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sang industrial area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5초

사상공단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분석 (Analysis of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in the Area Adjacent to Sasang Industrial Complex in Pusan Metropolitan City)

  • 박승범;김석규;남정칠;김승환;강영조;이기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75-86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nge of soil characteristics effect on the condition of urban forest in Sasang parti located near Sasang Industrial Complex.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oil hardness is increasing from the area of forest, to the entrance, to facilities in that order. Soil acidity pH4.19∼4.23 in Sasang park indicated a high acidity condition. High levers of K, Na, Mg, Ca are shown in the areas composed of high soil hardness. 2. Pinus thunbergii in the overstory tree layer, Alnus japonica in the understory tree layer, and Rhus sylvestris in the shurb layer are shown respectively as dominant species based on the ground survey and the compution of important value. Pinus thunbergii is decreasing, while Alnus japonica and increasing. 3. Oplismenus undulatifolius which has a strong tolerance for air pollution, is shown as a dominant species of herbaceous plants in Sasang park. There are 10 species of Harbaceous in Sasang park compared to 20 species in Molundae park. This shows that deversity in herbaceous plants are imported by air pollution. 4. Species diversity indices of Sasang park is 0.8738∼0.9700 compared to 1.0817∼ 1.233 in Molundae park is due to the good condition of soil environment in addition to air pollution effects. 5. The vitality of Pinus thunbergii is 16.41∼20.42ER in Sasang park, and 12.42∼ 16.81ER, in Molundae park. This shows that tree vitality are impacted by soil characteristics.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ree vitality and soil environment shows the effects of is soil hardness, soil moisture, soil acidity, K, Na, Mg, Ca.

부산의 지역별 대기오염과 소음정도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Air Pollution and Noise in Pusan Area)

  • 조규일;문덕환;이종태;신해림;김용완;박형종;배기택;이채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3권4호
    • /
    • pp.391-403
    • /
    • 1990
  • In order to assess the degree of atmospheric pollution and noise and to contribute the health improvement of residents in Pusan, the author measured the levels of CO, $SO_2,\;NO_2$, TSP, HCHO and noise in 8 areas (industrial, residential and park areas) from January to March in 199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Sasang industri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2.85{\pm}0.84ppm$)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CO than other areas. However, there no areas to affect the human body in terms of CO concentration. 2. In general, industri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0.134{\pm}0.084ppm$)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SO_2$ than other areas, and it was the lowest ($0.009{\pm}0.005ppm$) in the Namchon-dong area. 3. Industrial ($0.033{\pm}0.009ppm$) and residential area ($0.029{\pm}0.004ppm$)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O_2$ than Park area ($0.009{\pm}0.001ppm$). However, there were no areas to affect the human body in terms of $NO_2$ concentration. 4. Sasang industrial area was the highest ($580.4{\pm}415.26{\mu}g/m^3$) at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TSP and Hae-Un Dae area was the lowest ($97.22{\pm}37.86{\mu}g/m^3$). But TSP concentration showed the level to affect the human body in most areas. 5. Industri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2.25{\pm}1.15ppb$) i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CHO than residential ($1.13{\pm}0.25ppb$) and park area ($1.33{\pm}0.20ppb$). 6. Industrial area was significantly higher ($77.28{\pm}6.92dB(A)$) in the level of noise than residential ($65.77{\pm}3.76dB(A)$) and park area ($64.65{\pm}5.25dB(A)$). In comparison with regional Standard Noise Level, howeverm the average noise level of residential and park area was higher than that of the Standard. In general, the level of pollution of industrial complex area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of residential and park areas. Among the industrial areas, sasang area was worst in most items. Both $SO_2$ and TSP showed the level to affect the human body in most of studied areas. It is necessary to install a new Air Quality Standard for HCHO to screen our environmental pollution.

  • PDF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에 대한 입주기업 요구사항 분석: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Corporate Demands Analyses of Pilot Projects for the Industrial Area Revitalization: Focused on Busan Sasang Industrial Area)

  • 이만형;안윤상;전병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6호
    • /
    • pp.127-139
    • /
    • 2021
  • 이 연구는 부산광역시 사상공업지역에 입주한 기업의 지식산업혁신거점 조성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여 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관련 제도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부산 사상공업지역의 물리적 현황분석과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업물류를 다루는 공업지역임에도 도로율이 낮고, 필지 규모가 작아 대부분의 입주기업이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다. 둘째, 공업지역 활성화 시범사업의 인지도는 낮지만 공업지역 혁신과 시범사업 필요도, 기대효과는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시범사업의 혁신거점조성에 대한 기대가 높으며(90.3%), 핵심적 도입기능으로는 연구개발센터 입주를 강하게 희망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에 기초하여, 공업지역 활성화를 위한 법·제도의 시행에 따른 정비계획의 방향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지 내 업종 간 연계성, 어떤 업종이 성장우위에 있는지 세부적인 기초조사를 통한 검토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산업혁신거점 조성은 주변 공업지역에 파급력이 있고 업종별 지원을 할 수 있는 센터로 운영될 수 있도록 조처해야 한다. 셋째, 공업지역의 혁신적인 변화는 주요 이해당사자가 협력하여 활성화 방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연구함으로써 실행력을 높여야 한다.

