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ccharina. japonica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서해 어청도 해조상 및 군집구조 (Benthic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Eocheongdo in 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식;양은아;남기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55-665
    • /
    • 2013
  • 한국 서해안 어청도에서 조간대와 조하대에 생육하는 해조류의 생물량과 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하여 2008년 6월부터 2009년 4월까지 계절별로 총 4회 현장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녹조류 12종, 갈조류 23종, 홍조류 66종이 출현하여 총 101종 채집되어 동정되었다. 이중 19종은 일 년 내내 출현하였다. 총 생물량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우점종은 작은구슬산호말(Corallina pilulifera), 우뭇가사리(Gelidium elegans), 지충이(Sargassum thunbergii), 톳(Sargassum fusiforme),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괭생이모자반(Sargassum honeri), 고사리모자반(Sargassum filicinum)이었다. 연간 평균 건중량은 $237.5gm^{-2}$이었으며, 최대값은 겨울에 $272.1gm^{-2}$, 최소값은 여름에 $204.5gm^{-2}$을 기록하였다. 조하대에서의 출현종과 생물량은 조간대에 비하여 많았다. 어청도에서 출현종수와 생물량은 투명도가 낮은 한국 서해 연안의 일반적 특성과 반대로 높은 투명도와 자연 암반의 발달로 인하여 한국 서해안의 다른 도서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보인다.

양식 다시마의 수심과 부위에 따른 화학적 성분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Cultured in the Different Depths of Seawater)

  • 신태선;정설;도예원;전상일;우희철;김남길
    • 청정기술
    • /
    • 제17권4호
    • /
    • pp.395-405
    • /
    • 2011
  • 바이오에너지 생산을 위해 해조류 바이오매스의 대량생산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다시마에 대한 고밀도 양식의 가능성을 시험하였다. 기장과 완도 해역양식장에서 수심을 달리하여(0.5 m, 3 m) 다시마를 양식하고 다시마의 주요 부위별 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다시마의 상측 부위가 하측 부위보다 많은 조단백질 함량을 나타냈으며, 조지방은 중간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p<0.05). 조회분은 하측부위에 많은 함량을 나타내었지만 지역 간, 계절 간의 함량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또한 대조구(0.5 m)와 수심 3 m의 다시마 간에 일반성분 조성의 차가 없었다. 구성당의 함량은 실험군에서 부위별 함량 차이는 있었으나, 부위에 따른 증감의 경향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역, 계절, 수심에 의한 뚜렷한 변화가 보이지 않았다. 모든 실험군에서 대부분의 아미노산이 다시마의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지역과 계절에 따라 일부 실험군 간에 아미노산 함량이 차이를 보였지만 수심에 따른 아미노산의 함량은 관찰되지 않았다. 지방산 함량은 부위에 따라 많고 적은 지방산들이 있었고 불포화지방산들이 하측부위보다 상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반면 포화지방산은 하측부위에 많이 함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시마의 양식 수심에 따라 이러한 조성들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원소 N는 상측부위가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원소 C는 실험군에 따라 원소 N과 비교하여 경향을 띠었다.

Study on UV Absorption Materials Derived from Red Algae Gloiopeltis fucatas and Mazzaella sp. in Russia

  • Lee, Moon-Hee;Kim, Yeon-Kye;Yoon, Na Young;Shim, Kil Bo;Aminina, Natalya M.;Kadnikova, Irina A.;Lim, Chi-Won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5권4호
    • /
    • pp.361-363
    • /
    • 2012
  • We investigated ultraviolet (UV) absorption materials from Russian seaweeds. First, the UV absorptivities of five seaweeds Gloiopeltis fucatas, Mazzaella sp., Mastocarpus pacificus, Laminaria cichorioides, Saccharina japonica were evaluated by a UV spectrometer. Of these seaweeds, Gloiopeltis fucatas and Mazzaella sp. showed high levels of UV absorption. Column chromatography of active 50% aqueous ethanol extracts from Gloiopeltis fucatas and Mazzaella sp. resulted in the purification of two known compounds. Spectroscopic techniques identified their structures as shinorine and palythine. These materials exhibited UV absorptive capabilities at wavelengths of 333 and 320 nm,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Gloiopeltis fucatas and Mazzaella sp. may be useful as natural cosmeceutical sources.

