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lmonella assay system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25초

광섬유 소산장을 이용한 식중독균 신속검출용 형광면역센서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for foodborn pathogens using an optical evanescent field)

  • 염세혁;박창섭;김도억;김규진;강병호;강신원
    • 센서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441-448
    • /
    • 2007
  • In this study,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was designed to detect foodborne pathogens. The fabricated system is composed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on which antibodies are immobilized. Then, a sandwich immunoassay is applied to the fabricated the fiber-optic fluoro-immunosensor. In the "sandwich" binding format, a primary or "capture" antibody is immobilized on the core surface of the multimode optical fiber and a secondary or named as "tracer" antibody is added to the bulk solution. A tracer is labeled FITC (fluorescein isothiocyanate; ${\lambda}ex$=492 nm, ${\lambda}em$= 520 nm). Different concentrations of antigens are tested in different fibers. The detection limit of the fabricated system is 5.08×103 cfu/ml for Vibrio antigen and $0.1{\mu}g/ml$, $0.05{\mu}g/ml$ in non-labeled monolayer phosphate buffered saline (NMP), non-labeled monolayer carbonate bicarbonate buffer (NMC), respectively.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의 유전독성학적 안전성 평가 (Genotoxicological Safety of Gamma-Irradiated Kwamegi(semi-dried Colobabis seira))

  • 육홍선;정영진;송현파;이주운;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82-192
    • /
    • 2004
  • 과메기의 위생화를 위한 방사선 조사기술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방사선 조사를 실시한 후 독성학적 안전성 실험인 in vitro Ames test SOS chromotest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과 ICR 수컷 마우스를 이용한 in vivo 소핵세포실험을 실시하였다.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Salmonella typhimurium(TA98, TA100, TA1535, TA1537)과 Escherichia coli WP2 uvrA 균주에 대한 복귀변이 집락수 시험, SOS chromotest(Escherichia coli PQ37) 시험 및 CH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물추출물과 용매추출물 및 대사활성계 도입 혹은 부재시 모두, 모든 시험균주에서 시험적용 농도인 10,000 $\mu\textrm{g}$/plate까지의 농도에서 감마선 조사된 시료는 비조사된 시료와 같이 음성을 나타내었다. 또, 감마선 조사 및 비조사된 과메기의 in vivo 소핵세포실험에서도 소핵이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10 kGy까지 고선량 감마선 조사된 과메기는 위 수행된 in vitro 및 in vivo 유전독성시험을 실시한 결과 음성을 나타낸 것으로 보아 유전독성학적으로 돌연변이원성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야생버섯류중 항변이원성 효과의 검색 (Screening for Antimutagenic Effects of the Wild Mushrooms in Korea)

  • 김현정;이병훈;김옥미;이갑득;이갑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688-692
    • /
    • 1998
  • 천연생리활성물질의 개발과 미이용자원의 효율적 재이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13여종의 한국산 야생 버섯류를 에탄올과 물로 추출하여 각 시료추출물의 항변이원성 물질 검색을 시도하였다. B(a)P과 MNNG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야생버섯류의 에탄올 추출물과 물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의 검토는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 실험계를 이용하였으며 B(a)P에 대해 꽃구멍장이버섯(Polyporus dispansus), 깔때기꾀꼬리버섯(Cantharellus infundibuliformis), 진갈색주름버섯(Agaricus subrutilescens), 테미로버섯(Daedalea dickinsii), 목장말똥버섯 (Panaeolus papilionaceus) 및 턱수염버섯(Hydnum repandum) 등의 에탄올추출물에서 비교적 강한 항변이 원성을 나타내었다. 물추출물의 경우는 B(a)P에 대해서 턱수염버섯(Hydnum repandum)이 TA100에서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대부분의 시료는 낮거나 저해활성이 보이지 않았다. 직접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야생버섯류의 에탄올추출물중 5종만 항변이원성이 관찰되었고, 물추출물의 경우는 꽃구멍장이버섯(Polyporus dispansus)이 가장 강한 저해효과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버섯류는 낮거나 저해 효과를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그중 직, 간접 변이원에 대해 가장 강한 저해 효과를 나타낸 꽃구멍장이 버섯의 에탄올추출물은 농도가 높을수록 항변이원성 효과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오이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및 항미생물 효과 (Antimutagenic and Antimicrobial Effect of Cucumber (Cucumis sativus) Extracts)

