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isandraceae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42초

한국산 오미자과의 DNA 바코드 (DNA barcoding of Schisandraceae in Korea)

  • 염정원;한상욱;서선원;임채은;오상훈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73-282
    • /
    • 2016
  • The establishment of a DNA barcode database at the regional scale and assessments of the utility of DNA barcodes are crucial for conservation biology and for the sustainable utilization of biological resources. Schisandraceae is a small family consisting of ca. 45 species. It contains many economically important species, such as Schisandra chinensis, which is widely used as a source in tonic beverages and in oriental medicine. In Korea, three species, S. chinensis, S. repanda, and Kadsura japonica, are distributed. We evaluated the level of variation of the DNA sequences of rbcL, matK, and the ITS regions from 13 accessions representing the distributional range of the three species. The three DNA barcode regions were easily amplified and sequenced. The minimum values of the interspecific genetic distances among S. chinensis, S. repanda, and K. japonica either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are 4- to 23-fold high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intraspecific distance, showing that there is a clear DNA barcoding gap in the regions for Korean Schisandraceae. Phylogenetic analyses of the three DNA barcode regions, separately and simultaneously, indicate that all of the DNA barcode regions are useful for identifying a species of Schisandraceae in Korea. The distinctiveness of the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was also supported at the species level when Chinese and Japanese populations were ad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ree concatenated regions constitute the best option for DNA barcoding in Schisandraceae in Korea.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잎 형질 및 광합성 특성 (Foliar Characteristics and Photosynthetic Efficiency of Three Species of Schisandraceae Trees Distributed in Korea)

  • 김판기;이갑연;김세현;한상섭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90-96
    • /
    • 1999
  •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오미자과 2속 3종의 종간 및 종내 변리정도와 생장 특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낙엽 활엽성인 Schisandra속의 오미자와 흑미자(자웅동주, 숫그루, 암그루), 상록활엽성인 Kadsura속 남오미자의 엽형질과 생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잎의 길이 및 폭은 변이의 폭이 커서 종간의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짧고 넓은 형태를 하였다. 엽병의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길었으며, 특히 흑오미자의 암그루는 남오미자에 비교하여 2배 이상 길었다. 그러나 엽병의 직경은 Kadsura속이 Schisandru속보다 두꺼웠다. 기공의 크기(폭, 길이)는 Schisandra속이 Kadsura속에 비하여 켰으며, 기공밀도는 Kadsura속이 Schisandra속보다 높은 밀도를 나타냈다. 생육환경에 따른 잎의 형태적 변화는 크게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표고가 높아짐에 따라서 흑오미자의 잎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엽록소 함량은 종간 및 종내의 변이 폭이 켰으며, 흑오미자가 남오미자 또는 오미자보다 높았다. 광합성 특성은 Schisandra속이 Kadsura속보다 광보상점 및 광포화점이 낮고, 광포화점에서의 광합성속도도 낮았다. 그러나 Schisandra속은 Kadsura속보다 낮은 호흡률을 나타내어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생장활동을 영위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임내의 어두운 곳에서 생장한 개체는 높의 광도에서 생장한 개체에 비교하여 낮은 광도조건에서 더욱 효율적인 광합성작용을 하고 수행하였다.

  • PDF

Dibenzocyclooctene lignan compounds isolated from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 Piao, LongZhu;Lee, Yu-Joung;PhamPhu, ThanhTruc;Shin, Jae-Kyoon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11권4호
    • /
    • pp.248-252
    • /
    • 2005
  • Schisandra chinensis Baill. (Shisandraceae) is used commonly in traditional Korean herbal medicine. One new dibenzocyclooctene lignan compound, benzoylgomisin Q,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fruits of Schisandra chinensis Baill., together with five known lignan compounds; schisandrin, gomisin A, gomisin G, deoxyschisandrin, and gomisin N, using an ESI-positive MS-preparative HPLC auto-purification system.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determined via UV, MS, and NMR spectral studies.

Platelet-Activating Factor Antagonistic Activity and ^13C NMR Assignment of Pregomisin and Chamigrenal from Schisandra chinensis

  • Lee, Im-Seon;Jung, Keun-Young;Oh, Sei-Ryang;Kim, Dong-Seon;Kim, Jung-Hee;Lee, Jung-Joon;Lee, Hyeong-Kyu;Lee, Seung-Ho;Kim, Eun-Hee;Cheong, Chae-Jo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0권6호
    • /
    • pp.633-636
    • /
    • 1997
  •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PAF receptor antagonists, pregomisin (1) and chamigrenal (2)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Schizandra chinensis Baill by the bioactivity-guided isolation. Both compounds showed PAF antagonistic activity and the $IC_{50}$ values were $4.8{\times}10^{-5} M and 1.2{\times}10^{-4}M,$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13}C$ NMR assignments of 1 and 2 using DEPT, HMQC, COLOC and HMBC were reported for the first time.

