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mpling variance

검색결과 490건 처리시간 0.028초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간호서비스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회복탄력성과 간호조직문화를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 among Clinical Nurses: Focused on Resilience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 신은숙;안민정;최명이;이애경;전은아;정영미;서미화;김혜경;황진화;최옥자;김선희;박수민;황윤영
    • 임상간호연구
    • /
    • 제23권3호
    • /
    • pp.302-311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resilience and their effects on quality of nursing service. Methods: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collect data from 199 participants who worked in a tertiary hospital in G city. Demographic and work related variables, quality of nursing service, resilience,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were measured using valida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Result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women and the majority were staff nurses and singl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nursing service was found fo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level, clinical career, posi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ge, educational level, clinical career, position, resilience, innovation-oriented culture, relation-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nursing service, explaining 47% of total variance. Among the predictors, resilienc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llowed by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hierarchy-oriented culture. Conclusion: Findings indicate that quality of nursing service can be improved by raising individual nurse's resilience and advancing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Considering the identified factors, researchers and administrators need to develop and provide clinical nurses with a variety of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nursing service.

일부 성인의 만성질환과 구강건강 연관성에 대한 인식조사 (Survey of Adults' Perceptions of the Associ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Oral Health)

  • 김철신;최용금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9
    • /
    • 2017
  •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및 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만성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20대부터 50대까지의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대상자의 만성 질환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는 구강건강과 당뇨와의 연관성이 3.29로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고혈압과의 연관성은 2.82로 가장 낮은 인식도를 보였다. 특히 '항고혈압제 약의 부작용으로 구강건조증, 잇몸출혈, 치유지연, 잇몸비대 등이 나타날 수 있다'라는 항목은 전체 항목에서 1.52로 가장 낮은 인식도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특성에 따른 만성질환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인식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에 따른 인식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는데 공무원, 전문직 집단에서 가장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p=0.015).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볼 때 만성질환과 구강건강의 연관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을 전환시켜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치과진료실에서는 구강보건교육시 단순한 구강건강관리뿐만 아니라 통합적인 건강관리의 방향으로 만성질환을 포함한 전신과 구강건강과의 연관성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여 수행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궁절제술 부인의 성생활 만족에 관한 요인 분석 (An Analytic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for Sexual Satis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 장순복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0-172
    • /
    • 1989
  • This research was done to clarify the factors related to sexual satifaction in women who have had a hysterectomy, and to idenify which factor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f sexual satisfaction of the subja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sexual adaptation which might be changed by nursing intervention. This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ere were 230 subjects in the study, and they were selected by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The tool. for this study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modification of the Dergatis Sexual Function Inventory(DSFI). A pilot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necessary modifications.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Sept. 1987 and Du. 1987 using a mailed questionnai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s follow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42.3 years and 204(87.4%) of the subjects had nine or more years of education. The mean income of the subjects was 85.8870 won / month, and 179(77%) of them were housewives. The mean number of pregnancies and children were 4.9 and 2.5 respectively. Oophorectomies were included in the surgery for 66(28.7%) of the subjects. Only 12(5.2%) were planning to have more children. Only 88(38.3%) of the subjects had received information prior to the surgery regarding health problems related to the operation and less than half, 111 (48.3%), had received this kind of information before discharge. Lay persons were the 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post-operation status for 196 (85.2%) of the subjects, but the content of the information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xual satisfaction score. Only 16(7.0%) of the subjects said they regretted having a hysterctomy while 102(44.3%) said they were pleased to have had a hysterectomy. Ninety (39.1 %) of the subjects reported that their husbands had “stress” and 164(71.3%) of the subjects reported “str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mean score for sexual satisfaction of the subjects was 34.24 with a possible maximum score of 50.00. Eighty two(35.8%) were responded that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sexual life but 61 (26.5%) were responded tha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sexual life 2. The following 15 factor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sexual satisfaction(p<.05) ; support of husband, body image, emotion, knowledge of sex, menopausal symptoms, sexual behavior, the feelings the subjects had about the hysterectomy, stress for both subject and husband, the number of children, health information given before operation, job, age, level of education and income. The fiv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exual satisfaction were identified b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support of husband, which explained 17.83% of the total variance. The remaining factors in order of significance were : Knowledge of sex, income, job, and emotional status. Those five factors explained 35.16% of the sexu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for the care of women who are going to be discharged from hospital after having had a hysterctomy, nurses have to work with the husbands to help them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their support. Nurses also need to make sure that the subjects have an adequeate knowledge of sexual life after a hysterectomy. Also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subjects who do not have a job, who are of low economic status, and the subjects who are under the unpleasant mood.

