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es

검색결과 553건 처리시간 0.023초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협력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ooperation Models Between School Library and Public Library)

  • 한윤옥;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337-357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강화를 위하여 협력사례를 조사$.$분석하여,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고 이용자 서비스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전국을 5개 권역으로 나누고, 각 권역별로 공공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협력사례를 조사하기 위한 워크숍을 통하여, 학교도서관, 공공도서관, 교육청 관계자들로부터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제도적인 측면, 인적자원의 문제, 콘텐츠 및 서비스 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이를 근거로 3가지 협력 모델을 개발하였다.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협력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이 발달한 대도시에 적합하며, 공공도서관의 학교도서관 지원 모델은 학교도서관이 열악한 중소도시에 적합하며, 학교도서관-공공도서관 통합 모델은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모두가 열악한 농어촌 지역에 적합하다. 하지만, 현재의 지역적 상황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상황에 적합한 모델을 채택하여 시범 운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수정 보완하여 적합한 모델을 적용시켜야 한다.

  • PDF

공공도서관의 청소년들에 대한 봉사에 대하여 - 학교도서관과의 협조적 측면에서 (As for Services of the Public Libraries toward the Youth)

  • 한윤옥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9-55
    • /
    • 1978
  • The following results have been driven out from a survey of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public libraries service in Korea, made through questionnaire in reference with the actual service for youth that are presently done by the foreign countries' libraries, in order to prepare a perfect and objective base in establishing a service activities of the public libraries in this country: (1)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libraries' loarning hours during the week days which accords with the schooling hours of the schools are shown to 50 %. On Saturdays during Summer season seven libraries and during Winter season twelve libraries would close their loaning before 17 : 00 hours, and on Holidays and Sundays fifteen libraries are not doing their loarning. (2) The followings are the present status of the service activities for the youth by the public libraries: a. It was found that they do introduction activity (50 %) of newly published books as a service for inducing reading interestings of the youth, and except this it was found that others are on beginning. b. The service activities by the data for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 are almost negelected. and the rate of doing such activity is shown to 9.74%. c. It has been found that little information service activity is for inducing the youth to the libraries. d. As a cooperative activity with the school's, a passive service activity to have pursuaded to visit the public libraries by each class, are mostly being done (27.27%). Some research meeting for solving all the matters between the school libraries are not held mostly.

  • PDF

대학도서관 방문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 (Cooperative Link between the Academic and School Libraries through Academic Library Visit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9-75
    • /
    • 2006
  • 정보사회에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 신장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갖는다. 따라서 대학도서관과 학교도서관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매개로 연계가 가능하다. 본고에서는 대학과 학교도서관의 연계 방안으로 대학도서관 방문프로그램을 소개하고 제안한다. 학교도서관의 입장에서 이 프로그램은 자료와 사서교사의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도서관 기반 학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대학도서관의 입장에서는 지역사회개방에 따른 자료부족 문제, 사서의 업무 증가 문제. 열람석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서의 교육적 역할 증진에 기여할 것이다.

학교도서관 정보공시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Information Disclosure in School Libraries)

  • 구중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37-155
    • /
    • 2010
  • 본 연구는 초 중등학교의 학교도서관 관련 학교정보공시 실태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미국의 학교성과보고서에서 도서관/미디어센터에 대한 정보공개 사례를 살펴보았고 우리나라의 학교정보공시제도 의미와 내용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학교도서관 관련 13개 공시범위를 대상으로 정보공시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비교를 통해 개선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주체들에게 학교정보공시를 통해 학교도서관 현황과 가치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리는 데는 공시양식 및 지침서와 학교알리미 서비스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토대로, 학교도서관의 공시내용 추가, 공시정보의 가독성 및 활용성, 이용자 편리성, 공시업무 효율성 등에 초점을 두고 몇 가지의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학교도서관의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인천 중등 학교도서관 사례 및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tivation of Book Curation in School Libraries: Focused on the Case and Current Status Analysis of Secondary School Library in Incheon)

  • 오혜민 ;곽승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5-137
    • /
    • 2022
  • 본 연구는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사례 조사와 담당자의 북큐레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을 통해 중등 학교도서관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문헌조사와 함께, 인천광역시교육청 중등 학교 중 상시 운영이 이루어지는 전수 192개 학교도서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인천 중등 사서교사 4명과 문헌정보학과 교수 1명을 대상으로 인터뷰, 학교도서관 방문 관찰을 병행하였다. 이를 통해 북큐레이션 활성화 방안으로 학교도서관 담당자의 증원, 교과교사와의 협력과 정보 공유, 북큐레이션 운영을 위한 매뉴얼 확립, 주제 선정 사례집 출판을 제안하였다.

