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anning height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5초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with Collagen Matrix on Increasing Gingival Thickness: A Pilot Preclinical Investigation

  • Hyun-Chang Lim;Yeek Herr;Jong-Hyuk Chung;Seung-Yun Shin;Seung-Il Shin;Ji-Youn Ho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6권2호
    • /
    • pp.172-181
    • /
    • 202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pidermal growth factor (EGF) with collagen matrix (CM) for increasing gingival thickness. Materials and Methods: In five mongrel dogs, bilateral gingival defects were surgically made on the maxillary canines. After two months, either a subepithelial connective tissue graft (group SCTG) or CM with EGF (0.1 ug/ml, group EGF) was grafted, and the flap was coronally positioned to cover the graft materials. The animals were sacrificed after three months. Intraoral scanning was performed for soft tissue analysis.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 Two animals exhibited wound dehiscence during the healing phase, leaving three for analys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oft tissue changes (P>0.05). The level of gingival margin (GM) increased in both groups (1.02±0.74 mm in group SCTG vs. 1.24±0.83 mm in group EGF). Linear increases at the GM pre-augmentation in the soft tissue profile were 1.08±0.58 mm in group SCTG and 0.96±0.73 mm in group EGF. Histomorphometric parameters (keratinized tissue height, tissue thickness, and rete peg density)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P>0.05). Conclusion: EGF loaded onto CM led to comparable gingival phenotype enhancement to SCTG.

영동지역 겨울철 스캔라이다로 관측된 강수 이전 운저 인근 수상체의 광학 특성 분석 (Analysis of Optical Characteristic Near the Cloud Base of Before Precipitation Over the Yeongdong Region in Winter)

  • 남형구;김유준;김선정;이진화;김건태;안보영;심재관;전계학;최병철;김병곤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4권2_1호
    • /
    • pp.237-248
    • /
    • 2018
  • 본 연구에서 영동지역 강수 전(2016년 12월 13일) 운저 고도인근 수상체 분포를 스캐닝 라이다와 레윈존데 자료 및 구름분해모델(Cloud Resolving Storm Simulator; CReSS)의 모의 결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강수 전운저 인근에서 관측된 라이다의 연직 후방산란 신호와 평광비 프로파일은 유사한 특징을 보였다. 이를 모델의 재현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찬 구름 내부(< $0^{\circ}C$)에 존재하는 운빙(ice), 눈(snow)과 운저 인근에 형성된 과냉각 수 적층, 운저 아래에서 낙하하는 부착(rimed)형 눈의 존재를 관측한 결과라 판단된다. 또한, 고도에 따른 광학속성 프로파일의 변화 형태에 따라 연직으로 구간을 세분화하여 연직 수상체의 형상과 밀도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맞춤형 지르코니아 블락 제작을 위한 삭제된 치아의 평균 크기 분석 (The dimension analysis of prepared natural teeth for developing customized zirconia block)

  • 김민혁;김성훈;여인성;윤형인;이재현;한중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81-388
    • /
    • 2017
  • 목적: 지르코니아는 소결 과정에서 3차원적으로 수축이 일어나기 때문에, 원하지 않는 체적 변화에 따른 오차가 존재하여 완전 소결된 지르코니아를 밀링하여, 오차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재료의 단단함으로 인해 밀링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밀링기구에 손상이 생길 수 있고, 기공 과정 중 칩 생성이 있을 수 있다. 삭제된 치아의 평균값을 구하여 제작된 맞춤 지르코니아 블락은 이러한 단점을 극복 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삭제된 치아들을 모델화하여 스캔 후 얻어진 STL file을 이용하여, 치아 크기를 분석하였다. Mimics 및 포토샵을 사용하여 각각의 치아의 횡단면, 전두면, 시상면, 세 면을 기준면으로 정하여, 각각의 면에 3D volume을 투영 후 외곽의 크기는 외곽 접선을 통해, 내곽의 크기는 내부 홀의 상단 부 변곡점에 접선을 구하여 각각 치아의 크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측정에서 보여준 삭제된 전치군(N = 57) 치아의 평균 치관 길이는 $6.60{\pm}1.05mm$, 근원심 $2.98{\pm}0.73mm$, 협설 $2.04{\pm}0.73mm$이고, 소구치군(N = 15) 치아의 평균 치관 길이는 $5.37{\pm}1.49mm$, 근원심 $4.10{\pm}1.78mm$, 협설 $5.86{\pm}1.55mm$, 대구치군(N = 13) 치아의 평균 치관길이는 $5.11{\pm}1.29mm$, 근원심 $6.80{\pm}1.18mm$, 협설 $7.34{\pm}1.40mm$이다. 결론: 한국인의 전치부, 소구치부, 대구치부 치아의 삭제량과 치아 크기 값의 평균값을 구함으로써 그 값을 이용하여 맞춤형 지르코니아 블락을 만들 수 있다.

