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edia literacy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98초

A Study o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and Learning in a Context of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 LEE, Sunghye;CHAE, Yooju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7권2호
    • /
    • pp.229-251
    • /
    • 2016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iddle school students' smart media competency and online learning outcomes. The context of this study was on online inquiry-based mathematics and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four-hundred and fifty-five (455) 7th to 9th grade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To assess students' smart device competency, Smart Media Literacy Quotient (SMLQ) which consisted of 18 items regarding the operation ability of smart media and its application (14 items) and positive beliefs of smart media (4 items) was administered to each stud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showed that students' smart media literacy varied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class (subject), and socio-economic status. Female students' scores were high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ale students. 7th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represented lower smart media literacy scores, compared to 8th and 9th graders. Also, minority stu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than the non-minority students. Second,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varied among high, medium, and low score achievers in inquiry tasks. Low scored students in inquiry task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and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than medium scored students. Lastly, smart media literacy also varied by students' dropout/completion. Students who dropped out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overall smart media literacy, operation and learning ability of smart media, and positive belief of smart media.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과 교육내용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dia Information Literacy Concept and Educational Contents)

  • 박주현;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23-250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개념을 규정하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 분석과 현장 전문가 대상 인터뷰, 사서교사 대상 설문조사가 수행되었다. 분석 결과, 현장 전문가들은 미디어를 정보를 활용하는 도구로 인식하였으며 정보문제해결능력과 독해능력, 미디어의 기능, 사례 활동, 정의적 영역을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의 영역으로 인식하였다. 사서교사들은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있어서 정보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을 디지털 리터러시의 역량과 교육내용에 비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로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개념을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가 중복된 영역으로 지식, 기능, 태도가 포함된 개념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민주사회에 참여, 미디어 도구와 콘텐츠의 종류, 인간의 기본권, 기능, 디지털 도구 조작, 정보 문제 해결 과정이 맥락에 따라 결합되어 응용될 수 있도록 미디어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ts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ocusing on CMF Education Programs in Korea

  • Park, Yun Mi;Chae, Ji Hye;Kim, Seul Ki;Kwon, Hye Seon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30권3호
    • /
    • pp.113-135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easure the effect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rough the social science method and find out the impact of media literacy education on digital citizenship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used an independent t-test to analyze relativeness between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media literacy factors. We also adopted an independent t-test to investigate media literacy influence on digital citizenship. Furthermore, we found out age differences using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he one-way ANOVA)'. Findings We have found four media literacy factors, MC, CT, C&P, R&R, have been significantly affected by media literacy education. We have also pulled out three digital citizenship factors, IPA, TS, and CP, involved in media literacy education. Moreover, we have analyzed our survey by different age groups. The lower the age, the higher the TS. CP was highest among those from 30 to 59, followed by those under the 30s.

UNESCO의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의 교육내용 분석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and Curriculum of UNESCO's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 박주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349-3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UNESCO가 제안한 미디어와 정보 리터러시(MI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의 개념과 교육내용 및 교육과정을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탐구하여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의 개정에 필요한 기초 정보를 얻고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분석결과, UNESCO는 미디어 교육에서 정보 리터러시의 특성과 중요성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MIL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으며,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리터러시는 MIL의 개념과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핵심적인 요인이었다. 또한 UNESCO는 MIL 교육과정의 필수적인 영역으로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역량(skills)'을 제시하였고, 핵심역량과 성취 기준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도서관학의 5법칙을 토대로 MIL의 5법칙도 제시하는 등 MIL 교육과정은 정보 리터러시와 도서관 리터러시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본 연구 결과는 문헌정보학에서 MIL을 적극적으로 수용해야 하는 이유와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 개정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셜미디어 시대의 정보리터러시에 관한 소고 - 재정의, 교육내용, 교육방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formation Literacy in Social Media Age: Focusing on Redefinition, Contents and Media of Information Literacy)

  • 오의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85-406
    • /
    • 2013
  • 본 연구는 정보리터러시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보리터러시의 교육내용과 교육방법을 제안하였다. 재정의를 위하여, 오늘날의 정보환경을 표현하는 정보리터러시 2.0, 사회적 맥락, 메타리터러시, 트랜스리터러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을 조사, 분석하였다. 정보리터러시를 구성하는 주요 요소로 '사회적 관계', '미디어 융합과 다양성 인식', '정보에 대한 평가적 안목' 등을 추출하였다. 교육의 방법(미디어)을 결정하기 위하여, 소셜미디어의 편재성을 조사하였고, 조사결과 소셜미디어는 편재성이 높은 미디어로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활용되는 것이 적절함을 밝혔다. 후속연구로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정보리터러시 교육에 관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교과 내용 체계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Content Structure for Information Literacy Education)

  • 박주현;강봉숙;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229-25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초·중등 교육의 정보활용교육에 포함될 내용을 구성하고 교과서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기초정보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정보활용교육 교과서 3종과 2019-2020년에 개발한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 초안의 내용 체계 및 교과서 체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교육 교과서는 정보문제 해결과정 모형이 적용되었고 인쇄 및 디지털 미디어의 내용과 민주시민에게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의 내용을 담고 있었으나 도서관과 미디어의 종류를 계열성 있게 추가할 필요가 있었다. 둘째, 도서관·미디어·정보·독서 리터러시는 정보활용능력 교과 내용을 구성하는 주요한 학습 요소였다. 셋째, '미디어와 정보 생활' 교과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체계에 맞게 교과역량, 일반화된 지식, 내용 체계 및 성취 기준 등을 제시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과의 명칭 도출을 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하다.

