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t taste

검색결과 414건 처리시간 0.031초

소금첨가량을 달리한 양 육수의 품질 특성 - 고압가열추출방식으로 -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mb Stock According to Salt Contents - Using a High Pressure Extraction Cooking Method -)

  • 홍우표;김동석;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49-161
    • /
    • 2012
  • 본 연구는 양 육수의 선행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가운데 육수의 제조 시 소금을 첨가 하였을때 표준화된 육수개발의 정확한 방향을 제시하고 고압추출기를 이용한 균일화를 이룬 대량생산의 개발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염도 측정의 결과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염도는 시료간의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여, 소금 0.4% 첨가군이 0.57로 가장 높은 염도값을 나타내었고, 당도는 소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양 육수의 당도는 유의적(p<0.001)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 분석에서 0.1% 첨가군이 32종, 0.2%, 03% 첨가군이 34종, 0.4% 첨가군이 33종 검출되었다. 검출량 또한 소금 0.3% 첨가군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0.2% 첨가군> 0.4% 첨가군 > 0.1 첨가군 > 대조군 순서로 소금첨가량 증가 시 유리아미노산 함량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험군의 경우 필수 아미노산 9종이 검출되었고, 어린이의 성장에 필요한 histidine과 arginine이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모든 시료 중에 argin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각 필수 아미노산은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능감사 중 특성차이검사 결과 색의 강도(color intensity)는 소금 0.1% 첨가군이 4.86으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4% 첨가군이 3.24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소금의 첨가량에 따라 증감의 차이가 없었다. 삼킨 후의 느낌(after Taste)은 0.3%를 첨가 하였을 때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각 시료 간 에는 유의적(p<0.001)인 차이를 보였다. 외관(appearance)은 대조군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소금 0.2% 첨가군이 3.63으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맛(taste)의 기호도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09로 가장 높았고,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에서는 소금 0.3% 첨가군이 4.2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고, 대조군이 3.52로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각 시료 간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양 육수를 제조할 때 소금첨가량은 0.3%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양 육수 제조 시 적절한 소금의 첨가는 필수 아미노산의 용출을 촉진하며 위생적 안정을 확보하고 관능적으로 더욱 뛰어난 품질의 육수를 제조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 PDF

한국 전통음식에 사용된 매운 맛 (Spicy Taste of Korean Traditional Food)

  • 조우균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74-382
    • /
    • 2011
  •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food's spicy taste dates back to the first telling of the Dangun myth-a story of a tiger and bear who tried to reincarnate themselves in human form by eating garlic and wormwood. For a long time, Koreans have eaten spicy vegetables such as green onion, garlic, ginger, mustard, leeks, corni, cinnamon bark, and Chinese peppers (Zanthoxylum schinfolium) and Zanthoxylum bungeanum. In prehistoric times, spicy vegetables were probably used to eliminate the smell of meat. In the agricultural age, they were used to supplement meals with fresh taste. They were also used as a substitute for salt (salt was very precious and expensive) as well as side dishes for the poor. Spicy vegetables have also been used as a substitute for main dish like medicinal gruel and used to increase the spiciness of soup, and they are usually used as a side dish and with condiments in namul (cooked vegetable dishes), sangchae (salad), ssam (wrapped in greens and garnished with red-pepper paste or other condiments) and Kimchi. In addition, chili pepper was introduced to the Korean Peninsula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mid-15th, 16th century). The soil and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are suitable to growing chili pepper, and chili pepper has excellent adaptability and productivity. Accordingly, it is processed to red pepper powder and has become a major part of traditional Korean food along with Chinese pepper. Since the Joseon Dynasty, many kinds of Kimchi made with red pepper powder have been developed, and most Koreans enjoy them these day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Korean food are spiciness and honest-to-goodness taste.

소금절임시 키토산 첨가가 김치의 보존성에 미치는 효과 (Extension of Shelf-Life of Kimchi by Addition of Chitosan during Salting)

  • 노홍균;박인경;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932-936
    • /
    • 1995
  • 김치의 보존성 향상을 위하여 0.5% 키토산용액을 0(대조군), 5, 10, 20 혹은 30%(키토산 첨가군) 첨가한 10% 소금용액에 배추를 절인 후 김치를 담구어 $10^{\circ}C$에서 숙성하는 동안 관능검사(신맛, 아삭아삭한 정도, 종합적인 맛)와 기계적인 조직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관능검사에서 대조군은 숙성 10일 이후 신맛이 강하고 아삭아삭한 정도와 종합적인 맛은 크게 감소하였다. 반면 키토산 첨가군, 특히 20%와 30% 첨가한 군은 숙성 20일째 비로소 신맛을 나타내었으며, 아삭아삭한 정도와 종합적인 맛도 숙성 20일까지 조직감이 있고 맛이 있는 김치로 유지되었다. 한편 김치의 조직감을 기계적으로 측정한 hardness와 gumminess는 키토산 가군 사이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hardness와 gumminess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는 소금절임시 키토산 첨가가 김치의 보존성을 연장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였으며, 특히 키토산을 20% 혹은 30% 첨가한군은 대조군에 비해 보존기간을 10일 이상 연장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 PDF

