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edule Performance Index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4초

EVMS를 도입한 공정의 성과지수 분석 (Performance Index Analysis of Schedule Introducing EVMS)

  • 김영;이영대;김성환;김정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2년도 학술대회지
    • /
    • pp.456-459
    • /
    • 2002
  • 오늘날 건설공사의 효율화를 위한 EVMS(Earned Value Management System)도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많은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EVMS를 도입한 공정에 대한 경험부족과 국내 건설의 제도적${\cdot}$환경적 요인으로 인해서, 기술적인 분석이나 사례분석에 대한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EVMS를 도입한 공정상에 성과지수(SPI : Schedule Performance Index, CPI : Cost Performance Index)를 산정하여, 여러 통계적 분석방법을 적용해서 프로젝트 관리상에 일정, 비용상의 추세(Trend) 및 문제의 원인을 분석${\cdot}$연구하고자 한다.

  • PDF

한국 국방 연구개발 프로젝트 일정 관리 및 예측을 위한 Earned Schedule 기법의 적용 효과와 한계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and Limitation when Adapting Earned Schedule Method for Schedule Management and Estimation in Korea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Projects)

  • 조정호;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96-402
    • /
    • 2018
  • Earned Value Management(EVM) has been used to manage and forecast defense project schedule and cost over the last two decades in the world. However to support the lacking ability of schedule analysis in traditional EVM, earned schedule(ES) has been introduced as a tool to more accurately estimate schedule performance. This paper compares which method EVM or ES, provides more accurate schedule predictors in 32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ES method can predict the future schedule more reliably than the EVM method. We also analyze early warning function of schedule performance index considering project duration extension point.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we confirm that both the EVM and the ES method lack the ability of the early warning in terms of the current schedule management criterion.

A Risk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Mega-Project

  • Kim, Seon-Gyoo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2권1호
    • /
    • pp.57-64
    • /
    • 2010
  • In recent years, interests and studies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increased and largely conducted. It is a part of the effort that solves some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occurred by deteriorated buildings and degraded infrastructures through new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r re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w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guarantee in the project performance because the projects have various and complex stakeholders related to these projects and are exposed to lots of risks due to its huge scale. This study proposed the risk performance index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performance measurement for a mega-project by extending from the traditional cost/schedule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he risk performance index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has a similar system to the EVMS, and makes possible to perform a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st/schedule/risk through 18 different indexes that compose the risk performance index.

A Risk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Construction Project

  • Seon Gyoo Kim;Jin Bong Kim;Moon Serk Young;Bong Cheol Jeon;Han Kim;Young Jeong Yu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3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591-1598
    • /
    • 2009
  • Recently, the researches on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have been performed very actively. It is a part of the effort that solves some social and economical problems occurred by deteriorated buildings and degraded infrastructures through new urban regeneration projects or redevelopment projects. Howeve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show the characteristics that can not guarantee in the project performance because the projects have various and complex stakeholders related to these projects and are exposed to lots of risks due to its huge scale. This study proposed the risk performance index metho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overall performance measurement for a mega-project by extending from the traditional cost/schedule based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The risk performance index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has a similar system to the EVMS, and makes possible to perform a three dimensional integrated performance measurement in cost/schedule/risk through 18 different indexes that compose the risk performance index.

  • PDF

Earned Schedule 개념을 활용한 국방 연구개발 사업진도 기법의 일정 관리 및 예측 기능 연구 (Research of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or Project Progress Method in Defense Research & Development using Earned Schedule Concept)

  • 조정호;류상철;임재성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7-574
    • /
    • 2019
  • Traditional project progress method(PPM) has been used for Korean defense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management for the last 20 years.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uitively understand the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roject schedule, because the PPM does not provide the function of managing and forecasting project schedule.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new schedule managing and forecasting function for the PPM using earned schedule management concept. We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functions through several defense projects and prove that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schedule management function of the PPM.

비용/공정/위험 통합 관점에서 메가 프로젝트 성과측정을 위한 위험성과지수 개발 (A Development of Risk Performance Index for Mega-project Performance Measurement in view of the integrated Cost/Schedule/Risk)

