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OT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7초

A Study on the Management Innovation of KORAIL and Military Application -Focusing on the Direction of Innovation in the Military Medical Institution-

  • Choi, Dongha;Kang, Wonseok
    • Journal of East Asia Management
    • /
    • 제3권2호
    • /
    • pp.21-41
    • /
    • 2022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nagement situation of the Korea Railroad Corporation(KORAIL) through the management innovation process of the KORAIL and to suggest its implications for military application. Despite stable demand, the railway passenger industry had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abolish deficit routes due to public service obligations. In addition, the launch of the Suseo High-Speed Line has introduced a competitive system, posing a threat to corporate management. KORAIL wanted to overcome this crisis by innovating its management through the utilization of big data, improvement of the freight business, decentralization of demand, the introduction of tourism railroads, and development of station influence areas. By utilizing big data, KORAIL was able to optimize the railway fare system while reducing fixed costs spent on railway maintenance. It also drastically reduced the station of cargo and created a base station to pursue economies of scale. On the other hand, the existing exclusive station system was abolished to solve the chronic saturation of the downtown area, and the railway demand was moved to Gwangmyeong Station and Suwon Station to optimize the passenger supply. In particular, it developed a new business model called the tourism railway by developing the mountain Byeokjin Line, which was a chronic deficit line, and sought to improve liquid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e station influence area. Such a process of innovation at KORAIL suggests an appropriate direction in seeking ways to innovate the military medical institutions. First of all, the necessity of improving organizational immers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personnel structure suitable for the compulsory organization, while expanding the facilities of the division and corps, and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medical treatment and waiting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data-based medical system was suggested. Next, it was also discussed to integrate the National Health Medical College, which received accreditation as a medical facility through the designation of advanced general hospitals and is ultimately under discussion with the Medical Institution. Through this, we hope that the military medical institutions, which are facing various challenges, will overcome existing limitations and be re-lighted as innovative institution that provides comprehensive public health services.

Role of e-Learning Environments in Training Applicants for Higher Education in the Realities of Large-Scale Military Aggression

  • Nataliia Bakhmat;Maryna Burenko;Volodymyr Krasnov;Larysa Olianych;Dmytro Balashov;Svitlana Liulchak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3권12호
    • /
    • pp.167-174
    • /
    • 2023
  • Electronic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conditions of quarantine restrictions of COVID-19 have become a common phenomenon for the organization of distance educational activities. Under the conditions of Russian aggression, Ukrainian proof of their use is unique.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nalyze the role of electronic educational environments in the process of training applicants for higher education in Ukraine in the realities of a large-scale war. General scientific methods (analysis, synthesis, deduction, and induction) and special pedagogical prognostic methods, modeling, and SWOT analysis methods were used. In the results, the general properties of the Internet educational platforms common in Ukraine, the peculiarities of using the Moodle and Prometheus platforms, and an approximate model of the electronic learning environment were discussed. The reasons for the popularity of Moodle among Ukrainian universities are analyzed, but vulnerable elements related to security are emphasized. It was also determined that the high cost of Prometheus software and less functionality made this learning environment less relevant. The conclusions state that the military actions drew the attention of universities in Ukraine to the formation of their own educational platforms. This is especially relevant for technical and military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국제보건에서 한의약 공적개발원조의 현재와 지속가능한 발전전략 (Current Statu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in Global Health)

  • 황예은;이승현;김형우;남효주;이승언;백유상;채한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57-270
    • /
    • 2024
  • Objectives: Korea has a unique history of being both a recipient and a donor of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expects Korea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developing countries by utilizing this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TKM) seeks to contribute to global health, however the concept of ODA has been unclear and there has been no clear strategy and sustainable initiatives.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ODA and its application in global health, including business objectives, scale, evaluation principles, and development strategies. Additionally,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globalization projects and conducted a SWOT analysis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the TKM sector. Based on these findings, we redefined the concept of ODA for TKM and proposed suggestions for its development. Results: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key ideas for TKM ODA. It should prioritize the improvement of primary healthcare in recipient countries, aligning with the international evaluation criteria of the SDGs. Secondly, TKM's 70 years of experience can be leveraged to enhance both the competence and economic benefits of recipient countries' medical systems. Based on these concepts, a TKM ODA development model was proposed, comprising two core visions, three development strategies and goals, and six core values. Conclusion: This study systematically examined the TKM in global health and suggested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KM ODA. Through its expansion, TKM could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global traditional medicine and its overall engagement in healthcare.

