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ulti-Dimensional Analysis on Entrepreneurship Studies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PJSB)'

'중소기업연구' 학술지 기업가정신 연구 동향에 관한 다차원 분석

  • Received : 2020.08.20
  • Accepted : 2021.03.03
  • Published : 2021.03.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iagnose research trends and to deduct implications from meta analysis of entrepreneurship studies in the Asia Pacific Journal of Small Business (APJSB), one of the most well-known academic journals in management and entrepreneurship field in Korea. Frequency and crossover analysis are executed in multi-dimensions by time period, topic, author, research level, data, and methodology by complete enumeration of every published paper for 40 years in APJSB which included core terms of entrepreneurship in its title, abstract, or keywords. From objective and quantitative schematization of research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hip studies, novel improvement plans which are highly applicable in research fields are suggested such as diversification of studies from ecosystem perspective, identification of authors, and standardized system of extended abstract of research paper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propose future research directions and tasks when entrepreneurship studies have been rapidly increased. Furthermore, the innovation plans of management system of journals and papers are expected to contribute promotion of entire studies by significantly reducing trial and error, and inefficiency in research process.

본 연구는 경영 분야 국내 저명 학술지 '중소기업연구'에 게재된 논문의 메타분석을 통해 기업가정신 연구동향에 관한 진단과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학술지 창간 이후 지난 40년간의 게재 논문 전체를 대상으로 제목(title), 초록(abstract), 주제어(keywords)에 기업가정신 관련 핵심어가 포함된 연구를 전수 조사하여, 연구의 주체, 대상, 방법론 등 다차원 관점에서 빈도분석 및 교차분석을 수행하였다. 객관적이고 정량적으로 도식화된 동향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생태계 관점에서의 연구 다양화, 저자 식별 및 관리 개선, 표준화된 핵심 논문 요약 체계 등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독창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결과로 도출된 시사점과 제언은 기업가정신 연구가 급증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향후의 연구 방향을 제시하며, 학술지 및 연구 관리체계 혁신방안은 연구 과정에서의 시행착오와 비효율을 획기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희(2013), "사회적기업가정신 연구의 흐름과 동향 - 미국과 유럽 맥락을 중심으로 -," 「한국자치행정학보」, 제27권, 제4호, pp. 133-153.
  2. 김선우.박진서(2018), "기업가정신의 국제적 연구동향," 「한국창업학회지」, 제13권, 제2호, pp. 293-308. https://doi.org/10.24878/TKES.2018.13.2.293
  3. 김영수.고종남.도만승(2011), "국내 기업가정신의 연구동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동시단어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정보관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pp. 295-312. https://doi.org/10.3743/KOSIM.2011.28.3.295
  4. 김영환.양태용(2013), "기업가정신 전문 유명 국제학술지 논문 검토를 통한 기업가정신 연구 동향 분석," 「중소기업연구」, 제35권, 제3호, pp. 143-172.
  5. 박상욱.강준영.전다영.송영수(2018), "국내 팔로워십 연구동향 분석-2000~2017년 국내 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20권, 제3호, pp. 1-25.
  6. 박태경(2017), "본글로벌(Born Global): 국내 문헌 분석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 「기업경영연구」, 제74권, pp. 1-30.
  7. 배종태.차민석(2005), "기업가정신과 벤처 경영 부문의 연구동향: 한국과 미국의 학술지 비교분석(1998~2004)," 「벤처경영연구」, 제8권, 제3호, pp. 57-94.
  8. 서여주.김선우(2017), "유럽의 기업가정신 정책, 20년의 흐름," 「동향과 이슈」, 제43호, pp. 1-20.
  9. 성옥석(2012), "주요국의 창업동향분석을 통한 소상공 창업동향과 기업가의 의식구조 개선에 관한 연구," 「유통경영학회지」, 제15권, 제1호, pp. 101-113.
  10. 엄지윤.구장옥(2013), "한국 공익연계마케팅 연구에 대한 내용분석: 2000년부터 2012년까지 게재된 논문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기업경영학회」, 제20권, 제4호, pp. 155-174.
  11. 이동호.김우수.문성주.정이상(2012), "메타 데이터와 계량서지 데이터를 이용한 경영사학 연구특성 분석," 「경영사연구」, 제63권, pp. 97-117.
  12. 이춘우(2019),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기업가(Entrepreneur)의 정의의 통합 모형: 직무관점 및 역량모델 관점의 적용," 「중소기업연구」, 제41권, 제1호, pp. 97-129.
  13. 임정연.이영민(2017),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래 기업교육 관련 연구동향과 과제,"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제19권, 제4호, pp. 49-74.
  14. 정현준(2013), "우리나라 기업가정신 지수 동향," 「정보통신방송정책」, 제25권, 제8호, pp. 49-56.
  15. 최희곤(2001), "국제학술지(SSCI)에 등재된 논문을 통한 국내 문헌정보학자들의 연구동향 분석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제35권, 제2호, pp. 5-21.
  16. 한용진.정은정.권혜정.박주희(2010), "학회지 분석을 통한 한국의 교육사 연구 동향," 「교육사학연구」, 제20권, 제2호, pp. 155-179.
  17. 한유진(2016), "기업가정신 및 창업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4권, 제12호, pp. 121-131. https://doi.org/10.14400/JDC.2016.14.12.121
  18. Landstrom, H.(2005), Pioneers in Entrepreneurship and Small Business Research, International Studies in Entrepreneurship, Springer.
  19. Low, M. B., and I. C. MacMillan(1988), "Entrepreneurship: Past research and future challenges," Journal of Management, Vol.14, No.2, pp.139-161. https://doi.org/10.1177/01492063880140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