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sung App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5초

안드로이드 앱 캐시 변조 공격의 설계 및 구현 (A Practic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 App Cache Manipulation Attacks)

  • 홍석;김동욱;김형식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205-214
    • /
    • 2019
  • 안드로이드는 앱 캐시 파일을 사용하여 앱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지만, 이런 최적화 기술은 검증 과정의 보안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정보를 유출시키거나 악성 행위를 수행하도록 악용하기 위해 공격 대상앱의 앱 캐시 파일을 변조하는 "안드로이드 앱 캐시 변조 공격"에 대한 실용적인 디자인을 제시한다. 공격 설계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공격 도구를 구현하고 실제 안드로이드 앱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29개 앱 중 25개 앱(86.2 %)이 해당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체크섬 기반의 무결성 검사를 통해 앱 캐시 파일을 보호하고 있으나, 앱 캐시 파일에 저장된 체크섬 값을 변조함으로써 효과적으로 해당 보호 방법을 우회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안드로이드 앱 캐시 변조 공격에 대응하기 위한 2가지 가능한 방어 방법으로 (1) 앱 캐시 파일의 무결성 검사 방법과 (2) 디컴파일 방지 기술을 제안한다.

Co-creation 플랫폼 운영 전략: 삼성 앱스와 애플 앱스토어 비교 (Operational Strategy of Co-creation Platform: Comparative Analysis of Samsung Apps and Apple Appstore)

  • 김나랑;홍순구;김종원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99-10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혁신을 추구하고 있는 기업 중 스마트폰 제조업체이면서 앱스토어를 직접 운영 중에 있는 애플과 삼성전자를 대상으로 IISIn model을 이용하여 플랫폼 전략을 분석 비교하였다. 앱스토어의 선도 기업인 애플은 플랫폼의 질적 강화 및 고객 충성도를 높이고 플랫폼 통제권 강화를 위해 폐쇄전략을, 반면에 후발 주자인 삼성전자는 플랫폼의 네트워크 효과 및 선순환 구조의 정착을 위해 개방형 전략을 실시 중이다. 연구 결과 지속적인 선순환 구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우수한 플랫폼 환경과 더불어 참여자들의 자유로운 진입인 '개방'과 창출된 가치의 '공유'가 보장된 플랫폼 전략을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학문적으로 IISIn model을 통하여 애플과 삼성전자의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최초로 비교 분석한 연구하였다는 기여점이 있고, 실무적 측면에서는 후발기업의 개방형 혁신 플랫폼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troduction to the New Version of PWS Application and It's Use in Medical Practice

  • Kim, Jinsup;Yang, Aram;Cho, Sung Yoon;Jin, Dong-Kyu
    • Journal of mucopolysaccharidosis and rare diseases
    • /
    • 제2권2호
    • /
    • pp.41-42
    • /
    • 2016
  • Today's mobile phones and tablet PCs offer a considerably wider range of functionalities than before. Mobile applications (apps) are increasingly used for managing various daily health tasks. Currently, more than 165,000 health-related apps are offered on all the stores of different platforms. Pf Jin and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on MPS and Rare Diseases (AMARD) have helped Prader-Willi syndrome (PWS) families through medical information and family support since 2015. AMARD developed the first mobile application for Korean patients with PWS, which was released to a limited number of patients under the age of 3 and only provided to Android users. The first version of the PWS application focused on growth hormone therapy and the assessment of growth and development by parents in infant and early-childhood PWS patients. The 2016 version of the PWS application has been improved in many different ways. We have expanded the subjects of the application to late childhood and adolescent groups, changed the user interface accordingly, and made the application available for iOS users. We will show the specialized growth curves of older children with PWS. Therefore, patients with PWS over the age of 3 and their parents can assess the patients' growth. Additionally, we have upgraded the growth hormone therapy menu by improving the input system for the growth hormone therapy injection schedule and the daily growth profile (height and weight). We expect that the new version of the PWS application will help many PWS families cope with growth hormone therapy and evaluate the effects of growth hormones in better ways. Additionally, we are making a constant effort to provide more useful information about patients with PWS in many aspects.

