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fety Culture

검색결과 1,437건 처리시간 0.029초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 발효음료의 기능성 평가 (Study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Lotus Root and Functional Evaluation of Fermented Lotus Root Drink)

  • 배만종;김수정;예은주;남학식;박은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22-22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연근의 건강식품 소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근의 성분분석 및 연근을 이용하여 만든 연근음료 및 연근 발효음료의 항산화효과를 비교하였으며, 고지방식이를 공급한 흰쥐에게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를 7주간 공급하여 혈청의 지방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는 1%에서 각각 25.55%, 23.88%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10%에서는 각각 87.5%, 95.81%로 항산화 활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질산염 분해활성은 pH 3.0 및 pH 6.0에서 연근음료의 경우 24.97%, 23.73%의 아질산염 분해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연근발효음료도 음료의 농도에 비례하여 아질산염 분해활성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를 먹인 흰쥐에게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를 7주간 병행 공급하였을 때 1일 체중증가량은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식이효율은 고지방식이를 급여한 실험군 모두가 정상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체중 100g당 간의 무게는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연근음료 투여군은 11.6%, 연근발효음료 투여군은 9.9% 감소하였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 혈액 중 총 지방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은 연근음료와 연근발효음료 급여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혈액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연근음료 및 연근발효음료 공급 시 고지방식이 급여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음료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적조 와편모조류,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순수분리 및 성장 (Axenic Culture Production and Growth of a Dinoflagellate, Cochlodinium polykrikoides)

  • 서필수;이상준;김윤;이정호;김학균;이재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76
    • /
    • 1998
  • C. polykrikoides의 항생제에 대한 특이성을 알아보기 위해 C. polykrikoides의 항생제에 대한 $50\%$ 생존시간을 조사하였다. C. polykrikoides는 tetracycline과 thlorarnphe-nicol에 대해서는 아주 민감하였고, polymixin-B, ampicil-lin, penicillin-G, dihydrostreptomycin, neomycin에 대 해 서 는 저항성이 큰 선택적 특이성을 가졌다. C. polykrikoides에 민감한 항생제인 tetracycline과 chloramphenicol의 경우는 사멸곡선을 분석하여 사멸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를 확인했으며, 또한, 농도에 따른 C. polykrikoidess에 대한 항생제의 작용특성을 분석하였다. 박테리아에 오염된 C. polykrikoides 배양액을 percoll 원심분리로 박테리아를 제거하기 전에 C. polykrikoides에 저항성이 큰 항생제에 대한 박테리아 군집의 감수성 시험을 행하여 박테리아 제거를 위한 적당한 항생제와 농도를 결정 한 뒤, percoll 원심분리로 박테리아와 곰팡이를 제거하고, 조체를 회수한 후, 남아있는 소량의 박테리아를 감수성이 큰 항생제를 연속적으로 처리 (antibiotic cascade)하여 C. polykrikoides의 순수배양(axonic culture)이 가능하게 되었다. 순수배양한 C. polykrikoides은 밀도가 약 740cells/ml 이상에서 대수증식기에 접어들었고 최대 5,800cells/ml까지 증식하였다. C. polykrikoides의 하루당 분열율 k 값은 저밀도 세포 상태에서 아주 정확한 증식지표를 제시하였고, 대수증식기 전에 반드시 최대의 k 값 변화를 가진 세포의 밀도가 존재하였으며, 우리는 이 최대 k 값 변화를 가진 밀도를 정확한 적조 예보와 초기에 적조제어를 위한 모델로서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확립된 C. polykrikoides의 순수분리에 의한 배양방법은 C. polykrikoides 뿐만 아니라 다른 적조 생물의 독성학적, 면역학적, 생화학적, 생태학적,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위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슬러리 반응기를 이용한 페놀류 화합물의 분해거동 (Degrad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a Slurry Reactor)

