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hong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32초

금강유역 표사 수지 감소에 따른 주변 표사계의 미래 해안 침식률 분석 (Analysis of Future Coastal Erosion Risk by Reduction in Coastal Sediment Discharge from Geum River Watershed)

  • 이사홍;이정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5년 정기학술대회
    • /
    • pp.261-26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해안 침식의 원인 중 유역 개발로 인한 해안으로의 표사 공급원이 감소를 검토하고, 그에 따른 표사계의 미래 해안 침식률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유역 개발로 인해 하천으로부터의 표사 유입 차단은 심각한 수준이다. 아직 그 영향이 해안으로 완전히 파급되지 못하여 그로 인한 장기 해안 침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다. 또한 피해가 심각해지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측면도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설정하여 유역 개발로 인한 표사 유입량 감소를 계산하여 주변 표사계 내 미래 해안의 침식률을 산정하였다. 이는 향후 유역개발로 인한 미래 침식 위험 지역의 판단과 침식 위험도 평가 도입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국가 재난 위험성 평가를 통한 재난관리시스템 구축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 by Risk Assessment)

  • 이사홍;김수동;송은정;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349-350
    • /
    • 2017
  • 재난발생은 복합재난으로 발생하고 있지만 재난관리 측면에서는 재난유형별 분산관리를 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자연재난이나 사회재난의 구분 없이 중점관리대상 재난유형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 국가에 국제표준 ISO/IEC 31010 재난 위험성 평가 방법론을 적용 분석하고 중점관리대상 재난 리스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가에 영향을 미치는 재난 중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의 정량적 위험성 평가는 다양하고 복잡해지는 재난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국가 재난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해빈류 벡터 장미도를 통한 해운대 해수욕장의 이안류 민감도 분석 (Rip Current Sensitive Analysis Using Rose Diagram for Wave-Induced Current Vectors at Haeundae Beach, Korea)

  • 김동희;이사홍;이정렬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20-326
    • /
    • 2016
  • Rip current forecasts, based on intensity, are marked in four levels—notice, watch, warning, and danger. However, numerical results are represented by current vectors, whose magnitudes are then converted into predictive levels. In the present study, the rose diagram is adapted as a determinative forecasting index and examined for the case of an ideal rip channel consisting of surface, bottom, and averaged currents. Further, it is employed in the sensitivity analysis of wave-induced currents generated by wave conditions at the Haeundae Beach. The simulation of surface onshore and bottom undertow currents is accomplished by including a mass flux term in the wave-averaged continuity equation.

댐 건설로 인한 해안 유입 토사 감소율의 산정 (Estimation of Reduction Rate in Coastal Sediment Discharge by Dam Construction)

  • 이사홍;배선한;이정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4-20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하천부터 하구까지의 댐 구조물 건설로 인해 해안으로의 표사 공급원이 감소하는 것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내륙과 해양의 전이역인 연안은 농수산업, 임해산업단지, 발전소 및 항만과 같은 산업 인프라, 관광 및 레크리에이션 등의 다양한 편익을 제공하여 높은 경제 사회 환경적 가치가 있다. 그러나 80년대 이후 무분별하게 추진되어온 각종 연안 개발은 직 간접적인 해안의 침식문제를 발생시켰다. 우리나라 서해의 경우 하천으로부터의 토사 유입 차단은 심각한 수준이다. 아직 그 영향이 해안으로 완전히 파급되지 못하여 그로 인한 장기 해안 침식이 두드러지지 않고 있으나 고파랑에 의한 빈번한 침식과 저질의 세립화 현상을 통하여 현재 진행형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단 피해가 심각해지기 시작하면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될 측면도 많다. 따라서 우리나라 유역의 개발과 수리구조물 건설 현황을 살펴 이로 인한 해안 침식 결과가 얼마나 심각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구조물로 인한 토사량 감소 중 가장 주요한 토사 공급원 감소 원인인 댐으로 인한 토사량 감소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다. 먼저 각 댐의 건설 전, 유역면적당 토사량과 댐 건설 후, 해안 유입 토사량 사이에 감소율을 계산하고, cascade 방법에 의하여 댐군에 의한 토사감소율을 산정한다. 유입 토사량 감소율을 산정하고 토사 공급원 감소로 인한 표사 수지 분석을 통해 해안 침식 폭의 위험도 평가를 실시한다.