사상체질에 따른 매운 음식이 얼굴 색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icy Food on Face Image Color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

  • 가민경;김미혜;김봉현;김희대;조동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71-2677
    • /
    • 2014
  • 현대인들은 매운 음식을 선호하며 매운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매운맛을 찾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매운 음식을 먹었을 경우,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얼굴색이 빨갛게 변하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매운 음식을 섭취했을 경우, 사상체질에 따라 얼굴 영역별 색상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체질감별 설문 검사지를 통해 사상체질별로 피실험자 집단을 구성하고 대표적인 매운 음식인 청양고추 1개씩 섭취하기 전과 후의 얼굴 영상을 기반으로 Lab색 체계를 적용한 영상신호분석 실험을 통해 사상체질별 매운 음식과 얼굴 색상과의 상관성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도시지역 노후공업지역 재생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 사상공업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eneration Policies of an Old Industrial Area in Metropolis : A Case of Sasang Industrial Area)

  • 김경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44-155
    • /
    • 2014
  • 과거 성장 중심의 산업화 과정에서 형성된 대규모 산업단지를 비롯한 공업지역이 기반시설 부족과 노후화로 인해 지방도시의 도시경쟁력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최근들어 정부주도의 노후산업단지 재생사업이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지역마다의 산업단지의 형성여건과 물리적 환경이 상이하여 획일화된 재생계획의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민간주도로 조성된 부산 사상공업지역을 사례로 지역의 사회적 여건과 물리적 현황을 바탕으로 지역특성을 진단하고 재생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사례지역은 사회적 측면에서 시역확장에 따른 입지적 도시기능 변화와 김해, 양산 등 주변도시의 급격한 성장에 따른 기업유출로 공업기능의 잠식, 물리적 여건측면에서는 기반시설 미흡 및 개발압력 가중으로 요약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수립할 재생정책의 방향으로서 계획수립단계에서는 공공주도의 기반시설 확충에 우선하고 시범적으로 일부지역에 대한 우선정비구역 지정을 통한 전면철거방식 적용이 필요하다. 실행단계에서는 중장기적 관점에서 단계적 사업이 필요하며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재생사업 추진과정에서 기업과의 공감대 형성이 중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부산의 대기오염도 조사 (Survey on Ambient Air Quality in Pusan Areas)

  • 김용완;김준연;이채언;전진호;문덕환;신해림;이종태;이명철;김성천;배기택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19권2호
    • /
    • pp.252-262
    • /
    • 1986
  • 부산의 대기오염도를 파악하여 대기오염 저감 대책수립의 자료로 삼아 시민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하고자 부산의 주 간선도로변 3개지역 (서면, 사상, 대신동)에 대하여 1985년 7월부터 1986년 4월까지 10개월간 계절별 및 일중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및 부유분진의 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일산화탄소의 연중 평균농도는 사상이 $2.19{\pm}0.52(3.5{\sim}1.0)ppm$으로 최고이었고 대신동이 $1.32{\pm}0.55(3.0{\sim}0.5)ppm$으로 최저이었다. 2) 아황산까스의 연중 평균농도는 사상이 $0.092{\pm}0.073(0.378{\sim}0.028)ppm$으로 최고이었고 대신동이 $0.040{\pm}0.014(0.083{\sim}0.019)ppm$으로 최저이었다. 3) 이산화질소의 연중 평균농도는 서면이 $0.069{\pm}0.012(0.090{\sim}0.050)ppm$으로 최고이었고 대신동이 $0.043{\pm}0.010(0.061{\sim}0.032)ppm$으로 최저이었다. 4)부유분진의 연중 평균농도는 사상이 $300{\pm}130(780{\sim}130){\mu}g/m^3$로 최고이었고 대신동이 $160{\pm}80(390{\sim}70){\mu}g/m^3$로 최저이었다. 5) 일산화탄소와 부유분진의 경우 서면과 대신동에서는 하계에 그리고 사상에서는 동계에 최고이었으며, 아황산까스와 이산화질소는 3지역 공히 동계와 춘계에 최고이었다. 6) 각 오염물질의 일중 평균농도는 오전에 비하여 오후 혹은 야간에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부산지역의 대기 중 중금속 농도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of Pusan Area)

