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Instructio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27초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 Design Model for School Library-based Instruction under EduTech)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1-51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에듀테크 기반 학교도서관활용교육 설계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에듀테크 기반 교육은 학습 경계를 확장하고, 학습자 중심의 디퍼러닝을 위한 새로운 수업 환경과 학습 경험을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체제이론에 기반을 둔 ADDIE 모형을 수정하여 '분석 단계, 사전 학습 및 개발 단계, 수업 운영 단계, 협동수업 평가 단계'로 구성된 4단계 교수 설계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플립러닝과 백워드 교수 설계 요소 및 탐구기반학습 요소를 반영하여 학생 맞춤형 자료 개발과 탐구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학습의 범위를 사전 학습, 대면 학습, 추가 학습으로 확대하여, 협동수업의 다양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에듀테크 환경에서 학교도서관활용교육 활성화 방안을 사서교사의 전문성, 학교도서관 공간, 예산, 표준 교육과정 개발 및 독서교육종합지원시스템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the Application of Library Assisted Instruction(LAI) Through the Analysis of Japanese Social Studies Text-Books)

  • 노진영;변우열;이병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55-175
    • /
    • 2008
  • 본 연구는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에 적합한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일본의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중학교의 지리(中學校の地理), 중학교의 역사(中學校の歷史))를 분석함으로써 도서관활용수업에 적합한 교과서 개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신학습지도요령(新學習指導要領)'에 학교도서관 자료의 이용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교과서가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수업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교과내용의 전달에 그치지 않고, 학습하는 방법, 자료 활용을 통한 학습을 유도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과 도서관협력수업을 학교 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도개선의 측면, 교과서 재개발의 측면, 도서관활용수업 교재 개발의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정보활용능력 교육의 현황 분석 (Investigation on the Status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박명규;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33-144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정보활용능력교육 프로그램의 현황을 살펴보기 위하여,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경상북도학교도서관교육연구회에 속한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전화 면담을 수행하였다. 조사대상 학교도서관 중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는 절반이 되지 않았다. 정보활용능력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에서도 커리큘럼을 개발 중에 있었고, 대부분 그 내용도 기본적인 도서관 소개 프로그램 수준에 머물렀다. 또한 정보활용능력 교육 시행에 있어 가장 큰 장애로는 교과교사들의 정보활용능력 교육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del of Library Assited Instruction Based on Information Activities)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5-46
    • /
    • 2006
  • 도서관활용수업은 학교도서관의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구 사서교사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점에서 일반 교실 수업과 구별된다. 따라서 도서관활용수업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자료를 이용하는 활동과 관련어 있으며, 사서교사가 도서관활용수업 시간에 학생들의 정보활동을 어떻게 지원하고, 도와줄 것이냐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활용과정의 모형을 비교 분석하여 학생들이 수행하는 정보활동을 추출하구 이 정보활동을 바탕으로 도서관활용수업 모형 (정보제시-안내형, 정보탐색-정리형, 정보분석-해석형, 정보종합-표현형, 정보탐구-프로젝트형, 정보탐구-토론형)을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한 도서관활용수업 모형은 실제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고려하여 수업 준비 및 계획, 도입, 전개, 정리로 구분하여 구조화하였다. 또한 각 단계별로 도서관활용수업에 참여하는 주체 즉,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학생이 수행해야 할 각각의 역할과 활동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 PDF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 형성 과정 탐색 (A Study on the Practical Knowledge of Low-Experienced Teacher Librarian in Library Based Instruction)

  • 이승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1-2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저경력 사서교사의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 과정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는 교직 경력 3년 차 이하의 신규 사서교사 6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자료에서 실천적 지식의 영역인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과 교수·학습에 대한 지식을 중점을 두고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지식은 학생과 교사를 독서교육과 정보활용교육으로 이끌어 가는 리더십 있는 교사였다. 둘째, 사서교사에 대한 교사 자신에 대한 실천적 지식은 예비교원양성과정에서 가장 구체적으로 형성되었으며, 학교 현장에서 교사상에 대한 반성적 성찰이 일어나고 있었다. 셋째,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은 도서관협력수업에 중점을 두고 다양한 수업 방법을 배우고 익히며 현장에 적용하고 있었다. 넷째, 도서관활용수업의 교·학습 방법에 대한 지식의 차이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원양성과정과 교육실습활동이 학교 현장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여 변화해야 하고 도서관활용수업에 대한 수업 읽기와 수업 분석이 지속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eachers about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노동조;신화정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1호
    • /
    • pp.89-108
    • /
    • 2012
  • 학생의 교과학습능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태도를 변화시키는 등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고 실현하기 위해선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교과교사들의 인식이 높아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도서관 전담인력(사서교사, 사서, 일반교사)에 따라 일선 교과교사들이 느끼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집단형태별, 수업모형별, 협력수업모형별)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서 그 결과를 교육현장에 발전적으로 적용하여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10개 지역의 30개 고등학교의 교과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의 독서 관련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ding's Metadata of Internet-Based School library Information System)

  • 이병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7-175
    • /
    • 2003
  • 교육안전자원부에서는 학교별 자원공유와 상호대차 여건 조성, 단위 학교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효율성 도모, 단위 학교 목록 데이터 입력 및 시스템 관리부담 경감 등을 목적으로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을 구축 운영 중에 있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MARC데이터는 물론 다양한 형식의 네트워크 자원을 수용하고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더블린 코아(DC)를 기반으로 한 고유 메타데이터(DLS-I)를 사용하고 있다. 이는 데이터 구조의 간략화와 동시에 주제 영역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DC를 채택함으로써 학교도서관의 주요 서비스 중의 하나인 독서교육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기술,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은 서지적 요소이외에 독서 관련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술해야할 필요성을 언급하고 독서 관련 데이터 요소를 추출하고 이를 인터넷 기반 학교도서관 정보시스템(DLS-I)에 추가, 확장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School Libraries to Collaborative Instruction on the Willingness: Focusing on Seoul High Schools)

  • 신윤정;김기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237-261
    • /
    • 2018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과교사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의 고등학교 14개교의 교과교사 19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관련 경험이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소속 학교 또한 교과교사의 시행의지와 관련된 일부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과교사들의 도서관 인식에 대한 차이가 협력수업 시행의지에 대해서 교육적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필요성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시행계획에 대해서는 모든 독립변인들의 유의한 영향을 파악하였다.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의 창의성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reative Skill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1-286
    • /
    • 2013
  • 본 논문은 독서교육에서 창의성계발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독서전략들과 창의성기법들을 유형화하고 독서교육의 시간적 과정 속에 이를 융합하였다. [독서전] 과정에서는 기존지식 활용하기와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유창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중] 과정에서는 텍스트내용 이해하기와 텍스트구조 인식하기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사고의 융통성과 독창성 기법에 융합하였다. [독서후] 과정에서는 이성적 사고의 독서전략이 사용되며, 이를 확산적 사고의 독창성과 수렴적 사고 기법에 융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