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matization Analysi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일차함수의 문제해결 결과 분석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 of Problem Solving Results of Linear Functions)

  • 장정희;한주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79-104
    • /
    • 2022
  • 학생들이 수학 문제를 어느 정도 해결하는지 조사하여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을 주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함수에 대한 개념 간의 연결성이 문제 풀이 결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기 위한 4가지 방법(문제 유형별 정·오 분석, 도식화 분석, 영역 그래프 분석, 꺾은선 그래프 분석)을 구성하였으며,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여 직관적 파악이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분석 방법은 학생들의 평가 결과를 파악하기 쉽고, 학생의 학습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하여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학생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모니터링하여 자기주도 학습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므로 수학 교수 학습에서 활용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인삼가공식품분야 국내외 특허 동양분석;1975-2004년 공개특허를 대상으로 (Surveys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s for process food related ginseng)

  • 홍희도;박헌진;정자경;장대자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135-149
    • /
    • 2008
  • This research entailed collecting foreign and foreign patents on technologies for process food related ginseng, creating category of patent technology searching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is on each technology component and schematization. A technological trend of treating or preventing multiplicity of diseases has reviewed on 6,255 domestic and foreign patents from the year 1975 to 2004. Considering the increasing number of applicant and application of patent on technology of food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in the world around year 2000, it seem that these technology is developing. The related technology seems in the initial stage and common research by related technology research centers, government organization and public corporation becomes active.

'중소기업연구' 학술지 기업가정신 연구 동향에 관한 다차원 분석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Entrepreneurship Studies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PJSB)')

  • 이정우
    • 중소기업연구
    • /
    • 제43권1호
    • /
    • pp.131-145
    • /
    • 2021
  • 본 연구는 경영 분야 국내 저명 학술지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 기업가정신 연구동향에 관한 진단과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학술지 창간 이후 지난 40년간의 게재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제목(title), 초록(abstract), 주제어(keywords)에 기업가정신 관련 핵심어가 포함된 연구를 전수 조사하여, 연구의 주체, 대상, 방법론 등 다차원 관점에서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도식화된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계 관점에서의 연구 다양화, 저자 식별 및 관리 개선, 표준화된 핵심 논문 요약 체계 등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독창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과 제언은 기업가정신 연구가 급증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학술지 및 연구 관리체계 혁신방안은 연구 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비효율을 획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김치관련 연구동향 조사 : 1990${\sim}$2006년 학회지 게재논문 분석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 이명기;이경개;김중관;김수미;정진웅;장대자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4-114
    • /
    • 2007
  • This research entailed collecting domestic and overseas research papers on technologies for fermentation of Kimchi, which is widely considered the national dish of Korea, creating a technology classification structure and conducting quantitative analysis on each technology component and schematization. Five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n 1990. Afterwards, the number increased by six to nine papers a year. There was no clear increase after the year 2000, but an average of around 20 papers have been Published every year, indicating that Kimchi research is now becoming widespread. An analysis on researchers entailed determining the percentage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top ten authors. The percentage was 76% in the early-1990s; 63% in the late-1990s; and 52% in the 2000s, indicating that Kimchi has been more and more widely researched and Kimchi research has become professionalized.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leading the research as 52% of researchers belonged to universities. Another 9% were at research institutions. Analysis of technologies showed that domestic research mainly focused on the Kimchi fermentation process and an additive for the development of new Kimchi ingredients and types, preservation and quality improvements. Most of the research papers published overseas dealt with the functions of bacteria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and improvements in the Kimchi fermentation and ripening processes. And most of the research papers have been published in a field of microorganism and biotechnology.

19세기 남병철 『의기집설(儀器輯說)』 혼천의 용법 분석 (ANALYSIS OF THE USAGE OF NAM BYEONG-CHEOL'S ARMILLARY SPHERE IN UIGIJIPSEOL IN THE 19TH CENTURY)

  • 최홍순;김상혁;민병희;남경욱;유경한;김용기
    • 천문학논총
    • /
    • 제39권1호
    • /
    • pp.13-26
    • /
    • 2024
  • The armillary sphere, an astronomical observation device embodying the Orbital Heaven Theory of the Later Han Dynasty in China, holds both historical and scientific significance. It has been produced in various forms by many individuals since its inception in the era of King Sejong in the Joseon Dynasty. A prominent figure in this field was Nam Byeong-cheol (南秉哲, 1817-1863), known for his work 'Uigijipseol' (儀器輯說), published in 1859, which detailed the history, production methods, and usage of the armillary sphere. This text particularly highlights 21 applications of the armillary sphere, divided into 33 measurements, covering aspects like installation, time, and positional measurements, supplemented with explanations of spherical trigonometry. Despite numerous records of the armillary sphere's design during the Joseon Dynasty, detailed usage information remains scarce. In this study, the 33 measurements described in 'Uigijipseol' (儀器輯說) were systematically classified into six for installation, nineteen for position measurement, seven for time measurement, and one for other purposes. Additionally, the measurement methods were analyzed and organized by dividing them into the ecliptic ring, moving equatorial ring, and fixed equatorial ring of the armillary sphere. In other words, from a modern astronomic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schematization for each step were presented by analyzing it from the viewpoint of longitude, right ascension, and solar time. Through the analysis of Nam's armillary sphere, this study not only aims to validate the restoration model of the armillary sphere but also suggests the potential for its use in basic astronomical education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19th-century Joseon armillary sphere.