  • 김선규;박규영;유영정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69-77
    • /
    • 2009
  • 최근 도심재생사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기존 도시의 노후화된 건물과 저급화된 기반시설로 인해 파생되는 사회적 경제적 문제들을 새로운 도시개발 즉 재개발사업을 통해 해결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도심재생사업은 사업에 관계되는 다양하고 복잡한 이해관계자들과 규모의 방대함으로 수많은 위험에 노출되어 있어 사업의 성과를 보장할 수 없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심재생사업과 같은 메가 프로젝트의 성과관리를 함에 있어, 기존의 비용/공정 중심의 성과측정체계를 위험관리 관점으로 확장시킴으로서 메가 프로젝트에 대한 종합 성과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위험성과지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험성과지수 방법론은 기존의 EVMS와 유사한 체계를 갖추고 있고, 위험성과지수를 구성하는 18종류의 세부지수와 변수를 통해 비용/공정/위험의 3차원적 통합 성과관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수요탄력적 버스배차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Bus Demand-Elastic Schedule Management)

  • 이호상;장현호;김영찬;황경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13
    • /
    • 2009
  • 최근 각 지자체별로 ITS에서 방대한 양의 APTS(BMS, 교통카드 등)자료가 수집되고 있으나 버스배차관리에 활용되는 지표는 도착정시성과 차두간격균등성에 국한되어 있다. 수집되는 자료를 버스운행관리에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객 수요를 고려한 운수회사의 배차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요탄력적 배차관리지표(DEI, Demand Elastic Index)를 개발하였다. 합리적인 개발지표의 적용을 위한 이상치를 유발시키는 자료에 대한 보정방안을 강구하여 적용하였으며, 노선별 제약조건(운행대수, 배차간격 등)을 고려하여 지표의 형평성을 제고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를 서울시 전체노선(356개)에 적용하고, 노선특성(일평균배차간격, 일일수집금, 일평균운행시간, 운행대수)에 따른 적용성(형평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개발지표는 ATPS자료가 수집되는 노선의 배차계획 및 관리 수준의 평가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배차관리에 활용성이 클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설공사 안전관리 및 시공 업무의 중요도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and Execution Tasks for Performance Improvement)

  • 강상훈;김대영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30-131
    • /
    • 2018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the construction work of apartment buildings. The construction work operation was divided into five major tasks, which include: Schedule Control (P'1 - P5) Construction Management (C'1 - C'5), Environmental Management (E'1 - E'3), and Quality Management. Finally, this study derived major construction execution tasks through correlation between construction work and the original index and t-test.

  • PDF

액티비티 기반의 EVM - PMIS 통합모델 구축 (The Establishment of an Activity-Based EVM - PMIS Integration Model)

  • 나광태;강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9-212
    • /
    • 2010
  • 국내 건설산업에 있어서 기술과 정보의 기반구조를 확립하기 위하여 몇몇 건설정보관련 법규가 제도화되었다. 그러나 국내 건설정보 분류체계, 공정 공사비 통합관리(EVM), 프로젝트관리 정보시스템(PMIS)은 주요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현행 PMIS의 기능은 시공자 위주의 시스템으로 되어 있고, EVM이 적용되지 않아 발주자를 위한 보고, 분석, 예측기능이 매우 취약하다. 더욱이 EVM과 PMIS가 서로 분리된 체계로 운영되고 있어 발주자가 실시간으로 공정 및 공사비 정보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PMIS가 EVM기능을 제공하고 사업참여자들이 제반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WBS 구축방안과 EVM - PMIS 통합모델을 제안하여, E-비즈니스 업무환경하에서 PMIS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틀(framework)을 제공하는 것이다. EVM - PMIS 통합의 핵심은 EVM과 PMIS가 액티비티 기반의 동일한 운영체계를 갖는 것이다. 통합의 원리는 액티비티의 정보항목(field)을 PMIS의 공정 및 공사비관리 기능을 위한 하위모듈을 구성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테이블(table)의 항목과 연계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액티비티의 계획공사비(PA), 달성공사비(EV), 실투입비(AC), 공정편차(SV), 공정수행지수(SPI), 공사비편차(CV), 공사비지출지수(CPI)는 PMIS의 공정 및 공사비 하위모듈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의 항목으로 연계된다.

TACT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 및 적용 사례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ACT Management System)

  • 서상욱;김재호;김선국;김창덕;이현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4권4호
    • /
    • pp.145-154
    • /
    • 2003
  • 건설산업의 환경변화와 정보기술의 발달에 따라 건설사업 효율성 향상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관리시스템의 필수요건이 되는 성과측정 도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한편, 공정관리의 경우, 공사수행 결과로 나타나는 시간, 비용, 진도 율 등의 실적위주로 관리되고 있으며, 진행단계에서의 전체 작업간의 연속적 흐름에 대한 관리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공사의 계획단계에서부터 진행단계, 최종 평가에 이르는 프로세스의 시스템화를 시도하였고, 특히 택트 공정관리의 시스템화를 통하여 공사수행 과정 중의 마감공사 수행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