  • PDF

당대(唐代) 회화에 나타난 화장문화 (A Study on Cosmetic Culture Shown in Paintings of the T'ang Period)

  • 이애련;전혜숙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15-135
    • /
    • 2010
  • Regarding the figure painting of the T'ang period, by Yeomipbon, a representative painter of the early T'ang period, shows a traditional painting style. Figure paintings of the Prosperous T'ang period, influenced by Odoja's painting style, are characterized as illustrating the lives of noble women delicately with brilliant colors. They include Janghwon's and in which Chinese traditional and Western painting styles were combined. , and , which were painted by Jubang in the mid T'ang period, were the developmentally succeeded the figure painting style of the previous times, illustrating even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of painted figures in a sophisticated way. Skin make-ups shown in figure paintings of the T'ang period are mostly baekjang in type. Besides, other different types of the make=up such as bihajang, dohwajang and juwoonjang can be seen. The paintings, show that the tone of skin got more and more red as the times moved from the early to the late T'ang periods because rouge was more and more used as the times passed between the periods. As a type of forehead make-up, aekhwang is found in Janghwon's and of the late T'ang period. Hwajeon is seen in lots of figure paintings made between the Prosperous the late T'ang periods. Most eyelid make-ups shown in the figure paintings are round-shaped wolmi and yuhyeopmi in type. Besides, other creative types like gyeyeopmi, paljami and iljami are found. Lips are found made up clearer and more red as the times went from the early and the late T'ang periods. The types of cheek make-up like sahong and jangyeop can't be found in figure paintings of the T'ang period.

  • PDF

N-Line 모델을 이용한 동해항 3단계 북방파제 축조공사 후 해안선 및 등수심선 변화 예측 (Prediction of Shoreline and Depth Contour Change after Construction Project for North Breakwater at the Donghae Port by N-line Model)

  • 이사홍;김동희;이정렬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32
    • /
    • 2016
  • 정부는 1999년 제정된 연안관리법에 따라 2000년부터 시행 중인 '연안정비계획' 등을 통하여 연안 침식 대응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연안의 개발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그 중 동해항 3단계 북방파제 축조공사가 내년 3월 중으로 착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은 동해항을 환동해권 물류 중심 거점 항만으로 육성하기 위해, 오는 2020년까지 대규모 항만개발과 방파제 등이 축조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동해항 3단계 개발사업의 추진에 따른 인근해변의 해안침식 저감대책 방안으로 해안선 및 수심 변화를 예측하고자 한다. 동해항 인근의 추암 해수욕장부터 삼척 해수욕장까지 대상지역 N-line 모델 적용 및 Case분석을 실시한다. 해안선 변화는 Polar coordinate에서 개발된 One-line 모델에 회절 효과를 반영하고 해빈 경사와 쇄파고에 따라 횡단 방향으로 발생하는 표사로 인한 추가적인 해안선 변화 효과를 반영하여 입사파고 변동에 따른 단기적인 해안선 변화의 변동 폭을 제공한다. 연평균 입사 파고에 따라 형성되는 연안방향 표사로부터 해안선이 변동하며 이 해안선을 기준으로 연평균 파고에 따른 전진 폭과 최고 파고에 따른 침식 폭을 제시한다. 동해항 개발 전 변화 예측 모델링과 동해항 개발 후 변화 예측 모델링을 통해 개발에 따른 장래 해안선의 변화 예측 모델링 결과 분석 및 검토를 실시, 동해항 인근 지역에 적합한 해안선 유지관리 방법 결정 및 제안을 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된다.