  • 송인혁;조규일;문덕환;이창희;강정학;김종갑;한용수;이채언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3호
    • /
    • pp.726-733
    • /
    • 199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present level of atmospheric metals. Five metals - lead, cadmium, chromium, manganese, vanadium - were checked on the industrial(Sasang) and residental area(Daeshindong) in the city of Pusan. Sampling period was the year of 1986, 1990 and 1994, and the sampling time was 2 days of each site. As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atmospheric standard of ASHRAE(1980),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lead was above the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hromium was around the standard,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admium and vanadium was below the standar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manganese was above the standard of industrial environment.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five metals was higher in the industrial area than the residental area.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lead, cadmium and chromium showed the increase tendency by the year,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vanadium showed no change,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manganese showed the decrease tendency.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lead and cadmium(r=0.31), vanadium and manganese(r=0.24), vanadium and chromium(r=0.19) showed significance.

  • PDF

사상공단지역내 거주학생들과 대조군의 폐기능 비교 (Comparative Pulmonary Function Studies in Students Living in Sa Sang Industrial Area & Control Group)

  • 이강희;박순규;신영기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7-23
    • /
    • 1985
  • In order to study the effect of air pollution on the ventilatory function of lung, pulmonary function studies were carried out in middle school students (male) living isn Sasang industrial area more than 10 years, and were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group.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Lung capacities were normal in observed & control group,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2. The respective parameters of ventilatory function test of observed group were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but FVC, $FEV_1$, $FEV_1/FVC$, FEF 25-75%, Vmax 50, MVV of two groups were normal. 3. PEFR, Vmax 25, Vmax 75 of observed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FEF 25-75% (p < 0.01), Vmax 25 (p < 0.05), Vmax 50 (p < 0.01), Vmax 75 (p < 0.05), PEFR (p < 0.05) and MVV (p < 0.02).

  • PDF

GIS DB를 이용한 토지이용 특성 분석 - 부산광역시 건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Land Use Characteristics Using GIS DB - A Case Study of Busan Metropolitan City in Korea -)

  • 천민경;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52-64
    • /
    • 2023
  • 급격한 도시의 발전을 거듭해 갈수록 인구과밀, 공해오염, 도시 위생문제 등이 발생하면서 상충하는 용도 간의 분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토지이용이 계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에는 이견이 없을 것이다. 따라서 토지공간의 제반 활동을 미리 예측하고 계획적으로 세워 토지이용을 합리적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구축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산광역시의 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용도분포특성 현황을 비교 분석하여 부산광역시 구·군의 용도지역별 건축물 면적 현황, 연면적, 용적률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용도지역별 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51%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용도지역별 연면적 중 주거지역의 비율이 63%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토지이용구성비만으로 지역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특화계수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면적의 절댓값을 집계하는 것만으로는 지역 전체의 경향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면적 구성비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용도지역별 특화계수 중 주거시설을 보면 기장군, 사상구, 사하구, 중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나타내고 있다. 상업시설은 기장군, 강서구, 남구, 사상구, 사하구 이외에는 1.0 이상을 공업시설을 보면 강서구(2.5), 기장군(1.22), 사상구(2.06), 사하구(1.64)로 공단분포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외 업무시설과 문교후생시설은 골고루 분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용도지역별 각 표고에 따른 건축물 높이 현황과 용도지역별 건축물 높이 시뮬레이션을 통한 토지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으로 부산시는 80m 이상의 지역이 43%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용도지역의 분포가 지형적인 조건의 영향으로 표고가 높은 지역에 지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업장(事業場) 근로자(勤勞者)의 사상체질(四象體質)과 생활습관(生活習慣)에 따른 스트레스의 평가(評價) (The Study on Stress Evaluation with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for Labors in Workplace)

  • 서병윤;권소희;김삼태;서지연;정해경;김유철;장두섭;왕명자;송용선;이기남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5
    • /
    • 2003
  • This study tried to evaluate the difference of stress degree by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for workplace labors, and suggested the preventive oriental medicine approaches in occupational health area. 479 data for research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oriental health examination with questionnaire in workplace,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crosstab, and Two-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ll subjects, total 479 were men, and constitutional distributions were 39.2% of Taeumin, 32.4% of Soumin, and 28.4% of Soyangin. The distributions of stress score were 13.2% of normal group, 13.4% of high risk group, and 73.5% of potential risk group. 2)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stress by constitution(p=0.085). By the results of optimal scaling and homogeneity analysis, Soyangin was close to potential risk group compared to other constitution, and Soumin and Taeumin were close to high risk and normal group, respectively. 3) For the difference of stress score by Sasang constitution and lifestyle, Soumin who exercised nearly everyday had the highest stress score with interaction in Factor 4 area(p<0.05), and there was no interaction in other area. 4) For the difference of PWI score by lifestyl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drinking(p<0.01), smoking(p<0.01), and obesity index(p<0.01)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