  • 이자명;정연규;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949-957
    • /
    • 2000
  • 본 연구는 페놀 분해균주인 P-99를 이용하여 슬러리상 반응기에서 페놀 또는 PNP (p-Nitrophenol)에 오염된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복원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순수미생물에 의한 페놀의 분해는 혼합 미생물간의 경쟁적 상호작용을 배제시켜 활성슬러지의 지체시간보다 3배 정도 짧게 나타났다. 페놀 분해균주인 P-99는 300mg/L의 페놀을 26시간 안에 완전하게 분해하였으며, 페놀 1mg이 제거될 때 0.1457mg의 P-99 미생물이 생성되었다. PNP는 단일기질로 반응기내에 존재할 경우 페놀 분해균주인 P-99에 의한 분해는 일어나지 않았으나, 페놀에 유도된 경우 공대사 작용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해할 수 있었으며, 이 때 PNP 분해에 있어서 성자기질인 페놀의 이용도는 0.027mg PNP/mg phenol이었다. 페놀과 PNP가 혼합기질로 반응기내에 존재할 경우 PNP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미생물에 대한 저해작용이 증가되어 페놀의 분해속도가 감소하였으며, 슬러리상 반응기에서 미생물에 의한 페놀 및 PNP의 분해는 대상물질의 일부가 액상에서 토양의 표면으로 흡착되고 산소의 전달속도가 상승하여 액상에서 보다 2배 이상 가속화되었다.

  • PDF

일 종합전문요양기관 간호사의 핵심역량 도출 및 근무지 특성별 중요도 인식 비교 (Defining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Nurses in A Tertiary Hospital and Comparing Different Units based on Their Respective Characteristics)

  • 성영희;정정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76-93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core components required of nurses to provide quality nursing care to patients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se components in the hospital's various units to maintain a high level of competence among nurses. Method: The study evaluated 3 categories included 35 subcategories with 148 core components that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of nursing professionals. The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included 18 subcategories with 98 components, the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y included 4 subcategories with 16 components, and the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included 13 subcategories with 34 components. The study included 335 nurses with more than one year of hospital experience and measured disparities among different hospital units. The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10.0,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general trait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measured using standard deviation, and differing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professional traits among the participants were assessed using ANOVA and subsequently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liability of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ools were evaluated using the Cronbach's ${\alpha}$. Resul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e three categories,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was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and organizational culture category. Among the ten most important subcategories within the three categories, safety and infection prevention as well as responsibility were percei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promotion of physiologic adaptation, document management and presentation, self-control, ethics, observance law, coping with emergency, humanity, and medication. 2.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tegory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ies within the hospital unit were as follows : 1) The units that rated nursing professional category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mother-child unit, emergency room, intensive care unit, and operating room, in that order. 2) The units that rated the organizational culture competencies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mother-child unit,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emergency room, operating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in that order. 3) The units that rated temperament-attitude category as being the most significant were: internal medicine, surgical unit, emergency room, mother-child unit, operating room, and intensive care unit, in that order.

  • PDF

백두옹 추출물의 치주조직 세포에 활성도 및 항염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Pulsatilla Koreana for Anti - Inflammatory and Cellular Activity of Periodontal Tissue)

  • 정진광;정진형;임성빈;김정근;소은희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1권1호
    • /
    • pp.149-165
    • /
    • 200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fine the cytotoxicity and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Pulsatilla koreana extracts. To analyze cytotoxic effects,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were used,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related to reduction of $IL-1{\beta}$ and $PGE_2$ production were performed in vitro, for the suggestion of efficacy and safety on periodontal therapeutic use of Pulsatilla koreana extracts. We extracted ethylacetate and butylalcohol from well-dried and ground Pulsatilla koreana throughout multiple processing, then used different concentration solution(0.1 %, 0.2 %, 0.4 %, 0.01 %, 0.02 %, 0.04 %, 1 %, 2 %) of ethylacetate and butylalcohol extracts to examine eytotoxic effects and anti-inflammatory actions Cytotoxic effects were examined by ELISA reader using MTT(Methyl 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 bromide)solution following culture of human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Synthesis of $IL-1{\beta}$was examined by $IL-1{\beta}$ enzyme-immunoassay(EIA)system after separation and culture of monocyte, and $PGE_2$ was examined by $PGE_2EIA$ system after culture of gingival fibrobla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the MTT test of gingival fibroblasts, the change of optical density was decreased significantly at 2 % of butylalcohol extracts and 0.04 %, 0.1 %, 0.2 %, 0.4 %, 1 %, 2 % of ethylacetate extracts.(p<0.05) 2. In the MTT test of periodontal ligament cells, the change of optical density were not differ significantly. but butylalcohol and ethylacetate extracts except from butylalcohol 0.01 % showed high cell cytotoxity. 3. Both ethylacetate and butylalcohol extracts from Pulsatilla koreana inhibited the synthesis of $IL-1{\beta}$and inhibition effect of ethylacetate extracts were higher than butylalcohol extracts. 4. Both ethylacetate and butylalcohol extracts from Pulsatilla koreana inhibited the synthesis of $PGE_2$, and ethylacetate extracts were higher than butylalcohol extracts. In conclusion, ethylacetate and butylalcohol extracts from Pulsatilla koreana showed little cell cytotoxity for gingival and periodontal ligament fibroblasts, and the inhibition of $IL-1{\beta}$ and $PGE_2$ sysnthesi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these extracts can be developed as the therapeutics of the periodontal disease.