스컬용융법에 의한 CaZrO3 : Eu3+ 형광체 합성 (Synthesis of CaZrO3 : Eu3+ phosphor by skull melting method)

  • 최현민;김영출;석정원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31-135
    • /
    • 2020
  • 단결정상을 가지는 CaZrO3 : Eu3+ 형광체를 스컬용융법으로 합성하였다. 합성된 형광체의 결정구조, 형태 및 광학적 특성은 XRD, SEM, UV 형광반응 및 PL을 분석하였다. 출발 원료는 CaO : ZrO2 : Eu2O3를 0.962 : 1.013 : 0.025 mol%로 하여 냉각도가니에 충진하였다. 냉각도가니는 내부 직경 120 mm, 높이 150 mm이며, 혼합된 파우더 3 kg은 3.4 MHz의 출력 주파수로 1시간 이내에 완전히 용융되어 2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자연냉각 시켰다. XRD 측정에서는 다른 결정상은 측정되지 않았으며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정방정계로 분석되었다. 합성된 형광체는 UV 광에 의해 여기 될 수 있고 방출 스펙트럼 결과는 615 nm에서 자기 쌍극자 전이 5D07F2로 인해 CaZrO3 : Eu3+의 밝은 적색 발광이 우세하였다.

비트 가루 첨가량에 따른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containing Beet Powder)

  • 서은옥;고승혜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27-37
    • /
    • 2014
  •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동결 건조시킨 비트가루를 첨가한 실험군 3%, 6%, 9%를 첨가한 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인 부피, 높이, 외관, 단면, 색도 및 수분 함량을 측정하고, 주사전자현미경(SEM)측정, Texture와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비트머핀을 제조하여 품질특성을 평가하였다. 머핀의 일반성분 측정 결과 수분함량은 비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단백질에서는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1). 지질에서는 9%첨가군에서 1.59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났다. 회분에서는 3%, 9%첨가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지 않았다. 머핀의 높이는 4.7~5 cm정도로 나타났으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트 머핀의 부피는 대조군이 $145cm^3$으로 나타났으며,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주사전자현미경(SEM) 측정한 결과는 비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글루텐 함량이 적어지므로 거친 기공을 나타났다. 색도 측정결과 비트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 b값은 감소하고 a값은 증가하였다. 비트 머핀 texture 결과 경도(hardness)는 비트 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착성(adhesiveness)에서는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낮게 나타났으며,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응집성(cohesiveness)에서는 9%에서 0.3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p<0.001). 검성(gumminess)에서는 3%, 6%에서 높게 나타났다. 씹힘성(chewiness)은 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측정결과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acceptance)에서 6% > 9% > 3% > 0%순으로 나타났으며, 위의 결과로 비트 6%첨가 제조 시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천연색소인 베타라인계 색소를 가진 비트를 이용한 다양한 제빵제품개발도 기대해볼 수 있을 거라고 사료된다.