세계유산 자연성지 잠재지로서의 부안군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경관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Gyeokpo-ri, Buan-gu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Sacred Natural Site)

  • 최재웅;김동엽;이창환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3-114
    • /
    • 2015
  • 유네스코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전세계의 생물다양성 보전, 문화다양성 보호를 위해 '자연성지' (특정 민족이나 공동체에게 특별한 영적 중요성을 갖는 육상 또는 해상의 지역) 개념을 정립하였다. 수 백년 이상의 당산제 역사를 갖고 있는 농어촌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한국을 대표하는 '자연성지'라고 할 수 있다. 부안군 격포리 죽막마을은 작은 해안마을이지만, 국내최대의 고대 해양 제사터가 있는 중요한 곳이다. 부안군청에서는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에 대해 세계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부안 죽막동 제사유적' (5~6세기, 삼국시대 백제)이 마을 당집(수성당)을 둘러싸고 있는 당산숲 안에서 발굴된 사실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연구는 부안 격포리를 중심으로, 인근의 대리, 내소사 석포리, 고창 동호리 등 네 곳 당산숲의 경관 특성과 그 문화를 고찰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 네 곳의 당산숲을 연계하여, 세계유산-'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고찰하였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은 저 마다의 경관 특징을 간직한 채 생활문화로서의 전통이 잘 남아있다. 격포리 일원 당산숲의 자연성지로서의 잠재력과 제한요인을 검토하기 위한 SWOT 분석 결과, WT(약점-위협)전략을 중점전략으로 선정하였다. 그 이유는 현재 당산숲에 대한 효과적인 관리체계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 이들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먼저, 국내에서 이들 당산숲으로 이루어진 경관의 특성이 밝혀지고, 자연성지 보호지역으로 지정되기 위한 선행 조치가 이루어져야 한다.

손자병법의 전략과 그 현대적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rt of War's strategy and its modern application)

  • 송용호;전명용
    • 동양고전연구
    • /
    • 제73호
    • /
    • pp.249-279
    • /
    • 2018
  • 본 논문은 손자병법의 '전략'을 분석하고, 이를 현대사회, 특히 기업경영에 접목하는 시도를 통해 손자병법의 현대적 응용가치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군대는 전쟁에서 피해와 희생을 최소화하고 빠른 시간 내에 승리를 얻기 위해 '전쟁전략'을, 기업은 최소비용으로 최대이윤을 내기 위해 '경영전략'을 사용한다. 손자병법의 '세(勢)', '응변력(應變力)', '궤도(詭道)'로 구성되는 전략의 3요소는 현대 기업경영에서의 '내부자원 분석', '외부환경 분석', '정보관리'와 연결된다. 전략의 수립단계에서 손자병법에서는 '선지(先知)', '묘산(廟算)', '군쟁(軍爭)'을 포함하는 '선승전략(先勝戰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현대 기업경영에서 '선지'는 3C분석 중 경쟁자분(competitor)과 벤치마킹으로, '묘산'은 SWOT분석과 4P's분석으로, '군쟁'은 포지셔닝전략과 시장선점전략으로 표현되고 있다. 전략의 실행단계에서 '기습전략(奇襲戰略)', '허실전략(虛實戰略)', '분합전략(分合戰略)'은 현대 기업경영에서 '기습전략'은 차별화전략과 집중화전략으로, '허실전략'은 정보관리와 합리적 포지셔닝으로, '분합전략'은 다각화전략, 집중화전략, 변화관리, 본원적 경쟁전략, 시너지효과 등으로 발현되고, 전략의 결실은 손자병법에서는 '전쟁의 승리', 현대 기업경영에서는 '경쟁우위'와 '이윤극대화'로 나타난다. 이처럼 손자병법의 전략은 표현과 방식에 있어서 약간의 차이가 있을 뿐 현대 기업의 경영전략과 궁극적으로 서로 상통하고 있어, 기원전 500년경에 쓴 병법서이지만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과 치열한 경쟁 속에 놓여 있는 현대의 기업들과 현대인들에게 경쟁의 원리와 승리의 비법을 깨닫는데 필요한 '큰 지혜'를 제공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광고 및 미디어 산업 분야의 인공지능(AI) 활용 전략 :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Artificial Intelligence Strategy for Advertising and Media Industries: Focused on In-depth Interviews)