  • PDF

애완토끼에서 발생한 Cheyletiellosis 피부염에 대한 selamectin 치료 1례 (A Case of Naturally Acquired Cheyletiellosis in a Rabbit: Therapeutic Trial of Selamectin)

  • 허우필;오원석;오현호;이근우;엄기동;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56-59
    • /
    • 2005
  • 5개월령의 암컷 토끼가 소양증, 탈모 및 점액화농성 안루로 내원하였다. 전신에서 경미에서 중등도 인설이 관찰되었다. 안면부, 이개내측, 사지 중수골과 중족골의 내측, 좌측슬관절 앞쪽의 탈모, 발적, 구진, 농포와 가피등의 다양한 피부병변이 나타났다. 채취된 인설의 현미경 검사에서 다수의 Cheyletiella spp가 관찰되었다. 다수의 이염색성 백혈구, 호산구 및 림프구가 세포학적 검사에서 나타났으며 곰팡이 배양검사는 음성이었다. 세균배양결과 Pasteurella spp가 검출되었다. 검사결과에 따라 Cheyletiella 피부염으로 진단하였다. 치료는 selamectin 6mg/kg을 2주 간격으로 2회 국소 적용하였으며 치료 1개월 후에 임상증상이 현저하게 경감되었고 피부병변은 대부분 정상으로 회복하였다. 따라서 selamectin의 국소적용은 토끼의 Cheyletiellosis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초산과 젖산 혼합액에 의한 수출용 심비디움 검역선충 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 효과 (Effect of Acetic and Lactic Acid Mixtures on Control of Quarantine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in Exporting Cymbidium)

  • 서윤희;박지영;조명래;전재용;김영호
    • 식물병연구
    • /
    • 제20권3호
    • /
    • pp.227-233
    • /
    • 2014
  • 초산(acetic acid)과 젖산(lactic acid)의 혼합액(MX)의 심비디움 배양토에 오염된 소나무재선충(Bursaphelenchus xylophilus)의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실내실험에서 초산과 혼합액은 5.0-1.0% (pH 2.6-4.2)에서 젖산은 5.0%에서만 100%가까운 살선충율을 나타내었고 이보다 낮은 농도(0.5-0.1%, pH 5.1-6.9)에서는 초산과 혼합액보다 젖산에서 살선충력이 유의적으로 낮아졌다. 대부분의 농도에서 혼합액의 살선충율이 초산과 젖산의 평균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 혼합액의 살선충력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폿트실험에서 유기산 혼합액(0.5%, 0.25%), 살선충제(fosthiazate, 표준량, 배량) 및 길항세균(Paenibacillus polymyxa GBR-1) 배양 희석액($10^7CFU/ml$) 등의 처리에 의해 심비디움 배양토에서의 소나무재선충의 밀도가 처리간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이 무처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모든 처리에서 약해가 나타나지 않았고, 처리 후 시기별 pH와 2년생 심비디움의 생육에 무처리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와 이들 식용 유기산의 안전성과 가격을 종합하여 볼 때, 심비디움의 재배 관리 중 생육단계에 따라 이 유기산 혼합액의 지속적인 사용은 검역해충의 방제에 있어서 친환경적이고 실제적으로 유효한 하나의 방법일 것이다.