국내 해조류 자원의 항염증 및 세포독성 스크리닝 평가 (Anti-inflammatory and Cytotoxic Screening Evaluation of Macroalgae Resources)

  • 김철원;장광진;김연복;김동현;채철주;최한길;구현정
    • 현장농수산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69-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해조류 자원의 산업적 활용 소재로서의 가치 및 기능성 식품 및 사료 첨가 소재로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국내에 서식하는 10종의 해조류 열수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염증 활성 및 마우스 대식세포주와 어류 세포주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S. japonica 100, 1000 ㎍/mL과 G. tenax 1000 ㎍/mL 농도에서 마우스 대식세포주를 LPS로 자극하였을 때 생성되는 NO를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나머지 8종의 해조류 추출물은 실험 농도에서 LPS에 의한 NO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고농도에서 항염증 활성을 보인 S. japonica 및 G. tenax 열수추출물은 염증 인자를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 후보 소재로서 분획별 생리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 대상 해조류 추출물에 대한 안전성 기초 자료로서 마우스 대식세포 및 넙치 배아 유래 세포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 결과, P. tenera 고농도 (1000 ㎍/mL) 처리군을 제외하고 모든 해조류 추출물은 마우스 대식세포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모든 해조류 추출물에서 5000 ㎍/mL까지 넙치 배아유래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후속 연구를 통해 해조류의 다양하고 복잡한 구조의 생물 활성 화합물의 생체 내 메커니즘을 규명함으로써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로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며, 본 연구의 대상 10종의 국내 해조류 자원 중 S. japonica과 G. tenax은 잠재적인 천연 항염증제로서 안전한 식품 및 사료 첨가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홍조류, 갈조류, 녹조류를 이용한 바이오에탄올 생산 및 폐 해조류 슬러리의 중금속 생물흡착 (Ethanol Production from Red, Brown and Green Seaweeds and Biosorption of Heavy Metals by Waste Seaweed Slurry from Ethanol Production)

  • 선우인영;라채훈;권성진;허지희;김예진;김지우;신지호;안은주;조유경;김성구
    • KSBB Journal
    • /
    • 제29권6호
    • /
    • pp.414-420
    • /
    • 2014
  • The seaweeds with high carbohydrate ratio Gelidium amansii, Saccharina japonica and Enteromorpha intestinalis were used as red, brown, and green seaweeds, respectively. Thermal acid hydrolysis, enzymatic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were carried out using those seaweeds to produce ethanol. The ethanol concentrations from red, brown and green seaweed were 14.8 g/L, 11.6 g/L and 9.9 g/L, respectively. After the production of ethanol, the seaweeds were reused to absorb heavy metal. The maximum biosorption ratio was Cu(II) (89.6%), Cr(III) (82.9%), Ni(II) (66.1%). Cu(II) had the highest affinity with 3 waste seaweeds. Red seaweed was verified the most effective substrates to both process.

복합해조류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활성 (The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of Seaweeds Mixture Fermentation Extracts)

  • 강세원;김은지;정유린;고해주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327-334
    • /
    • 2018
  • 조류 소재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역, 다시마, 불등가사리 등 해조류를 혼합한 발효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보습의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유산균으로는 김치유산균 Lactobacillus sakei균주를 이용하였다. 복합해조류 발효추출물의 생리활성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양성대조군 보다 높은 저해효능을 보였다. 미백효능 실험에서는 3,4-dihydroxy-L-phenylalanine (L-DOPA), mushroom tyrosinase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발효 전보다 발효 후의 미백활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해조류 소재의 유효성분인 fucose에 대한 HPLC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용매조건에 대한 표준화 방법을 새로이 정립하였다. 이 연구는 복합해조류 추출물이 항산화, 미백 등 화장품 소재로서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The antihyperlipidemic effect of alginate-free residue from sea tangle in hyperlipidemic rats

