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Museum

검색결과 1,244건 처리시간 0.036초

천문과학관의 이용자 불만요인을 활용한 개선방안 연구 - 거창월성우주창의과학관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PLANS USING USER DISSATISFACTION FACTORS IN ASTRONOMICAL SCIENCE MUSEUM - Focusing on the case of Geochang Wolseong Space Creative Science Museum -)

  • 정한호;김용기
    • 천문학논총
    • /
    • 제38권3호
    • /
    • pp.99-110
    • /
    • 2023
  • In this study, complaints from visitors in the science museum satisfaction survey were categorized into four primary factors and ten sub-factors. This categorization aimed to provide recommendations for enhancing the Geochang Wolseong Space Creative Science Museum as an illustrative case study. Futhermore, the study examim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each factor by surveying 90 science museum visitors.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Firstly, it was evident that the Geochang Wolseong Space Creative Science Museum requires urgent improvement. Certainly, in the primary factors, issues related to the utilization environment emerged as the most significant sources of dissatisfaction, while in the sub-factors, the adequacy of fees was identified as the most prominent concern. Secondly, through the result of the IPA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the complaint factors, four primary issues were identified as top priorities for consideration: fare adequacy,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in sufficient publicity, and a lack of distinctiveness compared to similar facilities. Lastl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aints and overall satisfaction, factors related to human service, environment, and educational content had negative effects. In contrast, factors associated with science museum operation exhibited a different trend, suggestinga structural impact relationship with the overall impact of complaints.

목포 자연사 박물관의 전시특성 및 중학교 과학교육과정과의 비교 분석 (Presenting Characteristics of Mokpo Natural History Museum and Comparative Analyses to them wi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a)

  • 고영구;김종희;박철규;오강호;윤석태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1-51
    • /
    • 2008
  • For teaching-learning to geological region of earth science part in science education, middle school, the practical uses of natural science museum are very effective. So, the appropriate uses of the natural science museum are necessary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science museum and to examine how is effective it to geological region in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a on those uses. From the results, the natural science museum is low in multi-sided and open-endedness presentation characteristics but high in ones of accessible characteristic. And its presentations are good in multimodal characteristics using supported materials but relatively low in relevant and multimedia ones. In the museum, diorama and self-performing presentation types are not but internet ones are most. The presentations of the natural science museum are mainly assigned to knowledge region linked to basic science concepts but relatively insufficient in STS aspects, on the basis of connection the presentations with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a. It is respected that these insufficiencies might be diminished by variable arrangements of and explanations to the presentations for understanding improvements. And, applies to the presentations in STS may be encountered, if multi-sided observations to them is available.

  • PDF

외적 환경 변화에 따른 과학관의 구축 방향 전략 (The construction strategy for the Smart Science Museum basis on the external environment)

  • 최훈;송승근;최은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792-2798
    • /
    • 2014
  • 과학관 타겟층 확대를 위하여 유청소년들이 좋아하는 테마파크, 게임, 영화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산업과의 차별화 전략을 통하여 단순한 놀이가 아닌 에듀테인먼트로서의 과학관 위상 확립을 도모 하여야 한다. ICT융합 콘텐츠 전시를 이용하여 과학의 원리에 대한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이고, 과학교육이라는 교육적인 측면 이외에도 대중적인 과학 문화공간으로 흥미로운 여가공간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과학관의 효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해야한다. 과학교육의 장으로서의 과학관이 아닌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문화공간으로서의 과학관 역할이 필요하며, 대 국민 과학교육의 메카로서 교육적인 내용들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대중에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과학관이 단순한 체험과 교육에서 벗어나 현대사회에서 과학교육의 메카로서 과학관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하여 외적 환경 분석을 바탕으로 제시하였다.

과학관에서 아동의 개인특성이 관람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ildren' Characteristics on Visitors' Overall Satisfaction in Science Museum)

  • 정재훈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107-114
    • /
    • 2008
  • With the exhibition materials and exhibition spaces are provided, it is the reaction of the visitors that completes the function of science museum. To satisfy the visito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needs, interests, and motives, apart from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museum.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effect of children's personal characteristics on the satisfaction in science museum. In doing so, an interview survey was conducted: 210 prim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had finished the exhibition tour were randomly selected and interviewed. The data was analysed by a T-test and an one-way ANOVA to find out the corre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are found by the age groups in terms of motivation, expectation, satisfaction, enjoyment, and total staying time at the museum. The lower the grad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everyday living; and this is reflected on their intrinsic motivations and higher expectations on visit. Also, their actual satisfaction and enjoyment are higher and they stay at the museum longer than the other group. Second, the group with intrinsic motivation and higher expectation is more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exhibition than the group with extrinsic motivation. Third, the level of higher education of mothers, rather than that of fathers had mere effect on the learning of the children at the museum. Also, the children who are brought up by full-time house wives have bigger achievement of learning from the exhibition than those with working mothers.