  • 정숙현;문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64-1170
    • /
    • 2001
  • 이 연구에서는 오이 methanol 추출물과 methanol 추출물의 분획물에 대한 항돌연변이 효과와 항미생물 효과를 조사하였다. Ames 실험계를 이용한 항돌연변이 효과는 Salmonella typhimurium TA100에서 간접 돌연변이원인 aflatoxin B$_1$에 대해 methanol 추출물은 1.25~5.0%에서 11~70%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냈었고, 직접 돌연변이원인 MNNG에 대해서는 46~85%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methanol 추출물을 분획하여 얻은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aflatoxin B$_1$에 대해서는 hexane 획분이, MNNG에 대해서는 butanol획분이 89% 및 95%로 가장 큰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내었다. 항미생물 효과의 조사에서는 오이 metanol 추출물이 실험균주 11종 중 8종의 세균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K. pneumonia KCTC 2208, P. aeruginosa KCTC 2004가 clear zone 13 mm로서 가장 항균 활성에 민감한 균종으로 나타났다. 각 용매별 획분 중에서는 hexane 획분은 V. parahaemolyticus KCTC 2471에 대하여 항균효과를 보였고, chloroform과 ethyl acetate 획분에서도 약하게 항균 효과를 보였다 Methanol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균증식억제 효과의 결과로는 V. parahaemolyticus가 가장 낮은 최소증식억제농도를 보여 500 ppm으로 나타났다. Methanol 추출물의 살균효과는 P. aeruginosa에서 1%의 농도가 0.5%의 농도에 비하여 약 10배정도의 빠른 살균효과를 보였다. 즉 초기 균수의 90%균을 살균하는데 1%와 0.5%의 농도에서 각각 26분, 250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아플라톡신 $B_1$과 4-NQO에 대한 녹황색 채소류의 항돌연변이 효과 (Antimutagenic Effect of Green-Yellow Vegetables toward Aflatoxin $B_1$, and 4-Nitroquinoline-1-oxide)

  • 이경임;박건영;이숙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3-148
    • /
    • 1992
  • 아플라톡신 B$_1$과 4-NQO의 돌연변이 유발성에 미치는 녹황색 채소류의 메탄올 추출물과 쥬스들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검토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Ames실험계를 사용하였는데 아플라톡신 B$_1$에 대해 채소류의 메탄올 추출물 중에는 들깻잎, 상치, 브로콜리, 쑥갓, 미나리, 들미나리, 붉은고추, 고추잎, 비름, 시금치, 무 등이 큰 항돌연변이성을 나타내었다 (p< 0.01). 이 경우 시험시료 중 약 50% 정도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direct mutagen인 4-NQO에서는 실험 시료 27종중 25종류(93%)에서 항돌연변이성이 관찰되었다 (p<0.01, 0.05). 이중 60%이상 저해효과를 나타낸 시료는 양배추, 케일, 상치, 브로콜리, 갓, 풋고추, 피망, 시금치, 비름, 콩나물, 애호박이었다. 한편 쥬스로 부터 아플라톡신 B$_1$에 대해 항돌연변이 효과를 나타낸 채소류는 들깻잎, 들미나리, 시금치, 양배추로써 각각 용량 의존적으로 (50~500${\mu}\ell$/plate)농도의 증가에 따라 그 저해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한편 오이와 당근은 농도를 높여도 큰 저해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 PDF

한국형유산균인 Bifidobacterium breve K-110, K-111 및 B. infantis K-525 균주의 완하, 항사하 및 항돌연변이효과 (Antidiarrheal, Anticostive and Antimutagenic Effects of Bifidobacterium breve K-110, K-111 and B. infantis K-525 from Korean in Experimental Animals)

