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based curriculum

검색결과 2,194건 처리시간 0.027초

2010-2012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나타난 초등학교 성취수준별 학업 특성 (Elementary school learning characteristic of each proficiency level that appears in 2010-2012 Nation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 조윤동;이광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19-237
    • /
    • 2014
  • In this study we desire to deduce implications for mathematics curriculum,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from the data of Nation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or this, first we extracted the items written by the same achievement standard over two years from 2010 to 2012. Next we investigated whether the items are the representative items of a certain proficiency level and classified into the case of the items of the same proficiency level and the case of the items of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Based on these we analysed learning characteristic of the each proficiency level. From the results of the above, we proposed what should be changed in mathematics curriculum,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teaching-learning, and what should be paid attention to test item development.

그래프의 경로에 대한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분석 (A Study on Didactic Transposition Method and Students' Understanding for Graph's Trail)

  • 신보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89-301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 에서 다루어지는 그래프의 지도 목표가 7차 교육과정의 이산수학에서 그래프의 지도 목표와 같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학 I 에서 그래프와 행렬 단원의 내용 요소인 경로의 교수학적 변환 방식과 학생들의 이해 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 I 에서 경로는 trail로 정의되지만 교과서에 따라서는 이를 path로 해석한 경우가 있으며 학생들 역시 경로를 trail보다는 path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trail로서 경로의 정의는 오일러 회로와 해밀턴 회로를 다루는 체계에서 보다 의미를 가지며 개정 교육과정의 수학I에서는 trail로서 경로의 가치를 찾는 것이 쉽지 않다.

  • PDF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에 나타난 지역 규모별 특성 분석 -2010년, 2011년 초등학교 수학과 결과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n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 Based on the 2010, 2011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 조윤동;조성민;최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303-317
    • /
    • 2013
  • Recently in South Korea, various methods are followed in decreasing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 and social classes through school education. The National Assessment Educational Achievement(NAEA) intends to strengthen responsibility of school education and manage quality of curriculum. Besides, the NAEA intends to bridge achievement gap which is one of educational gaps by grasping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bility to guarantee basic academic ability. There is not much research about the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Therefore in this study, to examine the achievement characteristics among regional scales closely, we analyse the 2010, 2011 NAEA results in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nd explore characteristics of items which have sharp differences between local population siz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been showed that the educational gap between 'big-sized cities' and 'small and midium-sized cities' has been increased, but the overall educational gap among regional scales has been decreased.

북미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 사례 분석 I - 교과 영역별 개설현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um in North America: Focusing on Subject Modules)

  • 최상기;안인자;노영희;김주섭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5-167
    • /
    • 2011
  • 본 연구는 선진국 대학에서 교육하고 있는 교과목 운영상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하여 북미 대학의 문헌정보학 교과목 운영 사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는 북미 대학 홈페이지의 내용 분석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연구내용은 전통적인 문헌정보학대학과 정보학대학의 교과목비교, 북미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및 교과목 운영 현황, 영역별 개설 교과목의 종류와 수, 주요교과목들의 분석이다.

An Analysis of Student Learning: Using a Standard-Based Earth Science Curriculum in the U.S.

  • Park, Do-Yong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620-6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EarthComm implementation in the U.S. high schools in terms of demographic background including school size, urban/rural area, and teachers'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impact of students' higher-order thinking skills by using the visions of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Two modular of the EarthComm curriculum were used for this purpose with thirty one teachers and around thousand students involved across four states. Findings were that EarthComm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student achievement differentially in schools of varying sizes and school location, i.e., urban and rural areas. Th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id not impact student achievement scores for Module I but did significantly impact for Module II. It is noted that the two results seemingly conflict with each other similar to other research findings (Ferguson, 1998; Yager et al., 1988). Student higher-order thinking skills, on the other hand,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studying with EarthComm.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t the end of the paper.

농어촌 지역 인문계 고등학교 생물 교육과정의 연구 및 개발 (A Developmental Study on Biological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for General High Schools in Kangwon Rural Areas)

  • 조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18
    • /
    • 1992
  • The curriculum especially in Korea plays a crucial role in developing instructional materials. It serves as a criterion for selecting and organizing content of teaching materials. Therefore, the validity of a curriculum can be justified through testing effectiveness of an instructional material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This paper presents an instructional method and material developed based on the current tendency of educational thoughts that emphasize STS and students - centered teaching strategies in science education. The instructional material was organized around the concept and its subconcept of "nutrition" a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now in use in the nation as well as in a few world-wide countries. It was also organized by the use of biological events and phenomena which high school students in rural areas can easily encounter through their everyday lives. The significant findings in this study are : ${\circ}$ The achievement levels in experimental groups were higher than one in controlled groups. ${\circ}$ The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involved in this study showe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instructional method developed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circ}$ The greater part of the students among the controlled groups hoped that biology would be taught by this kind of teaching procedure and materials.

