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alivary amylase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정서곤충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 누에나방 사례 - (Study on the Effects of the Healing Programs Using Emotional Insects - Bombyx mori (Linnaeus) Case -)

  • 김소윤;지상민;김원태;송정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61권2호
    • /
    • pp.283-288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정서곤충을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 43명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치유프로그램에 이용된 정서곤충은 누에나방[Bombyx mori (Linnaeus)]이다. 스트레스의 정도는 타액 ɑ-아밀라아제 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스트레스 수치를 평가하기 위한 타액 샘플 채취와 곤충 선호도에 대한 설문지는 곤충치유활동에 참여하기 전과 후에 측정되었고, 활동을 모두 마친 후에는 치유프로그램 참여 경험에 대한 만족도 점수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곤충치유프로그램 활동은 참여 아동의 타액 ɑ-아밀라아제 수치를 통계적으로 낮추고, 곤충에 대한 선호도를 높여준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누에를 이용한 치유프로그램 활동에 참가한 아동들의 만족도는 5점 만점에 4.23점이었다.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α-amylase 및 α-glucosidase 저해활성 (Inhibitory Effects of Four Solvent Fractions of Alnus firma on α-Amylase and α-Glucosidase.)

  • 최혜정;정영기;강대욱;주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7호
    • /
    • pp.1005-1010
    • /
    • 2008
  • 최근 당뇨병 환자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적이고 적절한 치료가 어려워 당뇨병성 합병증의 발생을 증가시키고 있다. 당뇨병 발병 이후의 치료는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증상을 개선시키고 급만성 합병증을 막는 이차적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항당뇨 활성을 가지면서 식용 가능한 천연자원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약용식물로 알려진 사방오리나무에 대해 아직까지 보고가 없었던 항당뇨 활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Pancreatin와 salivary ${\alpha}-amylase$ 에 대해 MeOH 추출물과 HX 분획물이 ${\alpha}-amylase$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yeast ${\alpha}-glucosidase$에 대한 억제 활성은 MeOH 추출물과 EA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의 $IC_{50}$이 각각 $137.36\;{\mu}g/ml$$171.52\;{\mu}g/ml$ 그리고 $115.14\;{\mu}g/ml$로 나타남으로써, 현재 혈당강하제로 사용되고 있는 acarbose와 1-deoxynorjirimycin보다 높은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폴리올 대상 이상에 의한 당뇨병성 합병증 유발과 관련하여 Aldose reductase 억제활성을 조사한 결과, $50\;{\mu}g/ml$ 농도에서 EA 분획물과 MeOH 추출물이 각각 84.13%와 58.73%로 녹은 저해활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 자생하는 사방오리나무 추출물로부터 부작용이 적고 혈당강하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항당뇨 신물질을 탐색하여 산업화 하고자하며 이를 통하여 바이오 소재산업의 활성화와 바이오 식품 나아가 바이오 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하고자 한다.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의 생리활성 효과 (Physiological Activities of Dried Persimmon, Fresh Persimmon and Persimmon Leaves)

  • 홍정희;김현정;최용화;이인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8호
    • /
    • pp.957-96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곶감, 생감 및 감잎의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들의 생리활성을 검색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곶감, 생감 및 감잎 각각 147.79, 301.45 및 $315.90\;{\mu}g/mg$으로 생감 및 감잎에 폴리페놀 함량이 곶감에 비해 유의적으로 많았다. 감잎의 경우 폴리페놀 함량에 비례하여 DPPH radical 소거활성, 지질과산화 억제효과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이 증가되었다. 항암활성도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생감 및 감잎추출물이 위암 세포인 AGS에 대해 $65{\sim}70%$의 높은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폴리페놀 함량에 차이가 있는 곶감과 생감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능 및 salivary $\alpha}$-amylase 저해활성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또한, 항고 혈압 활성은 곶감, 생감 및 감잎 추출물 모두 80% 이상의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은 감잎 추출물의 항균력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곶감 및 생감의 경우 E. coli O157:H7에 대해서만 약한 항균력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이 같은 감류임에도 건조 상태 및 부위에 따라 다양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감잎의 항산화, 항당뇨 및 항암 활성은 폴리페놀 함량에 기인하나, 곶감은 생감 및 감잎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은 상대적으로 적으나 항산화, 항당뇨, 항고혈압 및 항균효과가 있는 물질을 함유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들 효과를 나타내는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법랑질과 상아질의 타액단백 흡착에 관한 연구 (Interaction of Salivary Proteins with Human Enamel and Dentin Powder)

  • 김동순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11권3호
    • /
    • pp.205-209
    • /
    • 1973
  • 법랑질과 상아질의 타액단백의 흡착관계를 구명키 위하여 타액을 법랑질과 상아질 분말의 column에 흡착시킨후 증류수, 3M Nacl, 0.1M phosphate buffer, pH 7.1, 0.2M EDTA 함유한 phosphate buffer와 증류수를 차례로 용출시켜 용출액의 amylase, ribonuclease 및 단백양을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타액 amylase와 ribonuclease는 법랑질과 상아질 분말에 모두 흡착하였다. 2. 0.2M EDTA가 함유한 buffer에서는 단백양을 법랑질과 상아질분말에서 모두 33.5%정도 용출되었으나 효소활성은 없었다.

