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science inquiry

검색결과 855건 처리시간 0.026초

한국의 초등 과학 교과서 생명영역에 나오는 탐구 주제 및 생물 재료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Biology Inquiry Subjects, and biology Materials in the Korea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 김동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719-731
    • /
    • 201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group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xperience on the cognitive terms of biology inquiry subjects, and experience on living materials related with the domain of life in the Korea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 Firstl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the confidence of inquiry subjects related with the domain of life such as 'when we take breath what will happen in human body?' and 'Can we make the model of human body?' But they did have the most diffidence of 'The search for pieris rapae, a cabbage butterfly's life', 'Can we grow the little creature?' The reason wh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had diffidence of comprehending experiment procedure and planning ability was that 'they focused on understanding the scientific concepts instead of planning experiments by themselves', and 'they carried out the least amount of experiments' Secondly, elementary school pre-service teachers had never experienced biology materials related with the domain of life in the Korea elementary school biology science textbook such as 'tradescantia reflexa', 'Caddis larva', 'hydrilla verticillata', and 'Plantain lily.' According to the findings obtained from the study, the reason why they had never seen the biology materials was that they had the least opportunity of immediately observing life creatures due to memorization-intensive classes.

대학 수학능력 시혐의 수리.탐구 영역중 지구과학 교과에 관련된 탐구능력 측정을 위한 행동요소의 추출과 평가 목표의 상세화 연구 I (THE SPEC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AND SELECTION OF BEHAVIORAL ELEMENTS TO MEASURE. SCIENCE INQUIRY SKILLS RELATING TO EARTH SCIENCE AMONG QUANTITATIVE(MATHEMATICAL) INQUIRY DOMAIN OF UNIVERSITY COMPETENCY TEST)

  • 우종옥;이항로;이경훈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3-9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evaluative objectives of science inquiry skills specificationaly. Specification of evaluative objectives will be able to serve as evaluative criterion for development of a test of the integrated science process skills.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 (l) The selections of science inquiry skills from the previous developed taxonomies are observation, measurement, formulating hypothesis, designing an experiment and controlling variables, inference, predicting(including intrapolation and extrapolation), organizing data and interpreting, defining operationally, formulating a generalization or model, drawing a conclusion. (2) The definitions of the selected science inquiry skills are made operationally. (3) Evaluative objectives relating to the selected science inquiry skills are specified with the previous developed item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otal 9 science inquiry skills are selected and 72 evaluative objectives are specified.

  • PDF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 비교 분석 -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for Authorized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tratum and Fossils)

  • 김은정;정숙진;신명경;신영준;이규호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95-30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2022학년도부터 초등학교에서 과학 교과서가 검정교과서 체제로 변경되어 운영됨에 따라, 새로 개발된 초등과학 검정교과서 7종과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비교·분석하였다. 3차 교육과정부터 꾸준하게 강조해 온 '탐구활동'을 중심으로 검정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있는지 등을 심층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지구과학 영역의 '지층과 화석' 단원을 선정하였고, 탐구활동 유형과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분석틀을 마련한 후,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첫째,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분석을 위하여 6가지 탐구활동 유형(실험 관찰, 모의 활동, 조사 토의 및 발표, 자료 해석, 글쓰기 읽기, 표현하기) 분석 틀을 활용하였다. 그 결과,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에 제시된 7가지 탐구활동 중 2가지 탐구활동(여러 가지 지층 관찰하기, 과거 생물과 환경 추리하기)에서만 유형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대체로 국정교과서의 탐구활동과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이었다. 이로써 탐구활동의 전체적인 유형 측면에서는 국정교과서를 활용할 때와 비교했을 때, 검정교과서의 도입을 통하여 교수 학습활동의 자율성과 다양성이 향상되었다고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었다. 둘째, 세부 탐구활동 유형 분석을 위하여 탐구 기능, 소재, 탐구과정을 기준으로 선정하고, 중요 학습 요소와 관련한 탐구활동(지층의 형성 과정과 특성 알아보기, 퇴적암 생성 알아보기, 화석의 생성 알아보기)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인 탐구활동 유형 측면에 비해 더욱 다양성이 드러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7종의 검정교과서의 도입으로 동일하거나 비슷한 탐구활동 유형이지만, 소재, 탐구과정 범주에서 작은 변화들이 생겼고, 현장에서는 7개의 다양한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교육과정 체제가 바뀌지 않은 상태에서 검정교과서로의 체제 변환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의 국정교과서의 커다란 틀을 벗어나는 것이 쉬는 일이 아니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검정교과서 체제 변화로 인하여 기대되는 자율성과 다양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 자체를 너무 세분화하여 제시하지 않는 등의 체제 마련이 필요하다.