  • 차영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02-115
    • /
    • 2018
  • 글로벌 경제의 저성장 기조와 생산성 하락으로 인해 신(新)성장 동력이 필요한 가운데 주요국들이 산업경쟁력 강화 전략을 추진하면서 '4차 산업혁명'이 촉발되고 있다. 그 중 특히 AI는 제 4차 산업혁명의 기존 프레임의 핵심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AI 기술은 빠른 속도로 광고, 미디어 산업에 적극적으로 도입될 것이다. 그러나 급변하는 AI 시장에서 광고, 미디어 산업이 어떻게 활성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방향을 찾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AI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AI 전문가 10명과의 심층인터뷰를 통해 AI가 광고 및 미디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AI 시장의 거시적인 면을 파악하기 위해 P(정치), E(경제), S(사회), T(기술) 분석을 하였다. 또한 AI 산업의 S(강점), W(약점), O(기회), T(위협)분석을 통해 광고, PR 및 미디어 분야의 AI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연구결과 광고, 미디어 분야에서 AI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먼저 국가적 차원의 제4차 산업 혁신 환경의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초연결 사회 및 사회 리스크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산업계와 학계가 동시에 AI를 활용한 광고 및 미디어 산업에 대한 영향을 진단하고 기술적 진보에 따른 미래 예측을 하고 방향을 설정하는 동시에 AI 기술개발을 위해 적극적 투자 및 획기적인 정책마련이 시급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제 막 도약기에 있는 AI의 광고 및 미디어 산업의 미래예측 및 활성화 방안을 위한 학술적, 실무적인 면에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퍼지(평균지수변환)DEA모형과 교차효율성모형을 이용한 클러스터링측정에 대한 실증적 비교연구 (An Empirical Comparative Study on the Clustering Measurement Using Fuzzy(Average Index Transformation) DEA and Cross-efficiency Models)