  • PDF

성인여성의 체지방률에 따른 영양소섭취, 렙틴, 아디포넥틴, 코티졸 및 인슐린농도 (Nutrient Intake, the Concentrations of Leptin, Adiponectin, Cotisol & Insulin by the Body Fat Content of Women)

  • 이순례;배현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714-723
    • /
    • 2012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 intakes, serum hormones (leptin, adiponectin, insulin), salivary cortisol and ${\alpha}$-amylase of middle-aged women by the percentage of body fat (% fat). Subjects were assigned to 3 groups by body fat (%) group I (27.5%), group II (32.5%), group III (37.7%). WHR of group II (0.9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f group I, III (0.95) (p < 0.05). Nutrient intakes were not different among 3 groups. Serum leptin levels of group III ($16.53{\mu}g/m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10.07{\mu}g/ml$), group II ($12.24{\mu}g/ml$) (p < 0.05). Salivary cortisol levels of group II ($0.39{\mu}g/dl$) were higher than in group I ($0.17{\mu}g/dl$) and group III ($0.15{\mu}g/dl$) (p < 0.05). Adiponectin concentration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AS (r = -0.29)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27). Insulin level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otal cholesterol (r = -0.33), Zn intake (r = -0.3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WHR (r = 0.31). The overall anthropometric indices showed positive relations with leptin levels.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positively corelated with WHR (r = 0.28), total cholesterol (r = 0.31), MDA (r = 0.29) and intakes of SFA (r = 0.35) and MUFA (r = 0.3). Salivary amylas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overall nutrient intakes (energy, CHO, fat, cholesterol. Fe, SFA, MUFA, Zn, Na, vitamin $B_2$, r = 0.24-0.5) 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HDL cholesterol (r = -0.34).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1) WHR would be a helpful index in the assessment of metabolic risk diseases. 2) Understanding of individual stress exposure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 -4보 찹쌀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 -4. Glutinous Rice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0-185
    • /
    • 1997
  • 찹쌀 20%, 엿기름 4%를 가하여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제조한 식혜는 말통스 10.1%, 한계덱스트린 7.3%, 말토트링스 1.3%, 글루코오스 0.18%, 밥알 1.75%를 나타냈다. 알코올 침전, Biogel P-2의 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식혜의 한계덱스트린을 정제하여 1H-NMR 분석한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글루코시드 결합과 $\alpha$-1,6-글루코시드 결합이 5:1로 이루어졌고, pullulanase 처리한 결과 말토오스와 말토헥사오스까지의 분포를 나타내어 멥쌀식혜에서 얻은 한계덱스트린가 구조가 같은 결과이다. 밥알의 당함량은 26.4%, 단백질 함량은 41.6%를 나타냈다. 참쌀식혜의 한계덱스트린과 밥알에 30unit/ml의 $\alpha$-아밀라아제, 글\ulcorner아밀라아제, $\alpha$-글루코시다아제, $\beta$-아밀라아제를 작용시킨 결과 글루코아밀라아제 외에는 일부밖에 가수분해하지 at하였다. 인체의 효소인 $\alpha$-아밀라아제와 $\alpha$-글루코시다아제를 함께 작용시킨 결과 한계덱스트린의 가수분해율은 18%, 밥알의 가수분해율은 26%를 나타냈다.

  • PDF

식혜의 이소말토올리고당에 관한 연구(III) -시판식혜- (A Study on Sugars in Korean Sweet Rice Drink "Sikhye"(III) -Commercial Sikhye-)

  • 안용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2-96
    • /
    • 1997
  • 시판 식혜에는 설탕과 프룩토오스,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및 여러 사이즈의 말토올리고당, 한계덱스트린이 함유되어 있다. 그 중 한계덱스트린은 0.09%, 밥알은 0.2%를 나타냈다. 1H-NMR 분석 결과, 한계덱스트린은 $\alpha$-1,4-결합 및 $\alpha$-1,6-결합이 15:1의 비율을 나타냈다. Pullulanase 처리로, 말토오스에서 글루코오스 10잔기 이상의 말토올리고당까지 다양한 분포를 나타냈다. 한계덱스트린은 여러 아미라아제 처리 결과, 전통식혜보다 가수분해율이 훨씬 높았다. $\alpha$-글루코시다아제와 타액 $\alpha$-아밀라아제를 공동 작용시킨 경우는 62% 가수분해되었다. 그러나, 밥알의 가수분해율이 매우 낮았다. 그래서 전통 식혜에 비해 한계덱스트린의 비피두스 인자로서의 효과는 적고, 밥알의 식이섬유 작용은 커졌다.

