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검색결과 1,820건 처리시간 0.033초

공공도서관 서비스 포인트 확충을 위한 개방형 학교도서관 운영방안연구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the Management Plans of the Open-Style School Library for the Expansion of Public Library Service-Points)

  • 김지봉;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7권1호
    • /
    • pp.1-14
    • /
    • 2008
  • Gyeonggi Province is trying to increase the number of public libraries from 100 as of December, 2006 to 150 in 2010. However most of existing public libraries preferred mid-to-large scale libraries, so they were restricted to b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For this reason most local residents have been excluded from right to use libraries and have difficulties to get library services for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alternative to the small library is a school library. Both schools and public libraries are located in around a zone of life because residents can get an access to them easily. First, considering that small-scale public libraries of communities usually service about 10,000-20,000 people, I estimate that an open-style school library services 24class, 840people (24class*35people) of elementary school by 2003 Korean Library Standard (edited by Korean Library Association). Second, it requires systematic protection policies so that the open-style school of library can function as a local public library and a part of library cooperation system in accordance with local plans. All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don't intend to open and we had better consider the suitable service areas. Third, it's desired for the management efficiency that the open-style school libraries being established afterward are divided into a branch-scale, a hall-scale and so on, not being uniform management model. And it also needs that one of them in the area enlarges the scale, and then supports other school librari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of the research, as cooperation between the public library policy of a local government and school library policy, it needs a systematic support.

  • PDF

미국 학교도서관 기준의 변천 (The Historical Shift of American School Library Standards)

  • 김효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8권
    • /
    • pp.167-191
    • /
    • 1995
  • The school library standards. a guideline encouraging the reasonable library administration for school education that began with early quantity in 1920, has been changed as an information power in 1988 after 7th revision. The school library is highlighted as a gear of education process and the center of education change. The major summary is as follows: First. the name of librarian has been changed from teacher's librarian to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that executes as a leader for participating in plan.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instruction. Second. the type of material has been changed from book to electronic media. Also, the number of book per capital has been increased from 6-8(1920) to 23-28(1988) Finally, the function of school library has been changed from space service into proactive service which is playing the role of the heart of school education process based on information skill.

  • PDF

초등학교도서관의 봉사 개선을 위한 교사의 기대 (Teachers' Expectations for Reforming Primary School Library Services)

  • 김병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19-146
    • /
    • 2001
  • 학교도서관 봉사의 목적이 학교 교육을 위한 것이므로 학교 교육의 목적과 학교도서관의 궁극적인 목적은 동일한 것이다. 학교도서관은 항상 새롭고 보다 훌륭한 시설과 풍부한 정보자료를 개발하여야 하며 유능한 전문직 사서교사는 교육과정에 적절하고 합리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봉사하여야 한다. 학교내외에서 야기되고 있는 저해 요인들로 실질적으로 유명 무실한 학교도서관을 보다 능률적이고 새롭게 개선할 필요가 있다. 초등학교 학생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학교도서관에 대한 적절한 인식과 기대를 가지고 있다면 교사와 학생들이 학교도서관을 보다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활성화시키는 초석이 될 것으로 간주된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의 봉사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를 파악하여 향후 초등학교 도서관이 진정한 교수학습의 장으로 활용되도록 하는 제 방향을 찾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사서의 역할을 개관하고 이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교사들의 인식과 기대에 대한 수준을 측정한 후 이에 따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결과 학교도서관에 대한 중요도, 사서교사의 배치 필요성, 다양한 봉사에 대한 기대,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수강에 대한 윤곽 등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 PDF

미국 지역 교육구 학교도서관 담당관의 지위 및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Position and Role of the School District Library Media Director in the USA)

  • 최연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51-172
    • /
    • 2006
  • 본 연구는 미국 지역 교육구 학교도서관 담당관의 지위 및 역할을 소개하고 이를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인력으로 활용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 진행을 위해 문헌조사법, 관찰법, 설문조사법과 인터뷰법을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 사서교사의 업무를 강화시키고 지역 내 학교도서관을 효율적으로 관리, 지원함에 있어서 학교도서관 담당관의 역할이 절실히 요구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지역별 학교도서관 담당관 직위의 비치를 통해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음을 확신한다. 설문조사의 결과, 학교도서관 담당관의 전공은 문헌정보학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문헌정보학에 대한 해박한 지식 뿐 아니라 테크놀러지 지식, 교육자로서의 자질, 관리자로서의 리더쉽, 커뮤니케이션 기술, 사서교사를 대변하는 대변인으로서의 자질이 요구되었다.