체표면분할법에 의한 성인 남성용 피티드 토르소형 원형 설계 (Development of Male Fitted Torso Type Basic Patterns According to the Body Surface Segment Method)

  • 서추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109-1120
    • /
    • 2009
  • This study develops a fitted torso type basic pattern for men by utilizing 3D body scan data. Recent fashion trends a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The subjects were 15 men in their 20's, who wear size 95 (M size). Body scan data was obtained through a 3D whole body scanner (WB4, Cyberware, USA), and a body surface development figure for developing male fitted torso type basic pattern was attained through the use of Rapid Form 2006 as well as Auto CAD 2006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 body surface development figure through body surface segment method showed high exactitude in an error range of 100$\pm$1%. In addition, it occurred in an error range of 100:1:3% because of the hard scanning conditions in the incline of the shoulder and armpit areas. However, the body surface development figure as well as the direct measurement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given patternmaking since the error range falls into 100$\pm$3%. Dart amounts obtained from the average cross section were center back 2.2cm (24.3%), back armpit point 3.8cm (41.8%), front armpit point 3.0cm (33.9%). As shown the jacket pattern, the biggest dart amount was portioned out at the back armpit point. The drafting equations for the development pattern acquired are as follows; Full width=C/2+5cm, back length=height/4-1cm, armhole depth=(C/10+12cm)+3cm, back width=2C/10+2cm, front width=2C/10. The development pattern was a fitted torso basic pattern that was composed of 3 pieces, so it would be very useful in developing shirt or jacket pattern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of the developed pattern appearance, it obtained higher scores of over 3.5 points in almost items, meaning that the developed pattern is appropriate for a male fitted torso type basic pattern. It suggests a possibility of patternmaking from a body surface development figure in 2-D to prototype.

MPCVD를 이용하여 밀리미터 길이로 수직 정렬된 탄소나노튜브의 합성 (Millimeter-Scale Aligned Carbon Nanotubes Synthesized by Oxygen-Assisted Microwave Plasma CVD)

  • 김유석;송우석;이승엽;최원철;박종윤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9-23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철(Fe)을 촉매금속으로 사용하고 마이크로웨이브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microwave plasma CVD)을 이용하여 얇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합성하였다. 촉매금속으로 사용된 철은 직류 마그네트론 스퍼터를 사용하여 증착하였으며, 탄소나노튜브의 합성에는 플라즈마 공급원인 수소($H_2$), 탄소 공급원인 메탄($CH_4$)과 함께 미량의 산소($O_2$) 또는 아르곤(Ar)과 함께 물을 수증기의 형태로 사용하였다. 산소 또는 수증기의 추가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성장률의 변화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조사하였으며, 결정구조를 투과전자 현미경을 통해 관찰하였다. 또한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추가 주입 기체의 종류에 따른 탄소나노튜브의 결정성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산소를 추가로 주입하였을 때 성장률이 가장 컸고 결정성도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150 분 동안 합성하여 기판 위에 2.7 mm 이상의 수직 정렬된 얇은 다중벽 탄소나노튜브(thin-multiwalled CNTs)를 합성할 수 있었다.

Effect of seeding using an avidin-biotin binding system on the attachment of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to nanohydroxyapatite scaffolds: three-dimensional culture

