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ururus chinensis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9초

삼백초 에탄올 추출물의 위출혈성 스트레스 위염 억제 효과 (Inhibitory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Saururus chinensis L. against Stress-Induced Hemorrhagic Gastritis)

  • 박소영;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800-808
    • /
    • 2015
  • 천연 생리활성 물질 탐색 연구의 일환으로 삼백초로부터 위염 억제 물질을 추출하여 효능을 검정하였다. 삼백초 추출물 0.25~2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결과 1.5 g/kg B.W. 미만 투여량의 급성독성 실험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으며 $LD_{50}$은 1.81 g/kg B.W.였다. 삼백초 추출물 0.5 g/kg B.W.를 마우스에 경구 투여한 만성독성 실험에서는 13주간의 투여기간 동안 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염을 유발시키기 전에 삼백초 추출물을 250 및 500 mg/kg B.W. 농도로 미리 섭취시킨 결과 위출혈 및 위부종과 세포손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사이토카인의 발현도 억제되었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은 스트레스성 위염에 의한 출혈 및 세포손상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그 mechanism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억제에 의한 것이라 생각되었다.

삼백초, 뽕나무 줄기, 닥나무 줄기 등을 함유한 복합수목추출물의 화장품소재 특성 (Cosmetic Effect of Mixed Plant Extracts Including Saururus Chinensis, Morus Bombycis Stem and Morus Papyrifera Stem)

  • 정향리;김현우;김지혜;김진홍;김동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0권4호
    • /
    • pp.610-6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추출물 25%, 뽕나무 줄기추출물 20%, 닥나무 줄기추출물 20% 등을 함유한 복합수목추출물의 화장품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소재 시험으로는 세포독성시험, 엘라스타제 억제효과시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시험, 항산화효과시험 및 온도 안정성시험이 실시되었다. 복합수목추출물은 세포독성이 낮았으며, 우수한 엘라스타제 억제효과와 항산화효과를 보여주었으나 티로시나제 억제효과는 다소 낮았다. 추출물을 함유한 스킨, 로션 및 에센스 제형을 제조하여 온도 안정성시험 결과 스킨과 에센스 제형은 우수한 안정성을 보여주었으나 로션은 상분리가 관찰되고, 점도의 변화가 심하여 제형의 변경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삼백초 추출물, 뽕나무 추출물 및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복합수목추출물은 화장품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삼백초의 기계수확 효율비교 (Comparison of Rhizome Harvesting Methods Saururus chinensis)

  • 남상영;김익제;김인재;김민자;이철희;김태수;손석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157-160
    • /
    • 2002
  • 삼백초의 근경 수확방법을 인력수확에서 생력기계화 수확기술로 개선코자 트랙터부착 굴취기 등 4종의 수확기기의 기계수확 효율을 비교, 검토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총생력시간은 인력에 비하여 경운기 경운 60%, 경운기부착 굴취기 64%, 트랙터부착 굴취기 67%절감되었다. 2. 근경의 손실율은 인력수확 13.9%, 경운기 경운 11.7%, 경운기부착 굴취기 9.8%, 트랙터부착 굴취기 5.1%로 기계수확에서 낮았다. 3. 상품 근경수량은 인력수확 3,032 kg/10a에 비하여 경운기 경운은 248 kg 감소하였으나, 경운기부착 굴취기와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56kg, 320kg각각 증가되었으며, 총 근경수량은 인력수확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3-10%증가되었는데,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10%의 증가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4. 경제성은 인력수확에 비하여 기계수확에서 13-27%높았으며, 트랙터 부착 굴취기는 27%로 가장 높았다. 5. 트랙터부착 굴취기는 생력효율, 상품수량, 총 근경수량 그리고 경제성에서 가장 높거나, 많은 것으로 나타나 적용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흰쥐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홍삼, 삼백초, 복분자 추출물의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extracts from Korean Red ginseng, Saururus chinensis(Lour.) Baill. and Rubus coreanus Miq. on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 최면;신건재;최근표;도재호;김종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48-154
    • /
    • 2003
  • 홍삼(panax ginseng C.A. Meyer) 추출물 단독의 항산화 활성과 홍삼추출물에 삼백초(Saururus chinensis(Lour.) Baill.)와 복분자(Rubus coreanus Miq.) 추출물을 농도별로 보충 급여 하였을 때 나타나는 상승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rague Dawley rat에 이들 추출물을 8주간 섭취시킨 후 희생시켜 간장 cytosol중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 GST 등의 항상화 효소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홍삼급여군의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glutathione peroxidase의 효소활성이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높았다. 특히 홍삼 단독보다는 삼백초와 복분자를 보충급여시 상승효과가 높았으며 급여기간이 길수록 그 효과가 높았다.