모바일 결제 기술 및 보안 측면에서의 비교분석 : 서베이 (Comparison and Analysis on Mobile Payment in terms of Security : Survey)

  • 김기봉;윤진영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5권3호
    • /
    • pp.15-20
    • /
    • 2015
  • 스마트폰의 급격하나 보급과 사용으로 인해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소비 수요가 발생하였다. 이에 발맞추어 IT 기업들이 모바일 결제 시스템 사업에 참여하므로써 새로운 시장이 확장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결제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다양한 앱과 연동되어 더 나은 서비스를 지원하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의 편의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하지만 모바일 결제 시스템으로 인해 결제의 편리성은 증대되었지만 그에 비례하여 보안의 취약점도 증대되고,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모바일 결제 시스템을 사용하는데 두려움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결제 시스템인 삼성페이와 애플페이의 결제 기술을 살펴보고, 각 모바일 결제 시스템의 보안 취약점을 소개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 Park, Jung-Ha;Lee, Yun-Bok;Seo, Youn-Sook;Choi, Jung-Ho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107-115
    • /
    • 2021
  • This paper presents a smartphone application for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conducted in hospitals, with an aim to evaluate its effectivenes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 was used, which included a total of 100 nursing of school students who conducted their clinical practice. They were divided into one control and one experimental group (50 students each). The control group was directly trained in the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group who self-learned the clinical practice orientation using a smartphone application.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rch 5 and April 27, 2019. They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and independent t-test, using the SPSS Statistics Version 24. The smartphone application customized for the clinical practice education was implemented through the following four phases: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The developed application was registered in Google Play (for Android apps) and Apple Store, and related information was provided, making it available for download. The study show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and self-confidence in learning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the groups. However, technology acceptance and knowledge acquired through practice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earch results serve as basic data for applying smartphone applications as an educational method that can replace traditional modes of education, serving as a significant indicator of the education delivery method diversification.

Effects of a mobile healthcare service provided by public health centers on practicing of health behaviors and health risk factors

  • Kim, Tae-Yon;Lee, Yun-Su;Yu, Eun-Jung;Kim, Min-Su;Yang, Sun-Young;Hur, Yang-Im;Kang, Jae-Heo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3권6호
    • /
    • pp.509-520
    • /
    • 2019
  •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whether a mobile health (mHealth) application can instigate healthy behavioral changes and improvements in metabolic disorders in individuals with metabolic abnormalities. SUBJECTS/METHOD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an mHealth intervention group (IG), which used a mobile app for 24 weeks, and a conventional IG. All mobile apps featured activity monitors, with blood pressure and glucose monitors, and body-composition measuring devices.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fter 24 weeks in terms of health-behavior practice rate and changes in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risks, and health behaviors performed by the IG that contributed to reductions in more than one health risk factor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RESULTS: Preference for low-sodium diet, reading nutritional facts, having breakfast, and perform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mHealth IG. Furthermore, the mHealth IG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eight items in the mini-dietary assessment; particularly, the items "I eat at least two types of vegetables of various colors at every meal" and "I consume dairies, such as milk, yogurt, and cheese, every day."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health risks, with the exception of fasting gluco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mHealth IG, while only the proportion of people with at-risk triglycerides and waist circumference of femal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compared to those who did not show improvements of health risks, those who showed improvements of health risks in the mHealth IG had an odds ratio of 1.61 for moderate to vigorous physical activity, 1.65 for "I do not add more salt or soy sauce in my food," and 1.77 for "I remove fat in my meat before eating." CONCLU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dditional use of a community-based mHealth service through a mobile application is effective for improving health behaviors and lowering metabolic risks in Koreans.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 연동에 대한 설계 (Design for Interworking with Payment System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이주상;이효승;오재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031-1036
    • /
    • 2020
  • 2018년도의 10대 마케팅 중에 하나로 언택트 마케팅이 떠올랐었다. 그 이후 모바일 결제 시장의 규모는 확장되어 갔으며 오프라인에서도 모바일을 통한 결제 비율이 생활에 녹아들고 있다. 삼성 페이나 스마트오더 등의 다양한 모바일 앱은 이미 대중적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의 모바일 결제 시스템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결제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현재 나와 있는 모바일 결제 연동 API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한 모바일 결제 시스템에 대한 설계를 통해 범용적 언택트 방식의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을 종합 설계함으로서 소비자들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근래의 코로나 19사태와 같은 시국에 타인과의 접촉을 최소화를 통해 전염병의 확산 방지 및 건강한 사회에 기여할 언택트 방식의 오프라인 결제 시스템을 제안한다.