초등학생 대상 싱겁게 먹기 영양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Sodium Reduc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정윤영;신은경;이혜진;이난희;천병렬;안문영;이연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746-755
    • /
    • 2009
  •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nutrition education program to reduce dietary sodium. The school children (218 boys, 226 girls), from 8 elementary schools in the city of Daegu, Korea, were involv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data from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education" group (n = 240), and "no-education" group (n = 204). Educational media and programs were developed to educate the education group for four weeks and were presented on the web (www.saltdown.com). After education, the preference for a non-salty taste in the education group increased 10%,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a non-salty taste before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away from a preference for a salty taste and a rise in the mean score for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attitude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education group (p < 0.05). This study indicates that school children can reduce their dependency on preference for a salty taste and change their high-salt dietary behavior after the education.

해양심층수염, 천일염 및 정제염을 이용한 참외절임시 품질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Muskmelon with Deep Seawater Salt, Sun-dried and Purified Salts)

  • 이기동;김숙경;김정옥;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40-846
    • /
    • 2003
  • 참외피클을 제조하고자 해양심층수염, 천일염 및 정제염을 사용하여 참외의 절임시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참외의 절임기간 동안 중량, 수축률, 염도 및 pH의 변화는 소금의 종류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다. 절임염수의 탁도는 천일염을 사용한 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해양심층수염과 정제염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절임염수의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천일염을 사용한 것에서 정제염과 해양심층수염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절 임기간 동안 참외의 칼슘 함량은 해양심층수염과 천일염에서 절임 2일째에 약 4.3배, 3.7배까지 증가하였다. 심층수, 천일염을 사용한 참외 조직 감의 변화는 hardness가 정제염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해양심층수염을 절임염수로 사용한 참외의 색, 향, 맛, 물성 및 전반적인 기호도가 절임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천일염이나 정제염으로 절임한 참외보다 우수한 관능평점을 나타내었다.

시판 샛줄멸 젓갈의 식품성분 특성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ilver-stripe Round Herring)

  • 김형준;윤민석;박용석;하진환;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16-12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food quality of commercial salt-fermented silver-stripe round herring (SFS) to that of commercial salt-fermented anchovy (SFA). The contents of moisture and crude protein of SFS were higher than those of SFA. However, the crude lipid and crude ash contents of SFS were lower than those of SFA. The salinity of SFS was 13.2%, which was lower than that of SFA. The taste value of SFS was 148.1, which was higher than that of SFA. The total amino acid content of SFS was 18.1 g/100 g and its major amino acids were glutamic acid (9.5%) and aspartic acid (8.1%). The contents of calcium, phosphorus and iron in SFS were 647 mg/100 g, 363 mg/100 g and 4.1 mg/100 g, respectively. Twenty six types of fatty acids were detected in SFS and the major components were 16:0, 18:0, 18:1n-9 and 22:6n-3. The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ACE) inhibiting and the antioxidative abilities of SFS were 50.0% and 1.15, respectively,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SFA.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SFS had a superior taste and color to SFS, while to the flavor of two products was similar.

6개월간의 저염식이 여자 대학생의 짠맛에 대한 인지와 기호, 혈압 및 뇨 나트륨 배설량에 미친 영향 (Effect of a 6-month Low Sodium Diet on the Salt Taste Perception and Pleasantness, Blood Pressure and the Urinary Sodium Excretion in Female College Students)

  • 장순옥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5호
    • /
    • pp.433-442
    • /
    • 2010
  • 본 연구는 여자대학생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자율적 저염식 실시가 짠 맛에 대한 인지와 기호에 영향을 미쳐 나트륨 섭취나 혈압에 변화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조사하고자 실시되었다. 14명의 실험군 대상자들은 나트륨 관련 영양교육과 정보를 제공받아 저염식을 하도록 지시 받았고 10명의 대상자는 평상시의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짠 맛의 인지와 기호는 9점 척도의 관능검사로 평가하였고 뇨 나트륨 배설량과 최적 염미 나트륨 정량 분석하였으며 혈압을 측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연구 시작시의 실험군과 대조군은 나트륨 관련 식행동, 신체 계측치, 혈압, 24시간 회상법에 의한 나트륨 섭취량, 6단계의 염분용액에 대한 짠 맛 인지나 기호에서 차이가 없었다. 2) 6개월의 저염식 실시 후 실험군 대상자들은 0.5% 이하 염분 용액에서 짠 맛 인지도가 높아졌고 대조군은 낮아져 저염식 실시로 낮은 농도의 염분에 적응한 듯하나 연구시작과 종료시의 paired t-test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기호도는 시작 시에는 두 군 모두 0.5% 염분 용액을 가장 선호했고 연구 종료시 대조군은 0.75%와 0.5% 염분 용액에 비슷한 기호도를 보인 반면 실험군은 0.5%, 그 다음으로 0.3% 용액에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그 변화가 유의적 수준은 아니었다. 3)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는 실험군에서 105.6 mmol에서 저염식 적응 후 80.7 mmol로 유의적 (p = 0.015) 감소를 보였고 대조군은 변화가 없었다. 뇨 나트륨 배설량은 대조군은 연구 시작과 종료시 차이가 없었고 실험군은 연구 종료시 1,398 mg에서 906 mg으로 유의적 감소를 하였다. 4) 수축기 혈압은 실험군 대상자에서 111 mmHg에서 106 mmHg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이완기 혈압은 대조군, 실험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압과 뇨 나트륨 배설량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와 뇨 나트륨 배설량은 양의 상관관계 (r = 0.418)을 보여 짠맛에 대한 기호가 나트륨 섭취량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적 염미 나트륨 농도와 뇨 나트륨 배설량은 0.5% 이하의 낮은 염분 용액에 대한 짠 맛의 인지와는 음의 상관관계 (r = -0.338~-0.399)를 보여 저염식을 하는 대상자는 낮은 염도에도 잘 반응함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6개월 간의 실험 경과 후 최적 염미도와 뇨 중 나트륨 배설량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의 차이가 분명하였고 관능검사 결과는 0.5% 이하의 저염 농도에 실험군 대상자들이 짠 맛 인지와 기호도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향상하였다.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실험군에서만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6개월 간의 저염식 적응이 유효한 듯하다. 그러나 본 연구결과만으로는 저염식에 적응해 가는 변화과정을 알 수 없고 분석 자료의 표준편차로 보아 개인차 커 일부 비적응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저염 적응 기간 중 개인별 반응과 함께 여러 시점에서의 관찰이 필요하다고 본다.