  • Yim, Mi-Jin;Lee, Jeong Min;Choi, Grace;Cho, Soon-Yeong;Lee, Dae-S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2권11호
    • /
    • pp.27.1-27.6
    • /
    • 2019
  • Background: In order to assess the high value-added use of the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an animal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functional activities and key compounds present. In the animal study, sea tangle and the alginate-free residue demonstrated good anti-hyperlipidemic and anti-arteriosclerotic abilities. Results: The functional compounds in the alginate-free residue of the sea tangle were effectively extracted by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SFE). The optimum extraction temperature and pressure were 40 ℃ and 6500 psi (M1) in the SFE, a better method in comparison to the conditions of 70 ℃ and 4500 psi (M2), respectively. The anti-atherosclerotic effects of the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M1, M2) were investigated in Sprague-Dawley rats treated with poloxamer 407, Triton WR 1339, corn oil, and a high-fat diet. The M1 fraction reduced the serum lipid levels with greater efficacy than the M2 fraction. In the hyperlipidemic rats, treatment with M1 decreased the serum triglyceride (TG), total cholesterol (TC), and low-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LDL-C) levels when compared to the levels in normal rats. Conclusion: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reduces serum TC, TG, and LDL-C.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contains physiologically active components, such as fucosterol, that may exert beneficial effects in the prevention of atherosclerosis.

Protective effects of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against hyperlipidemic and oxidant activities in rats

  • Yim, Mi-Jin;Choi, Grace;Lee, Jeong Min;Cho, Soon-Yeong;Lee, Dae-Sung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0권9호
    • /
    • pp.22.1-22.6
    • /
    • 2017
  • The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from Goseong and the alginate-free residue of sea tangle were investigated in Sprague Dawley rats treated with a high-fat diet, streptozotocin, poloxamer 407, and bromobenzene. The alginate-free residue of Goseong sea tangle induced a significant reduction in triglycerides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as well as a significant increase in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evels. Alginate-free Goseong sea tangle residue reduced the activities of the phase I enzymes aminopyrine N-demethylase and aniline hydroxylase, which had been increas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bromobenzene. Pretreatment with Goseong sea tangle residue prevented a bromobenzene-induced decrease in epoxide hydrolase activity. Bromobenzene reduced hepatic glutathione content and increased hepatic lipid peroxide levels. Pretreatment with alginate-free Goseong sea tangle residue prevent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bromobenzene, but pretreatment with Goseong sea tangle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Goseong sea tangle residue exerted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that were higher than those induced by alginate-containing sea tangle. Therefore, the alginate-free residue may contain physiologically unknown active components, other than alginic acid, which may potentially be used to prevent hyperlipidemic atherosclerosis.

반응표면분석법을 활용한 문어(Octopus vulgaris) 조미김(Pyropia yezoensis)의 제조공정 최적화 (Processing Optimization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centrates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ooking Effluen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도엽;강상인;정우철;이정석;허민수;김진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11-320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optimize mixing conditions (adding amount of squid skin and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for concentrates of octopus Octopus vulgaris cooking effluent (COCE) and roasting conditions (temperature and time) of seasoned Laver Pyropia yezoensis with concentrates of octopus cooking effluent (SL-COCE)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The results of RSM program for COCE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_1$, squid skin amount; $X_2$, sea tangle amount)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_1$, odor intensity; $Y_2$, amino-N content; $Y_3$, sensory overall acceptance) for high-quality COCE were 0.53% (w/w) for $X_1$ and 0.48% (w/w) for $X_2$ for uncoded values. The results of the RSM program for SL-COCE showed that the optimum independent variables ($X_1$, roasted temp.; $X_2$, roasted time) based on the dependent variables ($Y_1$, burnt odor intensity; $Y_2$, water activity; $Y_3$, sensory overall acceptance) for high-quality SL-COCE were $344^{\circ}C$ for $X_1$ and 8 sec for $X_2$ for uncoded values. The SL-COCE prepared under optimum procedure was superior in sensory overall acceptance to commercial seasoned laver.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다시마 추출액 제조 (Production of Fermented Saccharina Japonica Extract with Enhanced GABA Content)

  • 허상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17-526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효소 가수분해 및 유산균 혼합발효기술을 이용하여 GABA 함량이 강화된 발효 다시마 추출물을 생산함에 있다. TLC 분석방법을 통해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균주 L. plantarum KCTC 21004, L. acidophilus KCTC 3164, L. sakei subsp. sakei KCTC 3598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균주를 이용한 유산균 발효의 특성은 배양 시간이 증가 할수록 적정 산도는 증가하였고 pH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GABA 생성능력이 우수한 3종의 균주 중 L. plantarum KCTC 21004이 GABA 함량이 136.4 mg/100g으로 우수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산균을 이용한 GABA 생산과정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