경주 은령총 출토 청동제합의 보존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of Bronze Bowl with a Lid Excavated From Silver Bell Tomb in Gyeougju)

  • 최희윤;허일권;안주영;박학수;유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7권
    • /
    • pp.3-10
    • /
    • 2006
  • 경주 은령총에서 출토된 청동제 합은 과거 접합되었다가 파손된 상태로 본체의 경우 전체의 절반 정도만이 남아있어 보존 및 전시를 위해서 보존처리 하였다. 이물질 및 열화된 접착제의 제거 후 재접합 하였는데, 비교적 많은 부분이 남아있는 뚜껑은 복원부위를 쉽게 분리할 수 있는 가역적인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체의 경우 복원부위가 많기 때문에 유물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에폭시수지를 사용하여 접합하였다. 합을 비파괴 조사한 결과 주조품 이었으며 재질은 Cu-Sn-Pb의 3원계 합금으로 나타났다.

과학관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Museum Educational Program on Primary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 이선경;신현정;명전옥;김찬종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9권1호
    • /
    • pp.47-55
    • /
    • 2010
  • This study was to examin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of prim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science museum educational programs. The subject was 36 primary students in the programs in a science museum during a month. The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consisted of items developed by us and some items from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developed by Pintrich et al.(2001). The results included primary students' motivation of joining the programs in a science museum, their perceptions about the programs, and the effects of the programs on their science learning motivation. It seemed that the students had the opportunities of doing science activities in the museum on the recommendation of their family or teachers, especially their parents. And they were motivated to participate the programs with interests of science and they were interested in the activities in the programs. The statistics showed that the program have an positive effects on the students' self efficacies and values on science tasks. Based on this results, discussion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PDF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본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 및 사용 행태 (Public Perception and Usage Pattern of Science Museum by Social Media Big Data Analysis)

  • 윤은정;박윤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1005-1014
    • /
    • 2017
  • 본 연구는 대중의 과학적 소양을 함양하기 위한 기관으로서의 과학관의 역할에 주목하고, 우리나라 과학관이 대중에게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소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대중의 과학관에 대한 인식과 사용 행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네이버 블로그와 트위터에에서 '과학관'이 포함된 게시글들을 추출한 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빈도 분석, 공기어 분석 및 의미 분석을 실시하고 영어권의 분석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블로그에서는 주로 어린 자녀를 둔 부모 층에서 과학관이 이슈가 되고 있었고, 트위터에서는 단체 관람을 하는 학생 층이 다수 드러났다. 따라서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을 주로 아이의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고, 이 경우 과학관의 프로그램과 전시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단체 관람하는 학생들은 다소 부정적 감정을 표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관과 대중과의 소통, 대중의 과학에 대한 참여 등 제 3세대적 과학관의 기능적 측면에서 외국의 사례와 비교해본 결과 우리나라 대중들은 과학관 관람 이후 관람한 과학적 내용에 대한 언급이 거의 없었고, 논쟁이나 심포지움 등 과학적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급 역시 거의 없었다. 또한 해설사나 직원들도 외국과는 달리 전혀 회자되지 않고 있었다. 한편, 영어권 게시글의 동사 분석에서 '배우다', '참여하다', '듣다', '읽다', '묻다', '생각하다', '그리다' 등의 유의미한 활동과 관련된 동사들이 다수 나타난 것에 비해 우리나라 게시글에서는 '물어보다', '생각하다' 가 소수 나타나는 것에 그치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관은 과학관 관람객들이 관람을 마친 뒤에 그들의 기억에 남고 대중들 사이에서 회자될 만큼 영향력 있고 다양한 내용과 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겠다.

감은사지(感恩寺址) 서탑출토(西塔出土) 보단측면석(步段側面石)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Treatment of Stairway-side Stone Panels Taken Out from West Pagoda of Gameunsa-site)

  • 김종우;정태화;정수연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9권
    • /
    • pp.59-66
    • /
    • 2008
  • 국립경주박물관 옥외전시장에 전시되고 있었던 보단측면석은 과거 접합·복원부분의 풍화로 인하여 박리 및 박락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풍화된 암석에 대한 편광현미경 관찰 및 분석을 통한 암석 내의 팽윤성광물의 확인, Schmidt Hammer 반발경도 측정 및 Karsten Tube를 사용하여 모세관물흡수율을 조사하였다.

십왕도(十王圖)의 보존처리(保存處理) (Conservation of Buddhist Painting "Ten Kings of Hell")

  • 천주현;장은지;김우현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4권
    • /
    • pp.33-39
    • /
    • 2003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한 특별전 『조선시대 불교회화와의 만남 -영혼의 여정-』을 준비하면서 보존처리한 조선시대 불화 "시왕도"의 손상상태와 손상원인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육안으로 확인이 쉽지 않은 부분에 대하여는 현미경, X-ray, 적외선 등의 조사도 이루어졌다. 이에 보존처리 전에 실시한 과학적인 조사결과를 소개하고 시왕도의 보존처리 과정을 정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