도심지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기존 매뉴얼 분석과 개선 방안 (Analysis and Improvement for Manual to Protect Mountain Disaster in Urban Area)

  • 송병웅;백우현;윤정환;심우배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7호
    • /
    • pp.43-53
    • /
    • 2015
  • 우리나라는 국토의 70% 이상이 산지로 되어 있어 지속적인 도시화에 따른 산지 개발이 필수불가결한 요소이므로 위험요인에 대한 대응기술 개발이 필수적이며 토사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과 매뉴얼 정립이 필요하다. 토사재해와 관련된 국가법령에서는 재난유형에 따라 위기관리 매뉴얼을 작성 운용하게 되어 있지만, 도심지 토사재해에 대한 위기관리 표준매뉴얼, 위기대응 실무매뉴얼 및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이 아직까지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풍수해 표준 및 실무매뉴얼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법으로 정해져 있는 사항이지만 아직까지 도심지 토사재해 분야에서 명확하게 정립되지 못한 부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주요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은 7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1) 도심지 토사재해에 적용 가능한 매뉴얼 제작이 필요하다. 2) 평상시 주관기관과 유관기관과의 수직적 수평적 상시교류 및 협력이 강화 구축되어 있어야 한다. 3) 개선되는 도심지 토사재해 매뉴얼은 각각의 공무원들이 실제 행동할 수 있는 행동절차(SOP) 매뉴얼이 필요하다. 4) 국민안전처에서 선정한 13가지의 항목을 중심으로 도심지 토사재해에 대한 필요한 항목을 우선적으로 선정해야 한다. 5) 이해할 수 있도록 도식화할 필요가 있다. 6) 주요 항목들을 체크리스트로 만들어서 위급상황 시 실무에 적용되도록 해야 한다. 7) 분기별로 1회 이상의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조선시대 도검 패용 광다회의 제작기법 분석 (Analysis of the Manufacturing Techniques for the KwangDahoe Tying on the Sword in Joseon Dynasty)

  • 백지선;정광용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0권3호
    • /
    • pp.64-87
    • /
    • 2017
  • 조선시대 끈을 일컫는 다회는 우리의 복식사, 문화사, 생활사가 녹아있는 산물로서 지역과 계층을 불문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사용되었다. 국내외 다수의 유물이 현존하고 있으나 연구의 주요대상으로 선정되지 못하여 연구가 미흡하고 기법 전승 등에서도 접근성이 낮아 연구에 어려움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도검의 패용(佩用)을 위해 사용된 광다회의 제작기법을 분석하여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 방안을 마련하고, 다회의 올바른 보존 및 계승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패용 광다회는 물건의 패용을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끈이며, 매듭을 맺기 위해 사용되기도 하여 현재는 매듭장에 의해 전승되고 있다. 제작원리는 원다회와 동일하고 다회틀 상판의 심지가 지지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작된 다회의 중앙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다회는 3차원적으로 제작되어 제작기법이 복잡하고 현재까지 올의 개수와 배열에 따라 제작되는 다회에 관한 기초자료가 마련되어있지 않아 제작기법의 규명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제작기법의 추정을 위해 올을 해체하는 경우가 존재하지만 제작기법의 규명에는 어려움이 있고, 본래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다회의 비파괴적인 제작기법 분석방안 마련과 실제 유물에 대한 적용 가능성 평가의 필요성이 크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은 다회 제작기법의 DB구축 결과를 바탕으로 하였고, DB구축을 위하여 다회의 도식화 및 복원샘플 제작, 형태적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DB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유물의 X-ray CT 촬영으로 분석결과를 뒷받침할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촬영결과는 다회치기기법에 근거하여 제작기법을 해석하였다. 제작기법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한 패용 광다회는 경인미술관 소장 도검(녹칠어피갑금동장별운도, 어피갑금동장곡병환도)의 패용을 위한 것으로 다회의 예술성, 기능성과 상징성을 겸비한 유산이며 광다회가 온전히 남아있어 띠돈을 비롯한 패용장식이 모두 온전한 유물이다. 유물의 제작기법 분석결과를 토대로 짜임형태를 관찰하였고 2점 모두 좌우측면에서 1회 교차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짜임형태 길이비 측정을 통해 20개의 올을 사용하여 제작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X-ray CT 촬영결과 DB의 분석결과와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차후 국내외에 산재되어있는 다회의 분석 및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미력하게나마 소중한 전통문화의 보존 및 계승,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