초등학교 과학탐구력 측정을 위한 수행평가 도구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of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in Elementary School)

  • 한광래;김정길;김해경;남철우;송판섭;은경용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7권2호
    • /
    • pp.11-22
    • /
    • 1998
  • The present educational and social circumstances require the improvement of science education and the promotion of scientific technology simultaneously Under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performance assessment evaluating the ability of scientific inqui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that is can evaluate the scientific inquiring abili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strument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performance assessment can be impartially achieved for all the elements of scientific inquiry, which are required in the units of elementary science from 3rd to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2. To maintain the objectivity of performance assessment, the detailed standpoints and standards are established. 3. The instruments are devised to evaluate the thinking skills with the experimental reports of student, the operation skills by the check list of evaluation that the teacher's observation for the student are recorded. 4. Consider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items required the complex thinking and the investigative skills are exclude as much as possible. 5. The items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learning steps of elementary school, so that the evaluation may be achieved in parallel with the process of the real teaching -learning in class. 6. According to circumstances, make use of these materials for the evaluation as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materials instead of the normal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first field trial with the instrument was carried out, using a sample of 20 students from the 3rd to 6th at K and Y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Kwangju city. The results of mean achievement quotient for each grade are as follows, the first term of 3rd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85%, inquiry thinking skills ; 74%), the second term of 3rd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81%, inquiry thinking skills ; 76%), the first term of 4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70%, inquiry thinking skills ; 59%), the second term of 4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61%, inquiry thinking skills ; 71%), the first term of 5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84%, inquiry thinking skills ; 67%), the second term of 5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73%, inquiry thinking skills ; 70%), the first term of 6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83%, inquiry thinking skills ; 84%), the second term of 6th grade (experiment and exercise skills ; 87%, inquiry thinking skills ; 81%).

  • PDF

국민학생(園民學生)의 과학(科學) 탐구능력(探究能力) 측정(測定)을 위한 평가도구(評價道具) 개발(開發) (Development of a Test of Science Inquiry Skills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완호;허명;은경용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80-91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reliabl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through an R&D procedure. A total of ten seience inquiry skills were sele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ie, observation, classifying, recognizing problems, measuring, inferring, formulating hypothesis, controlling variables, experimenting, interpreting and drowing a conclusion. And three items were developed for each sceince inquiry skill, totaling up to thirty items. The content areas of developed items a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material and energy, life and environment, and the earth and the space. There are 10 items for each category.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objectivity of developed items were checked, verified in the two field trials and revis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items by seven experienced specialists with the degree of doctors in science education and five teachers who were studying for their master's degree in science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econd field trial. the content validity of the instrument was 91.1%, reliablity(K-R 20) 0.78, defficulty index 49.13%, discrimination index 0.42, mean achivement 61.85%, standard deviation 5.11, and standard error 2.40.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he developed instrument in this study is regarded as a appropriate instrument for evaluating science inquiry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PDF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 이해의 수준과 실태 분석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Level and Actual State About Scientific Inquiry)

  • 이동승;박종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63권4호
    • /
    • pp.280-288
    • /
    • 2019
  •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과 실태를 조사하여 과학 탐구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D광역시 초등교사 42명을 대상으로 과학적 탐구에 관한 관점(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한 결과를 분석 준거에 따라 초등교사의 8가지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수준을 3단계(전문가적, 과도기적, 초보자적)로 구분하여 과학적 탐구의 이해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특성이 과학적 탐구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과학적 탐구의 8가지 특성 중 '탐구 방법은 의문 해결에 적합해야 한다'와 '탐구 결론은 반드시 수집된 자료와 일치해야 한다'는 2가지 특성에서 전문가적 수준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나머지 관점에서는 대부분의 초등교사가 과도기와 초보자적 수준으로 나타났고 전문가적 수준은 상대적으로 매우 적었다. 이는 현장에서 탐구에 대해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가 제한적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상의 경력, 과학관련 연수이수 여부는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생을 지도한 경험과 현재까지 개설된 과학관련 연수들이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과학 탐구 지도를 위해 초등교사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를 증진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한 기존의 교사 교육 방식과 다른 형태의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한국과 미국의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비교 연구: 3학년 물질 영역의 과학적 개념 및 탐구 과정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n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Korea and the U.S. : Focusing on $3^{rd}$ Grade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in 'Matter' Units)

