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ians

검색결과 241건 처리시간 0.027초

A Method to Identify How Librarians Adopt a Technology Innovation, CBAM(Concern Based Adoption Model): Focusing on School Librarians' Concern about Digital Textbooks

  • 강지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5-23
    • /
    • 2016
  • As new technologies change a society, librarians need to understand and adapt to technology innovations. However, most innovations that librarians are supposed to adopt are government-driven or top-down changes; and there have been very few studies conducted to identify any patterns or consistencies in librarians' perceptions of innovation. This paper, therefore, has two research purposes. First, it introduces the Concern Based Adoption Model (CBAM) as one method to gain a deeper understanding of how librarians see such changes. Second, this study identifies school librarians' concerns regarding digital textbooks in South Korea applying the CBAM theory. The test signifies that school librarians present a typical non-user profile, and the pattern anticipates a potential resistance to digital textbooks. Also, it discovers the less experienced and innovator librarians had higher concerns across every stage. The findings underscore a need of various interventions. The CBAM theory suggests, in terms of intense Stage 0 and 1, it is required for school librarians to have events to gain information about digital textbook implementation. Regarding targeted interventions, since the biggest gaps occurs in Stage 4, Consequence and Stage 5, Collaboration, according to school librarians' experience and adoption style, new school librarians need stronger engagement with the community, which including associations, mentors or peer support, and collaborating with public libraries; innovator school librarians require opportunities to test and present their use of digital textbooks (Hall and Hord 1987).

학교도서관 사서직의 소진 경험에 관한 연구 -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를 중심으로 - (A Study of School Librarian Experience of Burnout: Focused on Contract Teacher Librarians and Contingent Librarians)

  • 임성관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71-19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가 어떤 경우에 소진경험을 하는지 밝혀,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학교도서관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직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업무 환경, 심리 상태가 소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에 근무하는 기간제 사서교사와 계약직 사서들의 소진도가 높지 않으며 소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자아존중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상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가 보통 이하로 나타나 보상체계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서교사의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학교도서관의 정보·교육봉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of Teacher Librarians on Informational and Educational Services in School Libraries)

  • 송기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71-9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른 조직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학교도서관의 정보 교육서비스에 끼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역할 활성화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 결과 사서교사는 업무수행에서 상사 및 동료와의 대화와 면담 등 비공식적 커뮤니케이션과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 경력, 학교 급 등 사서교사의 특성 변인에 따라서 이용자 교육, 도서관활용수업, 독서교육 프로그램 및 정보활용교육 운영 방식 등에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교과연계도서목록 제공이 증가하고 있으며, 수평적 커뮤니케이션이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교도서관 운영과 관련된 공동체 구성원에게 학교도서관의 비전과 목적을 알리고 책임과 역할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는 수평적 커뮤니케이션 수단인 협조문, 위원회, 협의회 등을 활성화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비공식 커뮤니케이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리더십 개발, 동료교사에 대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마케팅 전략 수립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사서교사 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Teacher Librarians' Images on the User Satisfaction of School Libraries)

  • 천희선;박지홍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5-55
    • /
    • 2018
  • 본 연구는 이용자들이 사서교사에 대해 어떠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고 그 이미지에 따라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를 알아봄으로서 학교도서관 활성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조사방법은 서울, 경기지역 10개의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서교사의 이미지유형은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분류되었고 전문성있는 이미지와 적극적인 이미지는 학교도서관이용자만족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한 업무이미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서교사와 이미지와 학교도서관 만족도는 학교도서관 재이용의사와 추천의도에서도 유의한 영향을 보여주었다. 사서교사이미지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서교사의 적극적인 태도와 전문성을 신장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고 이용빈도가 낮을수록 사서교사의 이미지를 단순한 업무이미지로 보고 있으므로 이용빈도를 높이기위한 다양한 독서교육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서교사이미지가 학교도서관 이용자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안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문화프로그램 운영에 있어서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및 선호도 연구 (A Study on Librarians'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Cultural Programs Between School and Public Libraries)

  • 노동조;송유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75-299
    • /
    • 2011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 분야 중에서 문화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사서(사서교사)들의 인식과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사서(사서교사)는 문화프로그램의 중요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이들이 선호하는 문화프로그램의 유형은 참여형과 체험형이고, 선호하는 홍보수단은 온라인 공간(카페, 클럽, 홈페이지)이었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간의 협력사업 운영 시, 효과적 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공공도서관 사서의 현장 방문을 통한 프로그램 진행과 개별 학교의 특성에 맞춘 연계프로그램의 참여였다. 협력수준으로는 기관간의 업무협약(MOU) 체결과 담당자간 협조체제를 선호하며, 평가 및 보고 방법은 문화프로그램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였다.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에 대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인식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of Teacher Librarians and Public Librarians about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Library and the Public Library)

  • 변우열;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75-290
    • /
    • 2015
  •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은 도서관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좋은 서비스를 제공함으로 써 사서직의 교육적 역할을 신장할 수 있는 전략 중 하나이다. 설문을 통한 사서교사와 사서의 협력에 대한 인식과 실태분석 결과, 사서교사와 사서 모두 학교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협력이 필요하다는데 공감하고 있으며, 협력이 가장 필요한 분야는 '프로그램'과 '자료'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못하는 공통적인 이유는 '인식 및 관심 부족'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사서교사는 주로 공공도서관이 운영하는 어린이 청소년 관련 프로그램이나 서비스를 학생과 학부모에게 홍보하고 있으며, 공공도서관 사서의 경우에도 프로그램을 학교도서관에 홍보하거나, 교육과정 관련 자료의 구비 및 제공을 사서교사와 협의하고 있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간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전문 인력 배치'와 '협의체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 역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ormation and the Library' Curriculum and the Roles of Teacher-Librarians)