  • PD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unds in Schisandra chinensis Collections for the Selection of Superior Lines

  • Han, Sin Hee;Lee, Hee Jung;Kim, Yae Jin;An, Tae Jin;Cha, Seon Woo;Chang, Jae Ki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66-366
    • /
    • 2017
  • There are about 2 genera and 49 species of Schisandraceae all over the world which grow 2 genera and 5 species in korea. As'Schisandra'genus, S. chinensis, S. repanda, S. nigra and S. viridicarpa are distributed. As 'Kadsura' genus, there is K. japonica species. Although S. chinensis is often used for food and herbal medicine, 'Cheongsoon'is the only cultivar in korea. Therefore cultivar breeding is required for standardized production of Schisandra chinensis. To select superior lines, characteristics of collected varieties was investigated. These collections were from all the country including Mungyeong, Muju and Jangsu. In the case of 'Schisandra chinensis', analysis of chemical compound is very important. Because in 'Korean Pharmacopoeia', Schisandrin has to contain more than 0.7% of sum of Shizandrin, Gomisin A, Gomisin N as standard compound.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the weight of SC-154 was the highest one that was 99g of fresh fruit and 60g of dried fruit in the 100 granulas of it. As the control group, the weight of cultivar 'Cheongsoon'was 57g of fresh fruit and 40g of dried fruit. The chemical compounds such as Shizandrin A, Gomisin A, Gomisin N and Shizandrin C from the collections were analyzed by HPLC. As a result, all average of total content was 1.67% satisfied with the standard that is over 0.7%. Among them, SC-13, SC-22, SC-40 and SC-45 had more than 2.0% of compound. In this case, the content of Gomisin N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collections. It can be used for high content compound breeding. This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findings could be used for breeding superior Schisandra chinensis through selection of high quality resource.

  • PDF

청초와 주정 전처리에 따른 오미자 물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비교 (A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from Schisandra chinensis Water Extracts depending on Stir-frying and Stir-frying with Liquids Process)

  • 남현화;김홍준;최낙진;노성수;추병길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987-997
    • /
    • 2015
  • 오미자의 포제방법에 따른 생리활성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평가를 위해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그리고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포제처리를 하지 않은 오미자에 비해 청초 전처리, 주정 전처리를 한 오미자 모두 함량이 증가하였고 $220^{\circ}C$에서 12분 동안 청초 전처리를 하였을 때 가장 높게 증가하였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폴리페놀 함량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에서는 $220^{\circ}C$에서 처리하였을 때 생오미자 보다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12분 동안 처리된 청초오미자에서 효과적이었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에서는 $140^{\circ}C$에서 3분 동안 처리한 청초오미자의 활성이 효과적으로 나타났고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생오미자, 청초 전처리, 주정 전처리에서의 활성 차이는 미비하였으나 비교적 $220^{\circ}C$에서 12분간 처리를 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는 포제처리 과정 중 열에 의한 오미자의 약리성분이 변화됨으로써 생리활성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따라서, 오미자의 항산화 활성은 비교적 청초 전처리에서 효과적이었으며 $220^{\circ}C$에서 12분간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활성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국내자생 오미자과(科) 3수종의 잎 형태, 엽록소 함량 및 목부해부학적 특성 (Morphology and Chlorophyll Contents of Leaf and Wood Anatomical Characteristics of Three Schisandraceae Species in Korea)

  • 김세현;이갑연;백을선;한진규;강문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7
    • /
    • 2010
  • 우리나라에 천연분포하는 흑오미자 4종류(자웅동주 제주 #41, #6, 숫그루, 암그루), 오미자 및 남오미자의 잎의 형태적 특성과 엽록소 함량 변이를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오미자과의 잎 형질, 기공 및 목부 해부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수종 간 많은 차이가 있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암그루, 숫그루 및 자웅동주 개체 간 많은 차이를 보였다. 잎의 길이는 남오미자가 가장 크고 다음이 오미자, 흑오미자 순이었으며, 흑오미자 4종류에서는 암그루가 가장 크고 자웅동주 개체가 중간이었다. 엽병길이는 흑오미자가 오미자와 남오미자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기공길이에서는 흑오미자가 $92.5{\sim}105.9\;{\mu}m$, 오미자가 $79.9\;{\mu}m$, 남오미자가 $76.2\;{\mu}m$ 로 흑오미자의 기공길이가 길었으며, 기공 폭에서도 유사한 경향을 보여 흑오미자의 기공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공밀도는 오미자나 남오미자에 비해 낮았다. 도관요소 및 목부섬유의 크기도 기공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흑오미자 4종류 내에서도 자웅동주와 암그루, 숫그루 간 차이를 보였다. 엽록소 함량조사 결과 종 간 및 개체 간 변이가 크게 나타났으며, 흑오미자와 남오미자의 SPAD-501 값은 각각 $38.8{\pm}6.7$, $39.5{\pm}8.2$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오미자는 SPAD-501 값이 $29.2{\pm}6.2$로 다른 두 수종에 비하여 매우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의 국내 산지별 화학적마커 선정을 위한 LC/MS 기반의 대사체학 접근법 (LC/MS-based metabolomics approach for selection of chemical markers by domestic production region of Schisandra chinensis)

  • 김인선;오선민;송하은;김두영;윤다혜;이대영;류형원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467-476
    • /
    • 2023
  •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는 오미자과에 속하는 낙엽활엽덩굴식물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등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오미자에 함유된 주요 성분에는 리그난 화합물뿐만 아니라 트리테르페노이드 화합물도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국 산지별 오미자의 특성을 구별하기 위해 대사산물 프로파일링과 다변량 통계 분석 기법인 PCA을 수행하여 판별식을 설정하였고, 그 결과 triterpenoids 16종, lignan 9종, flavonoid, phenylpropanoid, fatty acid 각 1종을 동정하였다. 또한 다변량 통계분석을 통해 OPLS-DA의 s-plot 모델을 적용하여 단양, 문경, 거창, 평창의 4개 그룹을 구분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lanostane, cycloartane, 그리고 schiartane triterpenoid, dibenzocyclooctadiene lignan 이 각각 화학적마커로 동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