조선조의 향교문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yang-Gyo Libraries In the Yi Dynasty)

  • 이춘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권
    • /
    • pp.1-30
    • /
    • 1978
  • The libraries of the various learning institutes in the Yi Dynasty may b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1) The Hyang-Gyo library(the public school libraries in rural districts) 2) The Sabu-Hankdang library (the public school libraries in the Capital) 3) The $S\bar{o}w\bar{o}n$ library (the libraries of private learning institutes) 4) The $Jyon-Gy\bar{o}ng-Gak$ library (the library of the Sung Kyun Kwan which was the highest learning institute in the Yi Dynasty) For the historical study of Korean libraries as well as its education and culture the Hyang-Gyo libraries hold an very important position, but undeservedly its study has been neglected. In this paper, the writer made an effort to grasp the various function of the Hyang-Gyo libraries with its historical background.

  • PDF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에 대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y and the Public Library)

  • 변우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5-290
    • /
    • 2015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은 도서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사서직의 교육적 역할을 신장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이다. 설문을 통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태분석 결과, 사서교사와 사서 모두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으며, 협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프로그램'과 '자료'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공통적인 이유는 '인식 및 관심 부족'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사서교사는 주로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홍보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학교도서관에 홍보하거나,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구비 및 제공을 사서교사와 협의하고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간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 배치'와 '협의체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의 Information Commons 도입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Information Commons in School Libraries)

  • 정미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09-146
    • /
    • 2008
  • 이 연구는 학교도서관 이용자의 요구 변화와 그에 따른 학교도서관의 역할 변화를 수용하기 위하여 학교도서관의 IC 도입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IC 개념을 응용하여 학교도서관에서의 IC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도입 모형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특히 학교도서관의 IC 구성요소 도출 및 IC 도입 모형 구축에 초점을 맞췄다. IC 구성요소는 물리적 요소를 학습공간, 제작공간, 커뮤니티공간, 서비스 데스크로, 인적 요소는 사서교사, 정보기술자, 학생도우미로, 서비스 요소는 정보활용교육과 협력적 통합서비스로 세분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출한 IC의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IC 서비스 개념도, IC 도입모형, IC 평면도를 제시하였다.

일본 학교도서관의 지역개방현황과 배치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ypes and Current Status of School Library in Japan)

  • 공순구;박지훈;신한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27-345
    • /
    • 2012
  • 본 연구는 일본에서의 지역사회에 개방하는 학교도서관에 대한 개방과 배치유형 및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로서 학교내 설치되어 있는 학교도서관을 여러 가지 대안으로 개방함으로써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접근성을 증진시키고 나아가 시민의 정보접근환경을 개선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본의 경우 1953년에 학교도서관법의 단일법령을 세계 최초로 제정하였을 정도로 학교교육에서 차지하는 도서관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움직임에 힘입어 학교도서관의 설치율이 100%에 이르는 성과를 이뤄냈다. 또한 이런 도서관이 지역에 개방되어 지역주민의 도서관 이용을 증진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체 소 중 고교 중 11.6%에 달하는 학교도서관이 주민에게 개방되었다. 점차 노령화되고 초등학교 시설내의 이용이 저감되는 시점에서 학교교사의 활용방안을 도서관의 확장과 개방화를 통해 이용대안을 모색하고 학교와 지역마다의 특성을 다양하게 반영할 수 있는 여러 대안이 제시된다면 학교도서관 개방이 보다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며, 이는 정보화시대에 국민의 평등한 정보접근환경제공과 평생교육의 제공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학교도서관이 지역사회와 적합한 규모와 형태로 설치되기 위한 유형과 관련된 연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이 개방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고등학교 학생의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the Department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0
    • /
    • 2015
  • 본 연구는 급변하는 대학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도를 조사할 뿐만 아니라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사서 및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인지도는 보통 이하로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와 선호도를 조사하였으며,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한 후 진출할 수 있는 직장으로 생각되는 기관에 대해 공공도서관, 국가도서관, 대학도서관, 학교도서관 순으로 응답하였으나, 취업하고 싶은 직장은 방송국 자료실, 국가도서관, 학교도서관,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포털업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지도는 문헌정보학과에 대한 선호도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헌정보학과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는 학생들이 문헌정보학과를 선택할 확률이 높다고 예측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문헌정보학과의 진로에 대한 인식을 높임으로써 문헌정보학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