  • PDF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지도와 가족지지의 영향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 김춘길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7권3호
    • /
    • pp.151-160
    • /
    • 2014
  • 목적: 노년기는 죽음이 가까워지는 시기이고 노인들은 좋은 죽음을 원하지만 아직까지 노인에서 좋은 죽음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규명하는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좋은 죽음의 인지도를 알아보고 그의 영향요인을 일반적 특성과 가족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서울시, 경기도, 강원도 및 전라도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 중 편의 표출하여 연구에 참여를 서면 동의한 65세 이상의 노인 317명이었다. 구조화된 설문지 문항에는 일반적 특성, 좋은 죽음 19문항과 가족지지 11문항을 포함시켰으며 설문내용에 대해 대상자 스스로 기입하거나 자기기입이 어려운 노인은 연구자나 연구보조원이 설문에 대한 노인의 응답을 기입하는 방법으로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t 혹은 F 검정, 피어슨 상관계수 및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좋은 죽음의 정도는 상으로 높은 편이었고 좋은 죽음의 요인 중 통제감이 가장 높았으며 문항별 정도는 '평화롭게 죽는 것이다'와 '죽음을 수용하는 것이다'에 이어서 '다른 사람에게 부담(폐)을 주지 않는 것이다'를 높게 인지하였다. 좋은 죽음의 인지도는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가족지지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좋은 죽음에 대한 영향요인은 가족지지와 성별로 그 설명력은 10.2%이었다. 결론: 재가노인의 좋은 죽음을 위해서는 그들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 결혼상태와 경제상태를 고려하고 중재가 가능한 가족 지지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의 통제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문항 중 높은 인지도를 나타낸 평화로운 죽음과 죽음 수용 등에 대해 초점을 맞추어 중재를 하여야 할 것이다. 나아가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의 성별과 가족지지를 고려하여 그들의 좋은 죽음뿐 아니라 삶의 질이 유지, 증진될 수 있도록 지지 프로그램이나 정책 제안 등 합당한 노력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고등학생의 건강증진 생활양식과 관련 요인 (The Determinants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 홍외현;김정남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330-346
    • /
    • 1999
  • This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in high school students. 304 high school students and 189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Taegu city were selected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from August 24 to September 4, 1998. Pender and others'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Shere et al's. Self-Efficacy scale, Wallston et al.'s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scale, Wares' Health self rating scale and Cohen & Hoberman's Social support scale were used.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MANOVA, ANOVA. Tukey verific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an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 of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performance was 2.38(SD=.36) of a 4 point scale .Self-actualization (mean = 2.80. SD = .60). interpersonal support(mean = 2.73, SD=.47), health responsibility (mean=1.53, SD=.47), nutrition(mean=2.64, SD=.63), exercise(mean=2.71. SD=.72) and stress management(mean=2.37, SD=.58) were also analyzed. 2. The combination of self-efficacy, social-support,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 father's educational level and perceived health status explained 37.97% of the variance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3. A Health promoting lifestyl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elf efficacy(r=.5173. p=.0011), perceived health status(r=.254, p=.001) and internal health locus of control(r=.321. p=.001). 4. According to sex(t=7.38. p=.006). economic state(F=6.62, p=.00l), Father's educational level(F=4.25, p=.005), mother's educational level(F=6.94. p=.000l), the grade of educational performance(F=3.74, p=.024), sleeping hours(F=3.47. p=.032) and social support(F=40.76, p=.000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modifying factors i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self-efficacy in cognitive factors, and social support in modifying factors were identified as the variables which explained most of Pender's health-promotion model. Nursing strategies enhancing self-efficacy and social support which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health promoting lifestyles should be developed.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health pormoting lifestyle of high school students.

  • PDF

베이지언 문서분류시스템을 위한 능동적 학습 기반의 학습문서집합 구성방법 (An Active Learning-based Method for Composing Training Document Set in Bayesian Text Classification Systems)

  • 김제욱;김한준;이상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12호
    • /
    • pp.966-978
    • /
    • 2002
  • 기계학습 기법을 이용한 문서분류시스템의 정확도를 결정하는 요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문서 집합의 선택과 그것의 구성방법이다. 학습문서집합 선택의 문제란 임의의 문서공간에서 보다 정보량이 큰 적은 양의 문서집합을 골라서 학습문서로 채택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선택한 학습문서집합을 재구성하여 보다 정확도가 높은 문서분류함수를 만드는 것이 학습문서집합 구성방법의 문제이다. 전자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표적인 알고리즘이 능동적 학습(active learning) 알고리즘이고, 후자의 경우는 부스팅(boosting) 알고리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 두 알고리즘을 Naive Bayes 문서분류 알고리즘에 적응해보고, 이때 생기는 여러 가지 특징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학습문서집합 구성방법인 AdaBUS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능동적 학습 알고리즘의 아이디어를 이용하여 최종 문서분류함수룰 만들기 위해 임시로 만든 여러 임시 문서분류함수(weak hypothesis)들 간의 변이(variance)를 높였다. 이를 통해 부스팅 알고리즘이 효과적으로 구동되기 위해 필요한 핵심 개념인 교란(perturbation)의 효과를 실현하여 문서분류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Router-21578 문서집합을 이용한 경험적 실험을 통해, AdaBUS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에 비해 Naive Bayes 알고리즘에 기반한 문서분류시스템의 정확도를 보다 크게 향상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일반병동 전실예정의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Burden of Family Members of Intensive Care Patients : Planned Transfer to General Ward after Intensive Care)