  • 서예원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09-524
    • /
    • 2007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3^{rd}$ grade) in Korea and the U.S., centering on the ways to present scientific concepts and inquiry process in the units of 'matter.' The analysis is focused on: a) general structure of the units; b) how to present scientific concepts in terms of its connections and complexity; c) how to present inquiry process in terms of its types and skil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matter' units are scientific discipline-based in both countries.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units in Korean textbooks is unrestricted compared to those in the U.S. Second, the connections among the concepts are poor and the level of complexity is low in Korean textbooks, which are contrary to those in the U.S. textbooks. Third, it is a common feature that the inquiry process is based on learners' everyday experiences with simple experiments in two countries' textbooks. However, the inquiry process in the U.S. textbooks is provided with detailed instructions while the process in Korea is presented with diverse activities without formal guidelines.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ree recommendations to improve Korean textbooks: a) science contents should be linked to other disciplines in order to promote practical applications; b) scientific concepts are required to be tightly connected and provided with in-depth explanations; c) inquiry process is needed to be presented with specific guidance to facilitate scientific thinking.

  • PDF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식물의 영양'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n the Unit related 'Nutrition of Pla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7th and 2007 Revision Curriculum)

  • 오영린;정은영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35-48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식물의 영양' 단원의 탐구활동과 이와 관련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탐구 상황 영역의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영양' 단원의 평균 탐구활동의 수는 9.2개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경우보다 3.8개 줄었다. 그리고 두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도 있는 반면,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내용의 변화를 반영하여 중점을 두는 탐구활동 주제가 달라진 경우도 있었다. 두 단원 모두 기초 탐구 과정에서는 '관찰', 통합 탐구 과정에서는 '자료해석'의 비율이 높았고, '실험관찰'에 해당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과학적 상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영양' 단원에서는 기초 탐구 요소보다 통합 탐구 요소를 더 많이 다루고 있고, '해보기'에 해당하는 탐구활동 수가 증가하고 '모의활동'이 제시된 점이 특징적이며, '개인적 상황'의 비율이 늘었고 '기술적 상황'과 '자연환경적 상황'이 제시된 탐구활동도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시 탐구활동이 보다 다양해지도록 탐구활동의 내용, 탐구 과정, 유형, 상황 등의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

고등학생의 탐구 사고력 문제 해결 과정에 나타난 유형과 특징 (The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heir Features in Scientific Inquiry)

  • 김익균;황유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52-162
    • /
    • 1993
  • The high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their features in scientific inquiry, especially on controlling variables and stating hypothesis have been investigated. The 8 problems on controlling variables and stating hypothesis were selected out of the scientific inquiry area in the experimental tryout of Aptitude Assessment for College Education, and had been used to find the patterns and their features. The results of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seven patterns in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Five of seven patterns were found in right answers and four patterns in wrong answers. Two patterns were found in both right and wrong answers. Some students could solve the problems even though they did not understand the elements of the scientific inquiry, controlling variables and stating hypothesis. The false application of physics concepts, misunderstanding about the elements of the scientific inquiry and using unrelated experience and conjectures were the features of students' wrong answers. On the other hand, the right application of physics concepts,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elements right, infering answers from the tables and figures on statements of suggested problems were the features of right answers. The further studies on this kind may helpful to find the higher mental abilities related to scientific inquiry and to develop tools for testing students' scientific inquiry thinking skills.

  • PDF

중학교 「역사」 교과서 세계사 영역의 공통 탐구 과제에 포함된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 요소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s for Teacher Librarians' Educational Information Services Embedded in Common Inquiry Tasks of World History Territory in Korean Middle School History Studies)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5-2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공통 탐구 과제를 분석하고, 사서교사의 교육정보서비스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는 것이다. 1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 포함된 세계사 영역의 탐구 과제를 조사한 결과 84개의 공통 탐구 과제가 발견되었다. 이를 탐구 절차에 해당하는 정보활용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탐구 과제는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사진 자료와 도서(읽기) 자료를 조사한 후에 그 결과를 말하기 형태로 표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을 중학교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육과정에서 지도하는 정보활용과정과 비교하면, 1단계(정보과제 정하기와 정보 요구 파악하기)와 3단계(정보 종합과 표현)의 정보 표현하기를 충족하는 것이다. 따라서 사서교사가 역사 교사의 수업 부담을 줄여주고,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의 탐구 활동을 촉진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정보 해석과 분석하기, 정보 종합 및 조직하기 그리고 정보 활동 평가하기에 대한 교육정보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