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Counselor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8초

갈등해결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nflict Resolution Program on Children's Psychological Well-being, Empathy, and Aggression)

  • 정종진;김미경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33-151
    • /
    • 2012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심리적 안녕감, 공감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Teolis(2002)의 초등학생용 갈등해결 활동들 중에서 일부를 발췌하여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부분 수정 보완하여 총 15회기로 구성한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초등학교 4학년 두 학급을 선정하여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여 10주에 걸쳐 주 1~2회(1회 40~50분) 갈등해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타당성과 신뢰성이 있는 기존의 심리적 안녕감 척도, 공감 척도, 공격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반복측정식 다분산분석 방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갈등해결 프로그램은 심리적 안녕감과 공감 수준을 향상시키고 공격성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진로흥미와 진로인식 (Career Interest and Career Awarenes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General Families)

  • 조붕환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2호
    • /
    • pp.171-19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성별, 연령별, 다문화 여부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발달 양상을 살펴보고, 이들의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충남과 전남의 4-6학년 초등학생 341명(다문화: 165명, 일반: 176명)이었다. 연구결과 첫째, 진로흥미는 성별 주효과가 있었는데, 탐구형은 남학생이 높고, 예술형과 사회형은 여학생이 높았다. 다문화의 주효과 및 성별과의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둘째, 진로인식은 다문화와 성별 주효과가 유의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는 없었다. 다문화의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태도 및 진로인식 총점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의 점수가 높았다. 성별 주효과는 자기이해, 직업세계인식, 진로인식 총점에서 유의하였으며 여학생이 높았다. 셋째, 학년에 따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을 보면,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탐구형, 예술형, 사회형, 기업형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낮아졌으며, 진로인식의 경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직업세계 인식에서,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전 영역에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점수를 보였다. 넷째, 진로흥미와 진로인식의 상관관계는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보다 뚜렷하였다.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이 진로인식과 높은 상관을 보인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이 높은 상관을 보였다. 다섯째, 진로흥미가 진로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은 일반가정 초등학생에게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다문화 여부가 직업세계 인식과 진로태도, 진로인식 총점에 대해 의미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진로인식에 영향력 있는 진로흥미는 사회형과 예술형이었으며,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은 예술형의 영향이 큰 반면, 일반가정 초등학생은 사회형의 영향이 컸다. 이를 토대로 초등학생의 다문화 관련 진로교육의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자기성장집단 상담이 우울성향 아동의 자아개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elf -Concep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pressed Children)

  • 오명희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2004년도 학술대회
    • /
    • pp.119-13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depress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 total 20 children who were screened by CDI criteria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s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N=10) and the control group(N=10).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s were implemented for ten week period. The research hypothesis were as follows: 1-1 : The scores on the self-concept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1-2 : The post-test scores on the self-concept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pre-test scores. 2-1 : The scor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 of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2-2 : The post-test scores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higher than pre-test scores. 3-1 : The scores on CDI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3-2 : The post-test scores on CDI of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lower than pre-test scor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among the self-concept measure, the score of the emotional self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Second,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cores of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asures of the post-test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e pre-test. Third, the scores on CDI measures also showed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lf-growth group counseling program interventions were functioned as for improving the self-concept a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for decreasing the depressed level of childre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es were made.

  • PDF

감사프로그램이 아동의 분노조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a Thanksgiving Program on Children's Anger Control)

  • 서덕남;박성희
    • 초등상담연구
    • /
    • 제8권1호
    • /
    • pp.79-9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분노조절을 위한 감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감사프로그램은 아동의 분노조절에 효과를 미칠 수 있는가?' 라는 연구문제를 설정하고 연구자가 담임을 맡고 있는 K초등학교 5학년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10회기에 걸쳐 감사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감사프로그램은 감사하는 마음이 무엇인지 긱이 생각해 보면서 스스로 자신의 주변에서 감사할 거리들을 찾아보고, 그 감사함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해 보도록 해 주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다. 연구는 프로그램 처치를 하지 않는 통제집단과 프로그램 처치를 하는 실험집단을 설정하여 연구결과를 얻는 기존의 연구들과는 다르게 운영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험참여수준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프로그램 운영이 끝난 후 쿠폰을 이용하여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아동들에게 같은 내용으로 실시된 사전, 사후 분노척도검사를 통해 얻어진 분노척도점수를 집단간 비판분석을 하여 감사프로 그램의 분노조절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감사의 긍정적인 효과로 인해 상태분노, 특성 분노, 분노억압, 분노표출, 분노통제의 5가지 분노영역에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났다. 즉, 감사를 이용하여 개발된 감사프로그램은 초등학교 아동의 분노조절에 효과가 있음이 이 연구에서 밝혀졌다. 감사의 긍정적인 특성으로 정서 및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는 노지혜(2005), 권선중 외(2006), 김동희(2008)의 연구처럼 감사의 정서를 이용하여 만든 감사프로그램이 분노의 감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결론을 이 연구에서 얻을 수 있었다.

