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Inquiry Activities on the Unit related 'Nutrition of Plants' in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by the 7th and 2007 Revision Curriculum

제7차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과학 교과서 '식물의 영양' 관련 단원의 탐구활동 비교

  • Oh, Young-Lin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Jeong, Eun-Young (The Science Education Institute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오영린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 정은영 (전남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Received : 2012.04.20
  • Accepted : 2012.06.19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quiry activities in the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cused on the unit 'Nutrition of Plants' of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and the corresponding unit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of the 7th curriculum in terms of content, process and contexts of inquiries. The average number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the unit 'Nutrition of Plants' was 9.2, which was a 3.8 decrease than in the unit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In the respective of process of the inquiry activities, 'observation' was most prevailing in the basic inquiry process and 'data interpretation' was most prevailing in the integrated inquiry process in both of the units. In the respective of the types and contexts of the inquiry activities, 'experiment/observation' was most prevailing and the percentage of the natural scientific contexts was larger in both of the units. In the unit 'Nutrition of Plants', the components of the integrated inquiry process and the percentage of personal contexts were larger than in the unit 'Structure and Function of Plants'. And simulation activities were newly presented and technical contexts and natural environmental contexts were included in the unit 'Nutrition of Plants'. This study makes a suggestion that a wider variety of inquiry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when new science textbooks are developed.

이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1 교과서 '식물의 영양' 단원의 탐구활동과 이와 관련되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2 교과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탐구활동을 탐구 내용 영역, 탐구 과정 영역, 탐구 상황 영역의 3차원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식물의 영양' 단원의 평균 탐구활동의 수는 9.2개로 '식물의 구조와 기능' 단원의 경우보다 3.8개 줄었다. 그리고 두 단원에서 공통적으로 다루는 주제도 있는 반면,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내용의 변화를 반영하여 중점을 두는 탐구활동 주제가 달라진 경우도 있었다. 두 단원 모두 기초 탐구 과정에서는 '관찰', 통합 탐구 과정에서는 '자료해석'의 비율이 높았고, '실험관찰'에 해당되는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순수과학적 상황'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식물의 영양' 단원에서는 기초 탐구 요소보다 통합 탐구 요소를 더 많이 다루고 있고, '해보기'에 해당하는 탐구활동 수가 증가하고 '모의활동'이 제시된 점이 특징적이며, '개인적 상황'의 비율이 늘었고 '기술적 상황'과 '자연환경적 상황'이 제시된 탐구활동도 나타났다. 중학교 과학 교과서 개발 시 탐구활동이 보다 다양해지도록 탐구활동의 내용, 탐구 과정, 유형, 상황 등의 측면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