Microwave 조사 시 소금 및 유지의 첨가량이 식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Pan Bread with Added Salt and Fat Content after Microwave Irradiation)

  • 박상준;안혜령;이광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687-696
    • /
    • 2010
  • This study focused on microwave irradiation of dough, raising its temperature to monitor potential variations of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and examined the optimum mixture ratio towards streamlining the bread-making process. According to comparison and analysis on dough properties and bread quality depending on mixture materials, it was found that Salt 2 had the highest dough temperature of all, and Salt 1 had the highest fermentation rate and specific volume but the lowest hardness (i.e. highest softness).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were that Salt 1.5 scored highest points in sweet taste, aftertaste, and overall acceptance,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bread samples. Likewise, it was found that Fat 6 had the highest dough temperature, fermentation rate and specific volume of all. Texture analysis, showed that Fat 0 had the highest hardness of all. According to sensory characteristics, Fat 3 scored the highest points in overall accept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optimum mixture ratio of salt and fat for microwave-irradiated bread was found to be 1.5% salt and 3% fat.

Spherical Granule Production from Micronized Saltwort (Salicornia herbacea) Powder as Salt Substitute

  • Shin, Myung-Gon;Lee, Gyu-Hee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60-66
    • /
    • 2013
  • The whole saltwort plant (Salicornia herbacea) was micronized to develop the table salt substitute. The micronized powder was mixed with distilled water and made into a spherical granule by using the fluid-bed coater (SGMPDW). The SGMPDW had superior flowability to powder; however, it had low dispersibility.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SGMPDW, the micronized powder was mixed with the solution, which contained various soluble solid contents of saltwort aqueous extract (SAE), and made into a spherical granule (SGMPSAE). The SGMPSAE prepared with the higher percentages of solid content of SAE showed improved dispersibility in water and an increase in salty taste. The SGMPSAE prepared with 10% SAE was shown to possess the best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its relative saltiness compared to NaCl (0.39). In conclusion, SGMPSAEs can be used as a table salt substitute and a functional food material with enhanced absorptivity and convenience.

한국 젊은 성인의 아연 영양 상태가 짠맛 인지와 기호도, 나트륨 섭취 및 혈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inc Status on Salty Taste Acuity, Salty Taste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

  • 안은정;노화영;정자용;백희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32-140
    • /
    • 2010
  • High sodium intake is one of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ccording to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odium intake of Korean was three times higher than adequate intake (1.5 g/day) recommended by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High sodium intake is related to high threshold and preference of salty taste. And zinc status is known to affect taste acuity.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is that zinc status is associated with salty taste acuity, preference, sodium intake and blood pressure. The subjects included in this study were 50 men and 41 women aged 20-29 y who did not smoke and not take supplements or medications regularly. Dietary intake data for 3 days were collected by 24-h recall for 1 day and dietary record for 2-days. Salty taste acuity and preference were determined by sensory test. Fasting serum concentration of zinc, height, weight, body composition and blood pressure data were collected. Salt taste preference in high zinc intake group ($\geq$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 EAR; men-8.1 mg/day, women-7 mg/day) was higher than that in low zinc intake group (< EAR). Salty taste preference was inversely correlated with serum zinc concentration in people with low concentration of serum zinc (${\leqq}\;81\;{\mu}g/dL$)(r = -0.3520, p < 0.05).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high sodium intake group than in low sodium intake group (p < 0.05),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ty taste preference (r = 0.3866, p < 0.05) in subjects with daily zinc intake below the EAR. We conclude that low zinc status may be related to high salty taste preference and high blood pressure in Korean young adul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