  • PDF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Monitoring on the Class Obstacle Behavior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of Children)

  • 이민정;황순자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1호
    • /
    • pp.75-9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행동의 개선을 위하여 수업행동을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 행동으로 구분하고, 자기점검기법이 대상 아동들의 수업 방해 행동과 수업 참여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자기점검기법이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가설은 1.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방해행동을 감소시킬 것이다. 2. 자기점검 기법은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킬 것이다로 세웠다.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하는 A초등학교 4학년 $\circledcirc$반 일반 학급 아동 12명으로 이는 기초선 기간의 행동측정 결과 수업 방해 행동 비율이 높은 8명과 수업 참여 행동 비율이 낮은 8명을 선정하였고, 양 쪽 그룹 모두에 속하는 아동이 4명이다. 이들의 사전 행동 관찰을 거쳐 개별적으로 수업 방해 행동 및 수업 참여 행동의 목표 행동을 설정하도록 하고, 기초선 1 기간 동안 각 행동의 빈도를 연구자가 두 명의 관찰자와 함께 측정하였다. 이후 중재 1 기간 동안 자기점검기법이 적용되었고, 아동 행동변화의 효과가 자기점검기법임을 밝히기 위하여 기초선 2 기간을 가졌다. 이후 중재 2 기간 동안 다시 자기점검기법이 실시되었으며, 10일 후 유지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후 점검을 실시하였다. 개별 아동의 행동 발생 빈도를 변화 그래프를 이용하여 나타냈으며, 양적 결과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대상 아동들의 사후 소감문을 분석하였고, 연구자의 관찰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방해 행동의 감소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점검기법은 아동의 수업 참여 행동의 증가와 변화된 행동의 유지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감훈련프로그램 참여아동의 공감표현 변화과정 분석 (An Analysis on the Empathic Changing Process of the Members in Empathy Training Program)

  • 김미영
    • 초등상담연구
    • /
    • 제7권1호
    • /
    • pp.205-226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you have seen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existing quantitative research and to put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practical use for participating children. From looking into this, the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that came to light in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and children and children and children are sure to have that effect. For this work, I established the following subject of inquiry: What kind of changing processes can be seen i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participating children in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o resolve the above line of inquiry, six female six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hosen and they progressed through twelve sessions of the Empathy Training Program. The children were given a sentence completion exam, recognition work, neat writing exam and a school adaptation exam both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making data for analysis. To analyze, first, participants had one or two meetings of forty to fifty minutes each. Progress through the program's curriculum was recorded and through the repeating and copying method, to be sur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understanding was revealed, empathic language and behavior was routinely chosen. Next, according the above criteria I looked into visible changes of the participating children's empathic expressions, classifying and analyzing changes in empathic understanding and six instances of common changes in the emphatic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were analyzed and put together. Next I will summarize the findings we have seen in this research: First, if we look into changes in common empathic understanding from the beginning, using the criteria of empathic language, each individual showed understanding at the beginning and passed and progressed through stages of care, insight and emotional expressions. Second, when we looked at the criteria of empathic behavior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ne's line of vision and ability to concentrate one's attention was connected. Next, the act of nodding one's head looked like a brief nod at first but at the end, it was not just a simple nod but rather they could feel deep empathy. The condition and substance of the facial expression was seen to match and at the very end the child was expressive and stretched out arms to hold and pat the other person and the act of holding hands could also be seen. Among lots of empathic behavior the final stage was shown by half of the children. Third, from the first stage to the last stage there were many cases revealed. The more the children went the more complete their empathic language became. Their vocabulary increased and became more diverse with empathic actions. Also, when comparing actions and expressions from the beginning with the end, visible expressions became more natural and sincere at the end. The result of the research we have seen is that through receiving experience of empathic understanding, participating children showed a sense of self-confidence and they looked to make peaceful expressions while not being aggressive or defensive about problems. In addition, from understanding empathic expressions, participating children's relationships felt closer. This outcome within this group in this case will be applied and the formation of empathic understanding can be used by the children internally to solve their own problems, acquire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and ot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smooth classroom management.