  • PDF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교육내용 주요 내용 탐색 (Core Curriculum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 based on Pedagogical Contents Knowledge)

  • 신수범;한규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29-235
    • /
    • 2019
  • 초중등 소프트웨어교육을 운영할 수 있는 예비교사 교육과정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에서 예비교사를 위한 소프트웨어교과교육과정에 대해서 어떤 기준에 의해 강화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수내용지식 4가지를 기준으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였다. 국내 사례는 교육내용과 교수법에 집중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예비교사를 위한 교수내용지식을 기준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교육내용을 제시하여 보았다. 주요한 내용은 4개 영역을 모두 삽입하였고 교육내용과 교수법을 가장 강조하여 구성하고 소프트웨어교과교육 전문가에게 타당성 검토를 의뢰하였다. 전문가 설문 조사 결과 대부분 타당도와 합의도가 기준치를 넘었지만 학생관리 분야에 대해서 CVR값이 기준값을 하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 변화에 따른 수학과 초등학교와 중학교 교육과정의 적용 방안 (An effective management on the new math curriculum according to 'General Guidelines of Curriculum Revised in 2009')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531-552
    • /
    • 2012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의 적용은 초 중학교의 경우 2013년부터이며 연차적으로 확대 적용될 전망이다. 새 교육과정의 적용이 시작되는 현 시점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이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적용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검토를 통해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데 발생하는 어려움, 즉 쟁점을 신중히 탐색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 시, 쟁점이 되는 항목은 2009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이는 학년군, 수준별 수업, 기준 수업시수의 20% 이내 증감 운영으로 구체화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이 세 가지의 쟁점 사항을 중심으로 수학과 교육과정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 PDF

2022 개정 교육과정 의미 분석 (Analysis of the Meaning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9-6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의미를 분석하고 다양한 쟁점 및 개선 방향을 종합 정리하여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설문조사, 인터뷰이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배경은 디지털 전환, 기후환경 변화, 학령인구 감소 등에 대응하여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하고 학습자 맞춤형 교육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개정되었다. 둘째, 2022 개정 교육과정 특징은 역사상 처음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만들어지고 있다. 셋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 방향은 개별성과 다양성, 분권화와 자율화, 디지털 기반 교육, 공공성과 책무성이다. 넷째, 2022 개정 교육과정 주요 내용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교육과정 혁신, 학습자의 공동체 가치 함양 및 역량 강화, 초·중·고 학생 디지털·AI 소양 함양 교육 강화, 모두를 위한 교육과정 강화이다.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AEQ-KMS) 개발과 타당화 (Development and Construct Validation of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Korean Middle school Science(AEQ-KMS))

  • 전지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745-75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중학생들이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한국 중학생의 과학영역 성취정서 질문지는 영어판 성취정서 질문지를 바탕으로 중학교 교과 운영 특성 및 과학 학습의 특징을 반영하여 개발되었다. 총 232문항으로 3가지 학업상황에서 9개의 과학 영역 성취정서를 측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통제-가치 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다. 검증 결과, 높은 신뢰도를 보였으며, 성취정서의 4가지 구성요인 체계를 확인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질문지의 각 문항이 성취정서의 구성 요인을 대표하는 지표로서 적절히 구성되어 있었으며 구조적으로 타당하였다. 또한 질문지를 통하여 측정되는 성취정서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같은 상황에서 경험하는 각각의 정서 및 서로 다른 상황에서 경험하는 동일한 정서가 서로 적절히 변별 되었다. 성취정서와 학업상황 사이의 잠재적 관계에 대한 확인적 요인 분석 결과에서도 질문지의 내적 구조와 동일하게 3가지 학업상황 및 9가지 성취정서가 잠재변수로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외적 타당도 검증은 통제-가치 평가, 학습 전략, 성취동기, 과학 성적 등을 준거 변인으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검증 결과, 충분한 외적 타당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질문지의 개발을 통해 중학교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성취정서를 이해하는 기본 발판이 마련되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