  • 이영경;김동현;한명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47-552
    • /
    • 1999
  • 저자 등이 건강한 한국사람으로부터 장내유해효소를 억제할 수 있은 장내환경개선효과가 우수한 한국형 유산균을 분리하여 소장수송능 효과, castor oil을 이용한 설사모델 동물에서 지사효과 및 항돌연변이 효과를 측정한 결과 소장의 수송능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나 대장의 소송능은 현저한 수송능 촉진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Bifidobacterium breve K-110의 균주가 우수하였다. Castor oil로 유도된 설사에 대한 지사 효과는 대부분의 균주에서 억제효과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K-111의 균주는 유의한 지사효과를 나타냈다. 아울러 유산균은 항돌연변이 효과는 Bifidobacterium breve K-100 균주가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유산균의 세포벽 성분이 peptidoglycan에 의한 효과였다. 이러한 결과들로 볼 때 한국형유산균은 장내세균이 생산하는 유해효소의 생산성을 억제하는 것외에도 설사와 변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발암물질에 의한 항돌연변이 효과을 통해서 장내환경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evelopment of Fecal Microbial Enzyme Mix for Mutagenicity Assay of Natural Products

  • Yeo, Hee-Kyung;Hyun, Yang-Jin;Jang, Se-Eun;Han, Myung-Joo;Lee, Yong-Sup;Kim, Dong-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838-848
    • /
    • 2012
  • Orally administered herbal glycosides are metabolized to their hydrophobic compounds by intestinal microflora in the intestine of animals and human, not liver enzymes, and absorbed from the intestine to the blood. Of these metabolites, some, such as quercetin and kaempherol, are mutagenic. The fecal bacterial enzyme fraction (fecalase) of human or animals has been used for measuring the mutagenicity of dietary glycosides. However, the fecalase activity between individuals is significantly different and its preparation is laborious and odious. Therefore, we developed a fecal microbial enzyme mix (FM) usable in the Ames test to remediate the fluctuated reaction system activating natural glycosides to mutagens. We selected, cultured, and mixed 4 bacteria highly producing glycosidase activities based on a cell-free extract of feces (fecalase) from 100 healthy Korean volunteers. When the mutagenicities of rutin and methanol extract of the flos of Sophora japonica L. (SFME), of which the major constituent is rutin, towards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TA 98, 100, 102, 1,535, and 1,537 were tested using FM and/or S9 mix, these agents were potently mutagenic. These mutagenicities using FM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ed with those using Korean fecalase. SFME and rutin were potently mutagenic in the test when these were treated with fecalase or FM in the presence of S9 mix, followed by those treated with S9 mix alone and those with fecalase or FM. Freeze-dried FM was more stable in storage than fecalase. Based on these findings, FM could be usable instead of human fecalase in the Ames test.

Safety Evaluation of Tobacco Substitute (Herbrette); Inhalation Toxicity, Mutagenicity and Immunotoxicity

  • Song, Kyung Seuk;Park, Kun Ho;Yoo, Gi Yong;Song, Sung-Ok;Kim, Hyun Woo;Kim, Jun Sung;Park, Jin Hong;Eu, Guk Joung;Hua, Jin;Cho, Hyun Sun;Hwang, Soon Kyung;Chang, Seung Hee;Tehrani, Arash Minai;Yu, KyeongNam;Chae, Chan Hee;Cho, Myung Haing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65-374
    • /
    • 2004
  • Inhalation toxicity, mutagenicity, and immunotoxicity tests were performed using a smoke generation system to investigate the safety of Herbrette, a tobacco substitute made with the leaves of Perilla frutescens. ICR mice were exposed to nicotine-free Herbrette smoke with concentrations of 0 (control), 4.08 $\pm$ 1.32 mg/$m^3$ (low dose), 7.72 $\pm$ 2.14 mg/$m^3$ (medium dose) and 12.83 $\pm$ 1.69 mg/$m^3$ (high dose) total particulate matters (TPM) for 4 weeks.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body weights, organ weights in the exposed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However, certain change of several serum chemical data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observed, however, the changes were within normal physiological ranges. Moreover, no changes in organ weight, and no gross/microscopic changes were observed between the exposed and control groups. Salmonella typhimurium reverse mutation, in vivo chromosomal aberration and micronucleus assays revealed that Herbrette did not induce mutagenicity. Upon evaluation of peripheral cellular immunity of mice through in vitro lymphocyte proliferation assay,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mean stimulation index between the exposed and control groups. Taken together, our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Herbrette may not cause toxicity on mice under current condition.