직장 내 괴롭힘 피해자가 인식한 직장 내 지지와 상담접근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Perceived Workplace Support and Access to Workplace Counseling on Depression Among Victims of Workplace Bullying)

  • 이슬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9권1호
    • /
    • pp.125-14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직장 내 지지와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수준 간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분석을 위하여 2017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는 642명의 응답 자료를 사용하여 다층분석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피해자가 인식한 직장에 대한 안전감에 따라 집단을 분류한 결과, 직장에 대한 안전감을 낮게 인식할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높았다. 둘째, 피해자가 직장 내 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수록 피해자의 우울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직장 내 지지와 우울의 관계에서 직장 내 상담접근성의 정적인 상호작용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직장 내 상담접근성이 높을 때 직장 내 지지가 피해 근로자의 우울을 낮추는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직장 내 괴롭힘에 대한 직장동료나 상급자의 지지 및 회사의 대응에 관하여 안전하고 신뢰로운 조직문화를 형성하고, 근로자의 고충 처리를 담당하는 상담 및 도움창구의 운영이 직장 내 괴롭힘 피해 근로자의 대응을 돕고 우울을 완화하는 보호자원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의미탐색 (Exploring the Meaning of the 2018 'Comprehensive Plan for Vitaliz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 윤옥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51-60
    • /
    • 2024
  • 이 연구의 목적은 2018년 '민주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을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탐색하는 데 있다. 연구 결과 첫째, 2018년 민주 시민 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 대책에서의 추진과제 중 첫째, 학교 민주시민 교육 강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중점 추진과제 중 하나가 시민성 함양을 위한 민주시민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 교원 전문성 신장 및 교육활동 지원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교수 학습 자료 개발 및 교원 연수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셋째,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습 공간 재구조화 및 디지털 기반 학습 환경 구현을 위해 노후 학교 개축 또는 리모델링을 통해 학생 안전 및 학습권 보장한다. 넷째, 학생 자치 활성화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학생의 요구와 학교의 여건을 고려한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성 확대와 참여 체험 중심의 수업과 자치 활동 등을 강화한다. 다섯째, 민주시민 교육 지원 체계 구축의 경우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는 다양한 교육 주체들의 역할과 전문성을 존중하는 상호협력 체제구축 및 지역사회와 교육공동체 간 상호협조 체제를 마련하고 있다.

한외여과 농축유로 제조한 모짜렐라 치즈의 일반성분 조성에 관한 연구 (General Composition of Mozzarella Cheese Made from Concentrated Milk Derived by Ultrafiltration)

  • 천정환;박준호;이종익;송광영;김동현;김홍석;현지연;서건호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1호
    • /
    • pp.55-67
    • /
    • 2012
  • 본 연구는 한외여과를 이용하여 제조한 모짜렐라 치즈와 전통적인 방법에 의해서 제조한 치즈의 일반성분을 비교 분석 평가하여 경제적으로 개선된 모짜렐라 치즈를 제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외여과에 의해서 농축액의 지방, 단백질, 무지고형분(SNF) 함량이 원료유보다 높았으며, 한외여과의 농축계수만큼 증가하였지만(p<0.05), 유당에서는 유의 차가 없었다. 세균수에는 원료유와 농축액 모두 영향을 받지 않았다. 유청성분 중 단백질, 유당, 무지고형분은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p<0.05), 스타터 균주와 렌넷 첨가량에 따라서 유의차를 나타났지만, 세균수에 의해서 유청성분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 모짜렐라 치즈의 일반성분 분석 중 총 고형분은 지방 함량이 낮을수록 총 고형분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저장 기간 동안 총 고형분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회분은 대조구와 처리구 및 저장기간과는 유의차가 없었다. 세균수와 유지방 함량 사이에서는 어떠한 유의차도 나타나지 않았고,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도 회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저장 기간 동안 거의 일정한 값을 보였다. 세균수와 지방 함량 의해 지방에 영향을 주었으며 (p<0.05),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에 따라서 대조구와 처리구, CF 2, CF 3 그리고 첨가량이 50%, 65% 그리고 80%일때도 각각 유의차를 나타내었다(p<0.05). 저장 기간 동안 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당은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에 따라 유의차가 있었고, 저장 기간 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은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에 따라 CF 2와 CF 3 사이에서만 유의차가 있었고(p<0.05), 저장 기간동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용성 질소화합물도 유지방 함량에 상관없이 세균수,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p<0.05),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단백태 질소화합물은 저장기간에 영향을 받으며,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다. 식염(NaCl)은 저장 기간 동안 증가하며, 스타터와 렌넷의 첨가량에 영향을 받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