Brain SPECT 검사 시 Dynamic Continuous Mode의 유용성 평가 (The Evaluation of Dynamic Continuous Mode in Brain SPECT)

  • 박선명;김수영;최성욱
    • 핵의학기술
    • /
    • 제21권1호
    • /
    • pp.15-22
    • /
    • 2017
  • 본원에서 시행하는 Brain SPECT 검사는 $^{99m}Tc-ECD$ 또는 $^{99m}Tc-HMPAO$를 주사 한 후 뇌 영상을 얻어 뇌 관류상태를 평가하는 검사이다. 하지만 검사 중 일부 환자 상태가 불안정할 경우 움직임이 발생하여 재촬영이나 검사실패로 이어지는 경우가 발생 된다. 이에 현재의 Step and Shoot Mode(SSM)이 아닌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재구성을 통해 영상 구현이 가능한 Dynamic Continuous Mode(DCM)를 적용하여 환자의 재촬영과 피폭선량을 감소시키고 검사실에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함에 있다. Deluxe PET/SPECT Phantom과 Hoffman 3D Brain Phantom으로 Filtered Back Projection(FBJ)과 Iterated Reconstruction(IR)으로 재구성하여 영상을 구현하였다. 이미지를 가지고 핵의학과 5년이상의 임상경력이 있는 의사 5명과 방사선사 5명을 대상으로 리커트 5점 척도(Likert 5 Scale)와 블라인드 판독 테스트를 실시 하였다. 판독의 블라인드 테스트 결과 최소 DCM 3Repeat (30%)에서 7Repeat (50%)까지 판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답해 주었다. DCM으로 검사 시 환자 움직임이 발생되면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여 재촬영, 재주사의 감소를 가져올 수 있고, 장비 오류 시 영상을 재구성 후 구현 할 수 있어 검사실 운영 효율도 높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SPECT검사뿐 만 아니라 SPECT/CT검사 에서도 활발한 연구가 적용 될 거라 기대 되며 마지막으로 실제 환자 적용은 환자 데이터의 충분한 수집 후 병원 판독 실정에 맞게 도입이 필요 하리라 사료된다.

  • PDF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앱을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콘텐츠 개발과 구성주의적 수업방안 (On Developments of Teaching-Learning Contents and Constructivist Teaching Methods Using Mobile Applications Based on Augmented Reality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병학;송진수;박예은;장요한;정영훈;안진희;김준혁;고은령;장인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3권3호
    • /
    • pp.207-229
    • /
    • 2019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과 교수 학습에 ICT기술을 접목한 수업의 시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거꾸로 수업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과 효율성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거꾸로 수업과 증강현실을 활용한 수업 콘텐츠와 그 활용방안에 대한 수요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실제로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수업 콘텐츠의 개발과 수업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교수 학습 유형을 분류하고, 구성주의 수학 교육 원리와 증강현실 기반 모바일 앱을 활용한 거꾸로 교실 수업 방안과 교수 학습 유형별 수학 교수 학습 콘텐츠를 개발하고 교수 학습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 및 수업지도안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