케일과 신선초 채소즙의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효과 (Safety Effects against Nitrite and Nitrosamine as well as Anti-mutagenic Potentials of Kale and Angelica keiskei Vegetable Juices)

  • 김종대;이옥환;이종석;정혜연;김보경;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8호
    • /
    • pp.1207-121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유기농 및 일반농 케일과 신선초를 착즙하여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안전성 및 항돌연변이 활성을 비교하였다. 유기농 채소즙의 안전성 측정을 위해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케일즙의 경우 유기농 및 일반농의 함량이 유사하게 나타났다. 신선초즙의 경우 유기농이 일반농보다 질산염 및 아질산염 함량 모두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7종류의 니트로사민 모두가 이들 채소즙에서 검출되지 않았다. 니트로사민의 저해물들이 반응하는 위에서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공위액에서의 소화과정 중 질산염과 아질산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유기농 및 일반농 채소즙의 질산염 함량은 인공소화 전보다 후의 함량이 현저히 낮아졌다. 인공 위액계에서 채소즙은 아질산염과 2급 아민에 의해 생성되는 니트로사민의 생성을 오히려 크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었다. 질산염과 아질산염을 함유하고 있는 채소즙의 돌연변이 유발 및 저해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Ames test를 한 결과 항돌연변이 활성이 있었으며, 유기농 채소즙의 항돌연변이 효과가 일반농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 결과 채소즙의 주재료가 되는 유기농 케일 및 신선초는 질산염, 아질산염 등의 함량이 낮을 뿐만 아니라 소화과정에서 전환되어 니트로사민을 생성하지 않았고 항돌연변이 효과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불 라이소자임 유래 항균성 모델 펩타이드(Uu-ilys-CF)의 재조합 단백질 생산 및 항균 활성 (Recombinant Produc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an Antimicrobial Model Peptide (Uu-ilys-CF) Derived from Spoon Worm Lysozyme, Uu-ilys)

  • 오혜영;고혜진;박남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3-89
    • /
    • 2021
  • 개불 라이소자임(Uu-ilys)은 개불(Urechis unicinctus)로부터 정제된 무척추형 라이소자임으로 병원균에 대한 방어에 주요하게 작용하는 선천성 면역 물질이며, 비효소적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균 활성을 지닌 유도체의 개발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개불 라이소자임에서 유래된 항균 활성을 가지는 유도체의 디자인과 생산을 기술하고 있다. 여러 항균성 펩타이드(antimicrobial peptide, AMP) 데이터베이스에서 제공하는 항균성 펩타이드 예측 도구를 사용하여 개불 라이소자임에서 항균 활성을 가지는 부위를 예측하였다. 개불 라이소자임 C-말단의 절편이 항균 활성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으며, 이 펩타이드는 C-말단 절편, Uu-ilys-CF라 명명하였다. Uu-ilys-CF은 이형 발현 시스템인 TrxA-Uu-ilys-CF 퓨전 단백질을 사용하여 생산하였다. 만들어진 퓨전 단백질은 브롬화시안을 사용하여 메티오닌 잔기를 절단하였으며, 절단된 Uu-ilys-CF은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와 역상 컬럼인 CapCell-Pak C18을 사용하여 분리되었다. Uu-ilys-CF의 항균 활성을 조사하기 위해서 여러 균주(그람양성균 4개, 그람음성균7개, 진균 1개)를 사용하였다. Uu-ilys-CF의 항균 활성은 살모넬라에서 가장 높은 반응을 보였다. 비록 Uu-ilys-CF는 진균에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사용한 균주들에서 넓은 범위의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