  • 이혜숙;유미애;이수경;손연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1-223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을 대상으로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횡단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시에 소재한 일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일정기간 집중치료를 받고 신체상태가 안정적으로 회복되어 일반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의 가족 중 연구대상자 선정기준에 적합한 101명이 연구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0년 8월부터 11월까지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료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객관적 부담감은 전실 시 환자의 의식수준, 환자 몸에 부착된 기계장치의 수, 기관절개관 여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환자 가족의 주관적 부담감의 경우 환자의 성별, 환자의 교육수준, 환자와의 관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중환자실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은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순상관관계를 보였고, 본 연구의 주요 결과인 회귀분석에서 환자 가족의 부담감 영향요인으로 객관적 부담감의 경우 전실불안이, 주관적 부담감은 환자 성별과 전실불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제시되었고, 각각의 설명력은 12.7%와 23.8%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일반 병동으로 전실 예정된 환자 가족의 전실불안이 환자 가족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감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나, 향후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환자실 퇴실 환자와 그 가족을 대상으로 각 대상자의 요구도를 반영한 맞춤형 전실교육을 통해 환자가족의 부담감을 적극적으로 낮출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이성 교제의 집착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Limerence in Dating Relationships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

  • 김옥수;전해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04-314
    • /
    • 2020
  • 본 연구는 이성 교제의 경험이 있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성 교제 관련 특성, 자아존중감, 성적 자율성이 이성 교제의 집착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2년 11월 25일부터 12월 20일까지 편의 표집의 방법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가 보고식으로 조사되었으며, 총 167부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방법은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의 상관 계수와 다중 선형 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의 이성 교제 시 집착 행동은 이별 경험의 횟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F=4.16, p=.003), 이성 교제의 집착 행동은 자아존중감(r=-.31, p<.001) 및 성적 자율성(r=-.21, p=.006)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이별 경험의 횟수는 여대생의 이성 교제에서의 집착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약 20%의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다(F=8.03, p<.001). 그러므로 이성 교제 시 집착 행동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략으로, 이성과의 이별횟수가 많은 여대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성적 자율성을 강화하기 위한 인지적, 교육적 중재가 필요하며, 집착 행동의 위험요인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을 선별하여, 사례별 문제해결 기반 상담을 제공하는 것이 심리적 건강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Occupational Stress and Self Esteem on Mental Health among Nurses)

  • 이혜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251-259
    • /
    • 2013
  • 본 연구는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600병상이상의 C종합병원, E종합병원, G종합병원) 간호사 457명으로 2011년 7월 4일부터 7월 29일까지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n (%),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SPSS 18.0).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평균 171.5점, 자아존중감은 평균 28.9점, 정신건강은 평균 76.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결혼유무, 교육수준, 근무병동, 근무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신건강은 직무스트레스(r=.32, p<.001) 및 자아존중감(r=-.63,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의 하부영역에서 직무자율성 결여, 업무량과중,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 대인관계 문제,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일반적 특성에서 근무형태(3교대)로 확인되었으며, 42.2%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간호사의 정신건강관련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간호사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 및 중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한 간호여대생의 운동행동 변화단계 분석 (Analysis of The Stages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 of Women in Nursing College based on Transtheoretical Model)

  • 왕희정;오수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437-447
    • /
    • 2020
  • 본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을 적용하여 간호여대생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지지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일개 간호학과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IBM SPSS 21.0 program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는 계획전단계 17.9%, 계획단계 54.3%, 준비단계 16.6%, 행동단계 4.5%, 유지단계 6.7%이었다.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변화과정에서 의식고양, 극적전환, 자아재평가, 사회적해방, 대체행동형성, 협력관계, 강화관리, 자아해방, 자극통제와 의사결정균형의 운동이득요인, 운동장애요인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나 사회적지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범이론적 모형은 간호여대생의 운동행동을 설명하는데 적합한 이론이며, 본 연구결과는 간호여대생의 운동행동 변화단계를 고려하여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