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ex for Bus Demand-Elastic Schedule Management

수요탄력적 버스배차관리를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 Published : 2009.04.30

Abstract

Although enormous data have been collected in major cities (Korea) by APTS(Advanced Public Transit Systems), most of studies related to bus schedule management evaluation have confined to headway adherence and on-time performance. Therefore, bus operation management have been very lack of using APTS data. This study uses coefficient of correlation to evaluate bus company's schedule management level. However, direct application of coefficient of correlation has inequitable problem because of many limitation(number of vehicle, headway, etc). and so variable calibration method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cope with these problems. Thus, demand-elastic management evaluation index was developed. For verifying the equity of developed index, it is applied to Seoul bus routes. It is expected for the developed index to contribute into the demand-elastic management of bus schedule.

최근 각 지자체별로 ITS에서 방대한 양의 APTS(BMS, 교통카드 등)자료가 수집되고 있으나 버스배차관리에 활용되는 지표는 도착정시성과 차두간격균등성에 국한되어 있다. 수집되는 자료를 버스운행관리에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용객 수요를 고려한 운수회사의 배차관리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수요탄력적 배차관리지표(DEI, Demand Elastic Index)를 개발하였다. 합리적인 개발지표의 적용을 위한 이상치를 유발시키는 자료에 대한 보정방안을 강구하여 적용하였으며, 노선별 제약조건(운행대수, 배차간격 등)을 고려하여 지표의 형평성을 제고하였다. 개발된 평가지표를 서울시 전체노선(356개)에 적용하고, 노선특성(일평균배차간격, 일일수집금, 일평균운행시간, 운행대수)에 따른 적용성(형평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개발지표는 ATPS자료가 수집되는 노선의 배차계획 및 관리 수준의 평가가 가능하여, 효율적인 배차관리에 활용성이 클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이호상, "APTS 자료기반의 서울시 버스신뢰성 관리정책과 평가," 한국ITS학회논문지, 제7권, 제2호, pp. 1-12, 2008. 4.
  2. 김성인, "운행관리점을 이용한 버스운행관리," 대한교통학회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57-464, 1998. 10.
  3. 이상용, 박경아, "시내버스노선체계 평가를 위한 정량적지표의 설정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1권, 제4호, pp. 29-44, 2003. 8.
  4. 윤혁렬, 서울시 버스체계개편에 따른 모니터링 연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4. 12.
  5. 고승영, "버스운행 신뢰성평가를 위한 정시성지표의 개발 및 적용,"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호, pp. 131-140, 2005. 4.
  6. 고승영, "버스운행정시성의 서비스수준 기준 산정,"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2호, pp. 151-160, 2005. 4.
  7. 양지영, "시공도를 이용한 버스운행 정시성지표 개발," 대한교통학회지, 제23권, 제8호, pp. 129-138, 2005. 12.
  8. H. P. Benn, TCRP synthesis of Transit Practice10 : Bus Route Evaluation Standard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1995.
  9. National Academy Press,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Jan. 1999.
  10. National Academy Press, TCRP Report100, Transit Capacity and Quality of Service Manual-2nd Edition,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2003.
  11. R. L. Bertini, Generating Transit Performance Measures with Archived Data,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841, pp. 109-119, 2003.
  12. A. E. Geneidy et al, Using Archived ITS Data to Improve Transit Performance and Management, Minnesot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Oct.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