  • Jang, Yong-Ju;Jung, Im-Hee;Park, Jung-Chul;Jung, Ui-Won;Kim, Chang-Sung;Lee, Yong-Keun;Kim, Chong-Kwan;Choi, Seong-H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41권2호
    • /
    • pp.73-78
    • /
    • 2011
  • Purpose: For periodontal tissue engineering, it is a primary requisite and a challenge to select the optimum types of cells, properties of scaffold, and growth factor combination to reconstruct a specific tissue in its natural form and with the appropriate function. Owing to fundamental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using a two-dimensional substrate, several methods of seeding cells into three-dimensional scaffolds have been reported and the authors have asserted its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cell attachment of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on nanohydroxyapatite (n-HA) scaffold using avidin biotin binding system (ABBS). Methods: Human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ere isolated from the health tooth extracted for the purpose of orthodontic procedure. HA nanoparticles were prepared and $Ca(NO_3)_2-_4H_2O$ and $(OC_2H_5)_3P$ were selected as precursors of HA sol. The final scaffold was 8 mm in diameter and 3 mm in height disk with porosity value of 81.55%. $1{\times}10^5$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ere applied to each scaffold. The cells were seeded into scaffolds by static, agitating and ABBS seeding method. Results: The number of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attached was greater for ABBS seeding method than for static or agitating method (P<0.05). No meaningful difference has been observed among seeding methods with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images. However, increased strength of cell attachment of ABBS could be deduced from the high affinity between avidin and biotin ($Kd=10^{-15}\;M$). Conclusions: The high-affinity ABBS enhances the ability of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to attach to three-dimensionally constructed n-HA scaffold.

스테인리스강을 사용한 분말 적층 용융 방식의 금속 3차원 프린터에서 제작된 물체의 최소 선폭 측정 (Measurement of minimum line width of an object fabricated by metal 3D printer using powder bed fusion type with stainless steal powder)

  • 손봉국;정연홍;조재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346-351
    • /
    • 2018
  • 금속 3D 프린팅 기술은 레이저 빔의 초점에 금속분말을 주입하는 방식에 따라 대표적으로 PBF(Powder Bed Fusion)방식과 DED(Direct Energy Deposition)방식으로 나뉜다. DED 방식은 금속 분말 도포와 동시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금속 3D 프린팅 기술이고, PBF 방식은 일정 높이로 3차원 그래픽을 슬라이싱 한 후 한 층씩 금속 분말을 적층하여 레이저를 이용해 3차원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식이다. DED 방식을 사용하면 레이저 클래딩, 금속 용접 등에는 강점을 가지지만 3D 형상을 제작할 경우 밀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DED 방식에서의 구조체 밀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PBF 방식을 도입하면 상대적으로 밀도가 높은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데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갈바노 스캐너와 광섬유로 전송되는 Nd:YAG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약 $30{\mu}m$ 크기의 스테인리스 강 분말을 이용하는 PBF 방식의 3차원 프린터를 제작하고, 이를 이용하여 얇은 금속 구조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레이저의 조사 횟수, 출력, 초점 크기, 스캐닝 속도에 따른 선폭의 최적조건을 찾았으며, 그 결과 최적 조건은 레이저 조사 횟수 2회, 출력 30 W, 초점 크기 $28.7{\mu}m$, 스캐닝 속도 200 mm/s에서 최소 선폭은 약 $85.3{\mu}m$로 측정되었다.

원주 법천사지 토제 치미의 제작기법과 보존처리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the Conservation Treatment of Chimi - (Ridge-end tile) Excavated from the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

  • 이승강;조성연;허일권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18-527
    • /
    • 2019
  • 원주 법천사지(사적 제466호)에서 파편 상태로 출토된 치미의 제작기법을 조사하고 보존처리(복원)를 진행하였다. 치미의 제작기법 조사 결과는 동체부 제작, 날개부와 깃 부착, 장식부 제작, 상·하단 사절흔, 상·하단 연결을 위한 투공, 조형적 특징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보존처리는 예비조사, 이물질 제거, 강화처리, 접합 및 복원, 색맞춤 순서로 진행하였다. 특히 접합 후 결손 부위의 원형 복원을 위해 3차원스캐닝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치, 크기, 각도 등을 추정하였다. 복원한 치미는 높이 118 cm, 무게 121 kg에 이르는 대형 치미로서 이는 국내 완형(복원) 토제 치미 중 5번째로 큰 크기이다. 또한 깃이 뾰족한 형태의 치미는 현재까지의 국내에 알려진 유사 사례가 없어 희귀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