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던트 양성에 대한 교육 요구 분석

  • 이규녀 (충남대학교 대학원) ;
  • 박기문 (충남대학교 대학원) ;
  • 이병욱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기계.금속공학교육과)
  • Received : 2009.01.30
  • Accepted : 2009.03.20
  • Published : 2009.06.30

Abstract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ing and educational demand for securing professionalism from school consultant training, to offer basic information for training school consultant. The survey was intended for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 training cours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ocational high school teachers have sympathy with the necessity of school consulting for 'change and survival' of vocational high school in the future, and recognize that successful school consulting will be possible when, in the first place, teachers and principal/deputy principal who are able to show leadership change for their recognition.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educational demand for school consultant training, demand for consulting business and case and experience area, like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ympathy creation technique', 'Case of innovation through consulting', was higher than for consulting theory. Third, as the result of surveying difference of importance recognition of school consultant training contents,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Environmental change and necessity of consulting', 'Consulting status of domestic corporation and vocational high school', 'Consulting method and procedure', 'School status analysis techniq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showed higher average of importance than those who don't have experience. In conclusion, rather than consulting theory, education for consulting business and experience area and various cases-centered school consultant training program according to experience of joining school consulting should be developed.

이 연구의 목적은 전문계고 교사들의 학교 컨설팅에 대한 인식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에서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교육 요구가 무엇인가를 분석하여 학교 컨설턴트 양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설문조사 대상은 전문계고 교원 연수 과정에 참여한 전문계고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계고 교사들은 향후 전문계고의 '변화와 생존'을 위하여 학교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더불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교장 교감과 교사가 우선적으로 변화될 때 성공적인 학교 컨설팅이 가능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의 교육 요구 조사를 분석한 결과,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방법 및 절차', '공감대 형성 기법', '컨설팅을 통한 혁신 사례'와 같이 컨설팅 실무와 사례, 그리고 경험 공유에 대한 교육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내용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본 결과, '환경 변화와 컨설팅의 필요성', '기업 및 전문계 고교의 컨설팅 현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학교 현황과 문제 진단(SWOT 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험이 있는 교사들이 경험이 없는 교사들보다 중요도의 평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컨설팅 이론보다는 컨설팅 실무와 경험 분야의 교육 내용과 학교 컨설팅 참여 경험에 따라 다양한 사례 중심의 학교 컨설턴트 양성 연수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2009). 전문계 고교 혁신을 위한 컨설팅 연수 과정 교재. 교육과학기술부 충남대학교
  2. 김진수(2008). 공업계열 고등학교의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학교컨설팅 모델 및 사례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 33(2),1~25
  3. 박동열 외(2008). 전문계고 기능 재정립 방안 수립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4. 박상완(2008). 학교 컨설턴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과제. 교육행정학연구,26(2), 343~362
  5. 이용순 외(2005). 실업계 고등학교 정체성 확립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6. 유균상(2002). 학교평가의 방향: 학교발전을 위한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7. 정수현(2008). 대화 개념에 근거한 학교컨설팅 방법론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26(2), 391-414
  8. 진동섭(2003). 학교 컨설팅: 교육개혁의 새로운 접근방법. 학지사
  9. 진종섭, 김효정(2007). 학교 컨설팅의 원리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1), 25~50
  10. 홍창남(2002). 학교 경영 컨설팅의 개념 모형 탐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Borich. G. D.(1980). A Needs Assessment Model for Conducting Follow-Up Studi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1(3),39~42 https://doi.org/10.1177/002248718003100310
  12. Fullan, M.(2001). The New Meaning of Education Change(3rd Ed.). teachers College Press
  13. Mulford, B.(2003). School Leaders: Challenging Roles and Impact on Teacher and School Effectiveness. OECD commissioned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