  • 박노경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85-11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아시아 컨테이너항만들 간의 클러스터링 추세를 분석하기 위해서 퍼지(평균지수변환)DEA모형과 교차효율성모형에 대해서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아시아 38개 컨테이너항만들의 12년간 자료를 4개의 투입요소(선석길이, 수심, 총면적, 크레인 수), 1개의 산출요소(컨테이너화물처리량)를 이용하여 국내항만(부산, 인천, 광양항)들이 어떤 항만들과 클러스터링 해야만 하는지에 대한 측정방법을 실증적으로 보여 주고 분석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퍼지(평균지수변환)DEA모형에 의한 클러스터링 추세분석에서 국내항만들은 클러스터링을 통해서 효율성을 증대[부산항(56.29%), 인천항(57.96%), 광양항(66.80%)]시 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자료를 이용한 교차효율성 모형을 이용한 클러스터링분석에서는 부산항(홍콩, 코오베, 마닐라, 싱가포르, 카오슝, 림찬방, 방콕항), 인천항(아카바, 담만, 카라치, 모하메드 빈 오아심, 다바오), 광양항(담만, 요코하마, 나고야, 킬롱, 카오슝, 방콕항)과 각각 클러스터링을 해야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퍼지(평균지수변환)DEA모형에 교차효율성 모형을 접목시킨 모형에서는 부산항은 71.38%, 인천항은 103.89%, 광양항은 168.55% 증가가 이루어 졌다. 넷째, 효율성 순위를 검정한 윌콕슨부호순위검정에서는, 세 가지 모형사이의 효율성 순위에 대해서는 약 66%-67% 수준에서 순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이 갖는 정책적인 함의는 첫째, 항만정책입안자들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두 가지 모형과 접목시킨 모형을 항만의 클러스터링 정책에 도입하여 해당항만이 발전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해 나가야만 한다는 점이다. 둘째, 본 논문의 실증분석결과 국내항만들의 참조항만, 클러스터링항만들로서 나타난 아시아항만들에 대하여, 그들 항만들의 항만개발, 운영에 대한 내용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도입하여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의 북극항로 개발사업, 일도(一道)의 특징과 시사점 (Analysis of China's Arctic Route Development associated with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 송민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103-115
    • /
    • 2018
  • 지구 온난화에 따른 빙하의 해빙으로 새로운 물류 경로, 자원 개발 등 이론적으로 거론되어왔던 북극항로의 잠재 경쟁력이 점차 현실화되고 있으며, 2017년 6월 중국이 북극항로를 일대일로 사업에 편입함에 따라 북극항로에 대한 국제 사회의 관심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점에서 북극항로의 특징, 중국의 북극항로 개발, 일대일로 편입관련 기대효과 및 한국 관점의 시사점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했다. 북극항로는 시설 및 정보 인프라 환경이 매우 열악하며, 경쟁항로 대비 높은 비용조건 등으로 아직 상업적 운항에 경제성이 부족하고, 북극지역 탐사 및 개발에 대규모 자금이 장기간 소요되어 주요 국가는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하지만 북극항로가 일대일로 사업에 편입되면서 AIIB 등 일대일로 자금 동력이 활용될 수 있는 기회가 커졌으며, 이를 통해 중국 및 협력 국가의 북극항로 개발이 한층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한국은 북극항로를 통해 일대일로 주요 경로에 포함되었고, 북극항로의 핵심 지점에 위치한 지리적 위치 및 조선 분야의 기술력 등 강점을 바탕으로 중국 및 러시아와 다양한 협력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던트 양성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 이규녀;박기문;이병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8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요구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학교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전문계고 교원 연수 과정에 참여한 전문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향후 전문계고의 '변화와 생존'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교장 교감과 교사가 우선적으로 변화될 때 성공적인 학교 컨설팅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의 교육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방법 및 절차', '공감대 형성 기법', '컨설팅을 통한 혁신 사례'와 같이 컨설팅 실무와 사례, 그리고 경험 공유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환경 변화와 컨설팅의 필요성', '기업 및 전문계 고교의 컨설팅 현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학교 현황과 문제 진단(SWOT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실무와 경험 분야의 교육 내용과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다양한 사례 중심의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융합인재교육의 관점에서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선 방안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Enhancement Program for Teachers in Charge of Energy and Climate Change Education Based on STEAM Perspectives)

  • 이성희;신동훈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6권1호
    • /
    • pp.22-3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SESE(Save Earth Save Energy) 나라' 지도자 직무연수 프로그램 및 연수 참여자를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담당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개선방안을 융합인재교육적 관점에서 제시하는 것이다. 연수 프로그램을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연수 담당교사의 전문성 요소별로 분석하였고,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의 전문성 신장도를 사전 사후 설문검사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연수 대상자들과 면담을 통해 연수의 SWOT 분석을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연수 개선방안을 논의 하였다. 첫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융합적 차원에서 연수 프로그램이 구성되어야 한다. 둘째, 융합교육과 연계된 체험 활동을 하고 이에 관한 논의를 풍부히 할 수 있는 교사 교류의 시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집중 연수를 통해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도록 60시간 이상의 지속적인 연수가 필요하다. 넷째, 원격연수를 활용하여 연수의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다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전문성 요소추출을 바탕으로 연수 프로그램이 계획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연수를 준비해야 한다. 여섯째, 에너지 및 기후변화 교육 교사 연수는 대부분 학교급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