  • 함명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169-188
    • /
    • 2008
  • 본고는 초 중등학교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과 사서교사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 영향 및 과제를 다룬다. 학교도서관진흥법과 연계하여, 사서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실시하는 것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또한 어떠한 기본 체제를 갖추고 실천해야 하는지 등 향후 과제와 방안을 제시한다. 주요 내용은 사서교사의 업무 범위와 교육과정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영향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의 향후 과제를 다룬다. 사서교사가 사서직원과 차별화되는 업무로서 학교도서관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속에서 사서교사의 고유한 시간(수)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인 정보와 도서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활동을 실천해야 한다는 것이다.

사서교사와 타 비교과 교사의 배치 비교를 통한 사서교사 배치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Plan of Teacher Librarians' Placement by a Comparison between Teacher Librarian and Other Teachers Not-teaching the Subject Matter)

  • 강봉숙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27-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 자격 제도가 가진 한계와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데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서교사와 다른 비교과 교사의 배치기준과 현황을 비교하는 문헌연구의 방법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사서교사 배치 관련 문제점의 핵심은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정원 산정 기준에 사서교사 실기교사나 사서 모두를 포함한 인원을 기준으로 학생 1,500명당 1명의 학교도서관 운영 인력을 배치한다는 데에 있다. 이로 인해 교원 정원을 산정하는 기준인 국가공무원 정원 배정 기준에 공립학교 사서교사 1인당 학생 수가 5,616명으로 배정되어 있다. 타 비교과 교사의 정원은 사서교사에 비해 많게는 9배 가까이 높게 배정되고 배치율도 사서교사와는 극명히 대비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사서교사와 사서의 정원 분리와 역할 명확화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교당 학생 수가 500명 내외인 점, 타 비교과 교사 배치기준이 학교 규모와 학교 수에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사서교사 임용시험에 예측가능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사서교사 자격 양산이 보다 활발히 이뤄질 수 있도록 양성기관에 대해 융통성을 인정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사립학교에도 사서교사 배치가 될 수 있도록 사서교사 정원을 증치해야 한다. 사서교사 배치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고찰한 본 연구를 통해 안정적인 사서교사 배치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s of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by Korean Teacher-Librarians)

  • 정진수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53-171
    • /
    • 2014
  • 본 연구는 사서교사 배치가 매우 미흡한 현실 속에서 사서교사 교수활동에 대한 이해가 절실하다는 판단아래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을 정의하고 현재 수준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연구자와 서울지역 고등학교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Kuhlthau의 사서교사 교수활동 단계 모형을 적용하여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의 수준을 진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국내 사서교사 교수활동은 독립적으로 수행되는 도서관이용교육이 가장 많이 시행되어 낮은 수준의 교수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었으며 학교도서관 관련 이론과 연구자들이 강조하는 바와 같이 교과연계 및 협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높은 수준의 교수활동으로 진화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학교도서관 발전을 위해 향후 사서교사 교수활동이 진화해야 한다는 것이 제안되었으며 이를 위해 정보활용교육의 국가수준 교육과정에의 포함 등 적절한 제도와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함이 강조되었다.

한국의 전통문화와 공동도서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Retarding the Developmen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Consciousness of Librarians & Users-)

  • 박인웅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16권
    • /
    • pp.207-242
    • /
    • 1989
  •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the present deadlock situation in public library development in Korea has chiefly been caused by the underdevelopment of the consciousness of the librarians themselves presently employed in various levels of public libraries throughout the country.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define the areas in librarians' consciousness in which elements of backwardness prevail, and thereby to produce a theoretical framework to develop public library services in Korea on an indigenous footing. To do this, the present author set up a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itional consciousness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public library performances, based on existing published materials. In order to prove hisirelatonship, he then sent out questionnaires to public librarians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answered questionnaires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follows: 1) Those who place an importance on the show of respectability tend to prefer to work in an indirect services area. 2) Male librarians tend to show a job satisfaction because of chances of promotion reflec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is-worldiness of librarians and their job satisfaction. 3) Male librarians tend to be satisfied in their job for the conviction for their self-accomplishment, and female librarians tend to be satisfied in their job for the attention and respect they receive from users. 4) Library technicians tend to draw their job satisfaction from their sense of job stability. 5) Male librarians tend to be dissatisfied for the lack of the monetary rewards they receive, while female librarians tend to be dissatisfied for the lack of promotional chances. 6) Most librarians tend to maintain a positive job attitude for the promotional chances, reflecting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is­worldliness in librarians and their service attitude. 7) Power-orientednes in librarians and their job satisfaction correlate negatively in the case of male librarians. This does not apply to female librarians. 8) Power-orientedness and good service attitude correlate negatively in the case of male librarians. This does not apply to female librarians. 9) The fact that male high school students desire to enter good colleges and universities and to obtain a position in his job positively correlate to the fact that public libraries have transformed themselves into a mere reading room. 10) Male library science students show a maladjustment in their major department in earlier years for the professional uncertainty, and as they advance into senior years they show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library profes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