  • PDF

Amylase가 Hydroxyapatite 탈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MYLASE ON THE DEMINERALIZATION IN HYDROXYAPATITE)

  • 이인환;서정택;최병재;이종갑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35-351
    • /
    • 1998
  • Salivary proteins which are produced in the saliary acinar cells have been known to be involved in the Calcium and phosphate metabolism. The acquired pellicle resulting from such metabolism is considered as a secondary defence membrane against tooth caries. In this respect, some proteins included in saliva probabl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demineralization in enamel. On the other hand, fluoride has long been known to prevent the demineralization of enamel by the inhibition of the growth of Streptococcus mutans(S. mutans) and by the chemical reaction with calcium and phosphate, Therefore, I have examined the roles of amylase and albumin in the demineralization of enamel and compared these preteins with fluoride in terms of anticariogenic effect. 1. The demineralization caused by S. mutans occurred slowly and progressively for the first 60 min, then the rate of demineralization was accelerated afterwards. 2. pH decreased continuously during the entire period of each experiment. 3. The demineralization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the preteatment of amylase and fluoride but albumin had little effect on it. 4. An addition of 0.1 mM lactic acid (final concentration 0.1 ${\mu}M$) caused a rapid increase in calcium concentration reaching a maximum within 10 min. 5. pH decreased rapidly by the addition of 0.1 mM lactic acid and reached a minimum within a few seconds followed by an increase in pH. pH reaced a plateu with 10 min. 6. Fluoride, amylase and albumin played little role in the 0.1 mM lactic acid-induced demineralization. 7. A slow infusion of 0.1 M lactic acid at a rate of 5 ${\mu}l/min$ caused a slower increase in calcium concentration compared with the bolus addition of lactic acid. 8. Fluoride had an inhibitory effect on the calcium release caused by slow infusion of lactic acid while amylase and albumin had no effect on it. These results suggest that fluoride inhibits demineralization by protecting the HA from the acid attack whereas amylase has a direct effect on S. mutans to prevent demineralization.

  • PDF

구강점막 상피세포에 부착하는 타액 성분 (Salivary Components Adsorbing to Oral Mucosal Epithelial Cells)

  • 고홍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3호
    • /
    • pp.261-267
    • /
    • 1999
  • The present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identify salivary components of mucosal pellicle and to explore the difference of mucosal pellicle compon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oral mucosa. By using antisera and immunoblotting, high-(MG1) and low-(MG2) molecular-mass salivary mucins, amylase, IgA, proline-rich proteins(PRPs) were detected in mucosal pellicle in vivo. In addition, the data indicated that mucins, IgA and proline-rich proteins could be cleaved into lower-molecular-mass products, whereas the IgA, proline-rich proteins could also be cross-linked into higher-molecular-mass complexes. Mucosal pellicles from buccal, labial and palatal mucosa showed similar pattern in immunoblotting experiments using anti-MG2 and anti-PRPs antisera. The data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during mucosal pellicle formation multiple components of saliva adsorb to oral mucosal epithelial cell surfaces, and selected components can be proteolytically cleaved into smaller fragments and/or cross-linked into higher-molecular products.

  • PDF

한국산 검정콩 및 쌀보리 $\alpha$-Amylase 저해물질의 이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Black Bean and Naked Barey in Korea)

  • 심기환;문주석;배영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67-375
    • /
    • 1998
  •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black bean and naked barley is Korea were investigated. Preincubation time for maximum inhibition was 30min and no activity change was seen after that time. Optimum pH of the $\alpha$-amylase inhibitors from the black bean and naked barley was pH 7.0 and the inhibitory activities were stable in the range of pH 6.0~8.0 in both phosphate and Tris-HCI buffer solutions. Both inhibitors maintained more than 50% of activity after incubation for 17 min at 7$0^{\circ}C$. The inhibitors from the black bean and naked barley maintained more than 50% of activities after treatment for 40 min and 30 min with pepsin, and 30 min and 50 min with trypsin, respectively. Both inhibitors functioned via a noncompetitive mechanism and were active against porcine pancreatic and human salivary $\alpha$-amylases. Th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were linear for the ionic stength ranging from 0 to 0.9. The addition of 70 mM maltose to the reaction mixture caused a maximum increase in the relativ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but it did not affect the dissociation of the EI complex. The activities of both inhibitor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adding 1mM of K+ or Mg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