. 유수현 (1999). 학습자의 성격 특성에 따른 웹기반 수업 상호작용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7. 이명자 (2002). 과학영재의 특성 분석. 교육학논총, 23(1), 127-140.
  18. 이정철, 강순민, 허홍욱 (2009). 한국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과학적 태도, 학습양식, 선호하는 수업형태와 수업환경 조사를 통한 수업전략의 수립. 영재교육연구, 19(1), 138-159.
  19. 이현영, 장상실, 성숙경, 이상권, 강성주,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 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20. 임규연 (1999). 웹기반 온라인 토론에서 학습자의 참여도, 성취도 및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1. 장남기, 배진호 (2000). 중학교 생물 수업에서의 창발 수업 모형의 학습 자료 제작 및 그적용.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110-122.
  22. 장인은 (2004). 중학교 사회 협동학습에서 의사소통 불안 정도와 구조화된 협동학습 전략의 사용이 학업 성취도와 동기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23. 정정화 (2008).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 유형, 또래관계의 질 및 학교 적응도와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24. 최동렬 (2004). 학생의 사회관계 친밀도와 학업 성취의 관계 분석.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2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제공 학술연구정보 서비스. http://www.riss.kr (검색일: 2011. 11. 26.).
  26. 한기순, 허정원 (2008).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인성과 학습방법 관계 연구. 한국교육논단, 7(1), 169-189.
  27. 허은주 (2011).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소집단 활동에서 나타나는 권력관계, 갈등양상 및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육대학교.
  28. 현종오 (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 실험에서 학생들의 학습 동기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9. 황희숙, 강진민 (2004). Vygotsky의 근접발달 이론에 의한 사회적 상호작용 수업이 동기화 학습전략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수산해양교육연구, 16(1), 2004.
  30. Barnes, H. L., & Olson, D. H. (1982). Parent adolescent communication scale. In D. H. Olson, H. I. McCubbin, H. Barnes, A. Larsen, M. Muxen, & M. Wilson (Eds.), Family inventories (pp. 33-48). St Paul: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esota.
  31. Brandwein, P. (1981). The gifted student as future scientists. LA: National/State Leadership Training Institute on the Gifted and Talented.
  32. Chan, D. (2001). Learning styles of gifted and nongifted secondary students in Hong Kong. Gifted Child Quarterly, 45(1), 35-44. https://doi.org/10.1177/001698620104500106
  33. Clement, J.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In G. Glover, R. Ronning, & C. 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Assessment, theory and research (pp. 341-381). New York: Plenum.
  34. Kearsley, G. (1995). The nature and value of interaction in Distance Learning. Third Distance Education Research Symposium.
  35. Kumpulainen, K., & Wray, D. (2002). Classroom Interaction and Social Learning. New York: Routledge Falmer.
  36. Martin, S. N., Milne, C., & Scantlebury, K. (2006). Eye-Rollers, Risk-Takers, and Turn Sharks: Target Students in a Professional Science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3(8). 819-851. https://doi.org/10.1002/tea.20154
  37. Resnick, M., Berg, R., & Eisenberg, M. (2000). Beyond black boxes: Bringing transparency and aesthetics back to scientific investigation.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9, 7-30. https://doi.org/10.1207/s15327809jls0901_3
  38. Roe, A. (1953). The making of scientist. New York: Dedd, Mead.
  39. Savery, J. R., & Duffy, T. M. (2001). Problem based learning: An instructional model and its constructivist framework. Educational Technology, 35(5), 31-38.
  40. Stake, R. E., & Easley, J. (1978). Case study in science education. Urbana-Champaign University of Illinois, Center for Instructional and curriculum evaluation.
  41. Trentin, G. (2000). The Quality-interactivity relationship in distance education. Educational Technology, 40(1), 17-27.
  42. Vrasidas, C., & McIsaac, M. (1999). Factors influencing interaction in an online course. The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3(3), 22-36. https://doi.org/10.1080/08923649909527033
  43. Vygotsky, L. S.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In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 (Ed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pp. 79-91).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