  • PDF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평가 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Evaluation Indicators for School Library Opening to Local Community)

  • 이병기;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15-131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 학교에서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에 필요한 기본 여건을 자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를 제공하는 것이다. 학교도서관의 지역사회 개방은 학습공동체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운영 전략이다. 그러나 학교도서관의 운영 자원과 지원 체제는 지역사회 개방을 위한 충분한 조건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지역사회 개방 경험을 가진 사서교사들은 주요 운영 자원 중에서 사서교사 배치를 가장 중요한 성공 요인으로 지적하였다. 그리고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한 인건비 확보, 지역주민의 접근성을 보장할 수 있는 시설과 자료의 확보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가운데서 지역사회에 제공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독서 프로그램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마케팅 효과 분석 연구 (A Study on the Marketing Effectiveness of the Student Assistants Activities in the School Library)

  • 최예윤;김기영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43-165
    • /
    • 2017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의 도서반 활동이 이용자인 학생들과 학교도서관에 미치는 영향을 마케팅 관점에서 살펴보고, 도서반을 이용한 학교도서관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소재 중학교 9개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가설 검증을 위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충성도를 포함한 학교도서관의 마케팅 효과는 내부 및 체험마케팅 요소와 같은 도서반의 활동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서반의 활동이 효과적인 구전마케팅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기반으로 학교도서관 마케팅에 도서반을 활용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직원의 자질과 그 직무에 관한 연구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 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85-114
    • /
    • 1980
  • The school library in Korea, with its short history, has not been fully awared of its importance yet. As a result, most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have not been fundtioning as the center of educational activi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learning process and as the place of the extension of classroom, but as the place of storing books. Besides the importance of materials and facilitie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chool libraries can be fully achieved only when each school librarian clearly understands his work and duties, and accomplishes them successfully.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precedent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the number of school librarians (or alternative teachers) in comparison to the number which i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of Library Law. 2. There is no a n.0, ppropriate legal foundation for employment of school librarians and library assistants, and of their o n.0, pportunities for promotion. 3. The school library in korea has been stayed so far on its infantile, namely 'the period of material arrangement', in the aspect of the function. 4.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has not gained much recognition of its professional character. And even more the position of the school library today is not enough clear to be stable in the total school system. By solving these factors step, the newly reformed school library in Korea will play a great role in improving her education by the hand of school librarians whose spirits are re-filled with willingness and creativity.

  • PDF

인천 'S' 초등학교 학교 도서관 구축 프로젝트 (Interior Project of IN-CHEON 'S' Elementary School Library)

  • 이혁준;이종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19-220
    • /
    • 2005
  • This present study purposed to propose a plan of building a future oriented school library that supports teachers' teaching with various multimedia and Internet materials applicable in class immediately, helps students' self directed learning activities, and plays its role as a cultural center of the local community. As fo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basic dire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chool libraries defin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nd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school libraries. In addition, we survey cases of library plans in Incheon, and suggest standards for planning and propose a plan. Ultimately, we establish a library plan for S Elementary School in Incheon and execute the plan and, in the course, derive ideas for satisfying students' demands with regard to their sentiment, stable and flexible layout and flow lines, facilities and space within the library, etc. What is more, we create indexes for library planning so that school libraries can contribute to various cultural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y beyond their functions as school library facilities.

  • PDF

국내 학교도서관교육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tical Issue and Problem of School Library Education in Korea)

  • 박주현;이명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299-328
    • /
    • 2014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교육과정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학교도서관이 교육성과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교육과 관련된 법과 주요 정책을 살펴보고 학교도서관교육의 행태와 성과에 관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인적자원의 전문성 향상, 교육과정 개선, 장학 및 지원체계 정비, 관련법 개정을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을 위한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 (Improvement Plans in School Library Use Educa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27-40
    • /
    • 2003
  • 평생학습 사회에서의 학교도서관은 교육이 추구하고 있는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증진시키는데 있어서 교육적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우선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계발이 학교도서관 이용교육의 주된 목적임을 밝히고자 한다. 다음으로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교육적 역할인 이용교육의 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끝으로, 이용교육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1. 학교도서관의 연합운영체계 구축 2. 정보교육의 문화교육차원에서 재정립 3. 교육과정 기반 협동수업을 통한 이용교육 전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