  • PDF

Impact Assessment of Beach Erosion from Construction of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Using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 Lim, Changbin;Lee, Sahong;Park, Seung-Min;Lee, Jung Lyul
    • 한국해양공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36-441
    • /
    • 2020
  • Wave field changes resulting from artificial coastal structures constructed in coastal zones have emerged as a major cause of beach erosion, among other factors. The rates of erosion along the eastern coast of Korea have varied mainly owing to the construction of various ports and coastal structures; however, impact assessments of these structures on beach erosion have not been appropriately conducted. Thus, in this study, a methodology to assess the impact of erosion owing to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has been proposed, for which a parabolic bay shape equation is used in determining the shoreline angle deformation caused by the structures. Assuming that the conditions of sediment or waves have similar values in most coastal areas, a primary variable impacting coastal sediment transport is the deformation of an equilibrium shoreline relative to the existing beach. Therefore, the angle rotation deforming the equilibrium of a shoreline can be the criterion for evaluating beach erosion incurred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rtificial structures. The evaluation criteria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s: safety, caution, and danger. If the angle rotation of the equilibrium shoreline is 0.1° or less, the beach distance was considered to be safe in the present study; however, if this angle is 0.35° or higher, the beach distance is considered to be in a state of danger. Furthermore, in this study, the distance affected by beach erosion is calculated in areas of the eastern coast where artificial structures, mainly including ports and power plants, were constructed; thereafter, an impact assessment of the beach erosion around these areas was conducted. Using a proposed methodology, Gungchon Port was evaluated with caution, whereas Donghae Port, Sokcho Port, and Samcheok LNG were evaluated as being in a state of danger.

재난취약자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비교연구 - 한국과 일본의 장애인 대상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on-site Action Manual for People with Disaster Vulnerability)

  • Kim, Soodong;Lee, Sahong;Choi, Kilhyun;Cheung, Chongso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55-162
    • /
    • 2017
  • 본 연구는 재난 또는 재난상황이 발생되면 일반인에게는 크게 문제되지 않는 상황이라 해도 노약자나 장애인, 경제적 능력이 떨어지는 취약계층에 관한 논점이 있다. 즉 재난취약계층의 특성을 이해하고 동일한 상황이라도 이들에게는 심각한 위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재난대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필요성을 강조하여 제기한다. 또한 취약계층 중에서 전 세계가 동일한 용어정의를 선택하고 있는 장애인에 국한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하는 방식으로 장애인을 위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개발의 토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일본과 한국의 사례를 통하여 재난 시 일상생활 자립성 유지기능, 재난 시 의사소통 기능, 이동방법 및 이동정보 활용 기능, 응급상황 대응 인식 능력 기능, 재난 시 건강상태 관리 기능을 확보해 주는 방향으로 현장조치 행동 매뉴얼 개발의 시급성을 강조한다. 이러한 국내 상황으로부터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을 위한 재난안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과 관련된 논의에 한정해서 논점을 결론으로 정리하고자 한다.

영화 뮬란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keup of the Movie Mulan)

  • 양지애;임희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75-281
    • /
    • 2021
  • 본 연구는 뮬란시 스토리의 중국 남북조시대와 수나라, 당나라시대를 배경으로 제작된 뮬란의 영상 작품 분석을 통해 뮬란 캐릭터 메이크업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시대적 메이크업의 전통문화 반영 여부를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메이크업 이미지 분석을 진행하며 뮬란이 평소 집에서 생활할 때의 모습, 군대에서의 뮬란의 모습, 뮬란이 메이크업을 한 뒤의 모습 3장면의 모습을 남북조, 수나라, 당나라시대의 실제 메이크업과의 비교 분석하였다. 시대적 메이크업을 참고한 작품은 영화 <뮬란>(2020)과 <화뮬란>(2020), 드라마 <화뮬란>(1998)등 3편이 있으며, <뮬란>(2020)과 영화 <화뮬란>(2020) 두 편의 뮬란 영화가 어황장, 면엽, 사홍 등 남북조 시대 메이크업을 활용해 캐릭터 뮬란을 연출하고 있다. 수나라, 당나라 시대 메이크업 문화를 기본으로 한 작품은 <화뮬란>(1964)이 있다. 본 논문을 통해 향후 뮬란 관련 영상 작품의 발전이 있기를 기대하며, 그와 동시에 중국 남북조 시대와 수나라 당나라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영상물 제작 시 시대에 따른 메이크업 연출이 영상물의 창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