삼백초 추출액을 이용한 염색포의 염색성과 항생제 내성균에 대한 항균성 연구 (A study on dyeing of dyed fabrics and its antimicrobial activity on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using Saururus chinensis extract)

  • 최나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3-11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bacterial efficacy of cotton and silk/rayon fabrics dyed with Saururus chinensis extract against antibiotic-resistant strains. The concentration of the concentrated dye in the Saururus chinensis extracts was 1.1% (o.w.f), and the liquor ratio was 1:10 at 30-70℃. The mordanting method was a post mordanting method. The concentration of Al2(SO4)3, CuSO4 5H2O and FeSO4 and7H2O mordant was 5% (o.w.f), and the liquor ratio was 1:40. In order to assess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ly dyed fabrics,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ATCC 33591, was used by incubating it in Brain Heart Infusion Agar (BHA) including Oxacillin (2㎍/ml) and Fungizone (2.5㎍/ml) and Brain Heart Infusion broth (BHI; Detroit, MI, USA.) The investigation of the reduction of the rate of antibiotic-resistant strains to dyed cotton fabrics and silk/rayon fabrics revealed that Cu mordanting fabric has the highest antimicrobial effects, with the rate of 99.7%, and Fe mordanting fabric has the lowest, with 77.7%. Non-mordant cotton fabrics also show a high reduction rate of strains (94.6%). In the case of dyed silk/rayon fabrics, it indicates a high reduction in the rate of strains in all fabrics with non-mordant treatment (94.2%), Al mordanting (99.6%), and Cu and Fe mordanting(99.9%).

삼백초의 종근 저장온도, 용토 및 처리물질에 따른 생육특성 (Growth Effect by Storage Temperature, Soil Type and Treatment Chemical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 최재후;성은수;유창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58-463
    • /
    • 2016
  • Background: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orage conditions on the growth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rootstock. Methods and Results: Rootstocks of S. chinensis were stored in either soil or vermiculite that had been treated with a control treatment, diluted wood vinegar (50 or 100-fold), DF-100 (50-fold), or 1-naphthylacetamide and at $5^{\circ}C$ or $15^{\circ}C$. After 8 weeks, the stored roots were planted in the field, and both plant height and leaf number were observed after transplantation. The greatest number of leaves ($5.60{\pm}0.80$) was produced by root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irc}C$. Meanwhile the maximum plant height ($6.92{\pm}0.78cm$) at 30 d after transplanting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 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15^{\circ}C$, whereas the maximum plant height at 60 d after transplanting ($26.46{\pm}0.71cm$) was observed for rootstocks that had been stored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5^{\circ}C$. Therefore, the storage of rootstocks in soil treated with the 100-fold dilution of wood vinegar and at temperatures at or below $5^{\circ}C$ was most effective, and it can be used to prevent the decay of roots during the postharvest management of S. chinensis rootstock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among the parameters examined, the storage of roots in soil that had been treated with the 100-foil dilution of wood vinegar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improving the growth of S. chinensis.

삼백초(Saururus chinensis) 추출물의 항산화능 및 생리활성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Saururus chinensis Extract)

  • 강창수;이민주;박철범;방인석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807-814
    • /
    • 2012
  • 약용소재로 사용되고 있는 삼백초의 잎과 줄기로부터 유기 용매의 극성에 따른 순차적 분획물을 얻어 항산화 효과와 연관하여 피부의 탄력 및 혈관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삼백초 추출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DPPH에 대한 전자공여능도 증가하였으며, $ED_{50}$은 EtOAc 분획에서 합성 항산화제인 BHT의 27.22 ${\mu}g/ml$보다 12.84 ${\mu}g/ml$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H_2O_2$에 의해 유도된 HDF 세포사멸($IC_{50}$)에 대하여 삼백초 추출 50 ${\mu}/ml$의 EtOAc 분획에서 89.39%의 가장 높은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n-BuOH 분획에서도 67.98%의 유의적인 세포 생존율을 보였다. 한편 삼백초 추출 분획물은 피부 탄력과 관련있는 fibulin-5 mRNA의 발현율을 감소시켰으며, 항산화 활성이 높은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에 대한 CAM assay 결과, 혈관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삼백초 추출 EtOAc 분획은 향후 항산화 활성 및 해독과 관련된 혈관형성 억제의 약재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암시하는 것으로 이의 작용기작에 대한 더욱 자세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Mouse 모델 알레르기 반응에서 삼백초(三白草)가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Extracts on Allergy in Mouse Models)

  • 석민희;강경화;최영현;최병태;이용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46-151
    • /
    • 2005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SCB) on allergy in mice. We conformed compound 48/80-induce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active systemic anaphylatic shock and histamine release. Also observed acetic acid-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and anti-dinitrophenyl (DNP)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SCB inhibited mesenteric mast cell degranulation and active systemic anaphylatic shock induced by compound 48/80 dose-dependently. When SCB was pretreat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the plasma histamine levels were reduced. SCB also significantly inhibited acetic acid-induced vascular permeability and anti-DNP IgE-mediated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addition, SCB reduced IL-10 mRNA expression of the lung on ovalbumin-induced allerg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B inhibits allergy.

삼백초 생육년수 및 부위에 따른 유효성분 함량 (Contents of Quercetin Glycoside and Lignans According to the Cultivated Years and Plant Parts in Saururus chinensis Baill)

  • 김민자;남상영;윤태;김홍식;홍성수;황방연;김인재
    • 생약학회지
    • /
    • 제37권1호통권144호
    • /
    • pp.42-47
    • /
    • 2006
  • The contents of quercetin glyciside in Saururus chinensis Baill was higher in the 2nd year, 1st year and 3rd year in leaves, and in the 1st year, 3rd year and 2nd year in stems in that orders. Content of lignans in the rhizo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ultivated years. The total phenolics, quercetin glycoside and EDA of plant parts were higher in order of flower, leaf and chopping sample. The total phenolics and EDA of stem were much lower than parts and quercetin glycoside was not de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