Investigation on Media Literacy of China Government Officials: Under the View of Public Opinion Guidance

  • Yang, Ting;Seo, Sangho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14권4호
    • /
    • pp.10-17
    • /
    • 2018
  • China media environment has drastically changed leading to the an inevitable change of public opinion ecology. Empirical studies have focused less on public opinion guidance, which form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government officials' media literacy. This study applied quantitative method in the investigation of media literacy in China. Ideally, media literacy is measured from media cognition, media contact, media usage under the view of public opinion guidance.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existing problem on 1) incorrect media cognition and public opinion guidance; 2) insufficient contact of personal social media 3) improper tendencies in the use of media to guide the public opinion, especially, on confidential information. Consequently, in order to improve media literacy in China government officials, enhancement of their basic knowledge on news diffusion and public opinion is necessary. Secondly, to effectively deal with "agenda settings", it is important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the provision of valuable information and platforms to effectively spread information. So they need to learn how to personally and officially use social media platforms such as Weiboa and Wechat. This ensures they have maximized their potential to acquire valuable information and spread them on valuable platforms. Thirdly, government officials should be able to analyze and understand public opinion trends for official and personal use. Finally, they should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ublic opinion and the how online public opinion laws are formed and the target group.

공공도서관 기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 개발 (The Development of a Media Literacy Educational Model for Public Libraries in South Korea)

  • 박주현;이명규;김지현;강봉숙;이지수;심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35-36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사서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데 도움이 되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교육 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연구, 사서 대상 설문조사,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교수와 공공도서관 사서, 강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전문가 자문위원회를 개최하여 개발한 모형에 대해 의견을 얻었다. 설문조사와 인터뷰 결과, 공공도서관과 사서는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에 대한 책무성이 있으며 공공도서관이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킬 수 있는 최적의 교육기관으로 인식되고 있었다. 문헌분석 결과와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교육 목적, 핵심역량, 교육 대상, 미디어의 종류, 교육 주체별 역할과 기능이 포함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모형을 개발하였다.

Investigating Consumer Innovativeness for New Media Infusion: Role of Literacy in the Context of OTT Services in Korea

  • Park, Keon Chul;Lee, Sangmi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6권6호
    • /
    • pp.1935-1952
    • /
    • 2022
  • Consumer innovativeness plays a vital role in explaining consumer dynamics, such as adoption, usage,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new world of disruptive online media. This empirical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consumer innovativeness and digital literacy in the adoption and expansion of new technology-based media services, focusing on OTT services. Extending the theory of adoption of new technologies by innovators to new media environment centered on OTT services, it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four dimensions of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on OTT service usage. The Korea Media Panel Data of 2019, where overall ICT usage and media consumption of a broad panel of respondents was collected, was used for the analysis. From the data of 10,864 respondents, 4,031 (37.1%)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 in using OTT services. To clarify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literac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cognitive innovativeness of consumers and their use of OTT services, Process Macro Model 4 was used. The bootstrap method was applied to reveal that all four dimensions of consumer innovativeness have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new media usage through digital literacy, thus indicating how digital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pread of new digital services in addition to consumer innovativeness. The findings are important in that they can help in the efforts to introduce new technologies to the public and educate them to improve their digital literacy so that they can enjoy the complete experience of using these new digital products.

정보처리모형을 이용한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수록 매체 분석 (An Analysis of Media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by th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5-23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에 포함된 매체를 정보처리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학교도서관 입장에서 매체활용능력 향상 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4 5 6학년이 배우는 국정도덕 교과서 3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초등학교 도덕 교과서의 투입 요소는 사진(시각매체)과 이야기(인쇄매체)에 편중되어 있고, 처리 요소는 조사와 표를 이용한 학습지 중심이며, 산출 요소는 글쓰기, 말하기, 제작(창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투입 요소인 매체를 활용하여 적절한 학습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구체적인 활동이 부족하고, 투입 요소로 많이 출현하고 있는 시각매체의 읽기 전략도 부족한 실정이다. 투입 요소의 편향과 정보 처리 활동의 제한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매체활용능력을 신장하기 위해서 학교도서관은 독서흥미발달단계를 고려한 다양한 독서자료의 제공, 텍스트 유형에 따른 학습지 개발, 협동수업시간 확보 등을 위해서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