  • PDF

산업장 근로자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요구도 (Need Assessment for Worksite Health Promotion Program)

  • 송연이;장정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5-129
    • /
    • 199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kinds of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workers want, worker's intention for participation, proper method, time, duration and manager.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412 employees of 3 worksites in Chungpook and Kyungkee. This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 10 to Aug. 20, 1998.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male, amo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avorite ones were physical fitness(32.2%), periodic health check-up(24.6%), and stress management(18.0%). In female, among health promotion programs, favorite ones were periodic health check-up(26.0%), physical fitness(22.0%), and body weight control(19.5%). 2. The more young subjects are, the more they like physical fitness program, and the female like body weight control program regardless of BMI. Manufacturing worker preferred back pain prevention program to clerical worker did. In female, drinker preferred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non-drinker did. 3. The more old subjects are, the more they like back pain prevention program, and non-smoker preferred body weight control program to smoker did. 4. In health promotion program format which the subjects wanted, learning of self-examination techniques was 41.1%, worksite screening was 3l.0%, availability of pamphlets and audiovisual materials was 20.0%, presentation of worksite educational sessions was 7.9%, and the most wanted manager for the program was medical doctor and then nurse, physical trainer, psychological counselor. The favorite health promotion program duration was less than 30 minutes(49.6%), and the favorite time was before work(49.6%). 5. Among respondents, 48.5% was smokers, 81.8% was drinkers, 39.9% engaged in the regular exercise, 68.2% engaged in regular diet habit. In vaccination, 50.2%, if possible, wanted to be vaccinated and 37.6% never wanted to be vaccinated. 6. Ex-smoker, ex-drinker, the subjects in the regular exercise, and in the regular diet habit responded they were in good heal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xercise and health status. Need and intention for participa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high in ex-smoker, ex-drinker, the subjects in the regular exercise, and in the regular diet habit. According to results for this study, if the favorite programs, exercise, periodic health check-up, stress management program, are operated at a proper time and with managers they want, this programs can really raise the participation of employees. And as employees want to learn self-examination techniques if worksite educational sessions are performed, health promotion program can effectively be operated.

  • PDF

콜센터 상담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Call Center Counselors)

  • 신삼철;조영채;김종수;김동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318-1327
    • /
    • 2015
  • 본 연구는 콜센터 상담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은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는 병원 9개소와 기업체 5개소에 근무하고 있는 콜센터 상담사 158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3년 2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자기기입식 설문조사(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에 관련된 요인으로는 연령, 수면시간, 업무요구도, 업무자율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특히 직무스트레스 내용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에서는 업무요구도가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높은 반면, 업무의 자율성이 높아질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직의도에 대한 직무스트레스의 위험비는 업무 요구도가 높은 군에서, 업무자율성이 낮은 군에서, 상사의 지지도 및 동료의 지지도가 낮은 군에서 이직의도가 높은 군에 속할 위험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콜센터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및 우울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Labour, Depressive Symptoms and Presenteeism among Counselors in Call Centers)

  • 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4086-4097
    • /
    • 2015
  • 본 연구는 콜센터에서 종사하고 있는 상담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 수준을 파악하고, 특히 감정노동 및 우울수준과 프리젠티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2개의 콜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상담원 304명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14년 4월 1일부터 5월 31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상담원들의 감정노동, 우울 및 프리젠티즘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의 여러 변수들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특히 조사대상자의 프리젠티즘은 우울 및 감정노동 하위요인들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프리젠티즘과 관련성이 있는 변수로는 연령, 업무의 신체적인 부담정도, 우울수준, 감정노동의 표면행위가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프리젠티즘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담원들의 우울과 감정노동 수준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정신건강관리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심리상담사의 지역사회자원연계 능력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Community Resources Linkage Capability Scale of Counselors)

  • 성슬아;배성훈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3호
    • /
    • pp.357-3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심리상담사의 지역사회자원연계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5가지 영역, 총 42문항으로 구성된 예비 문항을 제작하였다. 이후 한국상담심리학회 소속 심리상담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전문가들에게 내용 타당도와 안면 타당도를 검증받았고, 그 결과 4가지 영역 총 20개로 된 최종 문항을 도출하였다. 최종 문항은 심리상담사(N=306)에게 제공되었고, 수집된 설문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2요인이 확인되었고,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2요인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요인은 각각 '정보의 수집과 활용'과 '정보의 조직과 연계'로 명명되었으며, 척도는 공인 타당도, 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분석 결과에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는 심리상담사를 위한 지역사회자원연계 능력 척도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척도는 Wee클레스나 Wee센터, 청소년 상담복지센터 및 그 외 상담 현장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