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2초

오공(蜈蚣) 추출물의 태아 기형 및 모체 독성 마우스 시험 (Embryotoxic and Teratogenic Effects of Scolopendra Water Extract in Mice)

  • 이정민;송준호;이숭인;기현준;신인식;김성호;문창종;김중선;이지혜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8
    • /
    • 2023
  • Objective : Scolopendra, a dried body of Scolopendra subspinipes mutilans, is one of Korean medicine. Several reports revealed that Scolopendra has therapeutic effects for arthritis, neuroinflammatory diseases and neuropathic pain. However, the fetal adaptive response or teratogenicity associated with administration of Scolopendra is unclea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tal toxicity effects that were induced following oral administration of Scolopendra water extract (SWE) in pregnant mice. Methods : The pregnant mice were administrated SWE at dosed of 0, 100, 500 and 1000 mg/kg/day during gestation day 0-18. The mortality, body weight and clinical signs of pregnant mice were observed throughout experimental period. Also, the mortality and malformations in foetus were examined. Results : No meaningful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mortality and clinical signs of pregnant mice between the normal control group and SWE administrated groups. Additionally,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in fetal mortalities, and malformations by SWE administr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exposure to SWE during pregnancy at oral dosages up to 1000 mg/kg/day did not induce teratogenic toxicity in regard to fetal mortality and morphology.

황금(黃芩)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s of Scutellariae Radix)

  • 오원우;조수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67-74
    • /
    • 2005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if Scutellariae Radix have protective effect against cell injury induced by various toxic agents in rat kidney slices. Methods : Water(SWe) and methanol(SMe) extracts were prepared for this experiment. Cell injury was estimated by measuring lactate dehydrogenase(LDH). Lipid peroxidation was examined by measuring malondialdehyde. Results : SMe prevented the LDH release by CCl4, menadione, tert-butyl hydroperoxide and mercury treatment in vitro in kidney slices, but SWe prevented the LDH release by CCl4 and mercury. SMe also prevented reduction in GSH by CCl4 an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mercury. Conclusions : Thus, SMe may have more powerful efficacy on anti-oxidative effects when compared with SWe. And further studies have to be followed concerned with procedure of extraction of SMe and its change of effects.

  • PDF

원격탐사 기반의 적설량 측정에 관한 오차요인 분석 (Factors Affecting Remotely Sensed Snow Depth)

  • 변규현;최민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63-66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수많은 자연재해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지적인 폭설과 관련한 자연재해는 재산상의 피해뿐만 아니라 수많은 인명피해를 야기하고 있다. 또한 적설은 단순히 방재 차원을 넘어서 물의 순환과정을 해석하는 데에도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수문학적 측면에서 적설은 인근 하천유량 및 토양수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인자로서 이에 관한 세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의 접근 방식을 넘어서 더욱 능동이고 즉각적인 형태의 적설 관측의 필요성이 대두 되고 있는 시점이다. 지점 관측의 한계성을 보완하기 위해 인공위성에 탑재된 마이크로파 센서를 활용한 적설 관측시스템이 제안되어 이에 대한 검증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NASA의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Earth Observing System (AMSR-E)는 마이크로파 센서로서 전 지구적인 물과 에너지 흐름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중에는 적설 관측을 위하여 AMSR-E의 SNOW WATER EQUIVALENT PRODUCT (SWE)를 이용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내에서의 관측소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AMSR-E SWE에 대한 검증작업을 실시하였으며, 현재 인공위성을 활용한 적설관측 체계의 오차를 유발하는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 PDF

SWE 를 적용한 센서 웹 테스트베드 구축 (A Study on Sensor Web Testbed adopted in Sensor Web Enablement)

  • 안우석;정용훈;김기형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33-735
    • /
    • 2011
  • 최근 센서를 이용한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그 활용가치도 높아짐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서의 센서네트워크 망 구축의 수요가 많아지고 있다. 각각 독립적은 구조를 가지는 센서 네트워크 망의 통합적이고 확장 가능한 형태의 모니터링과 제어를 위하여 OGC 에서는 Sensor Web Enablement (SWE) 표준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이를 적용한 사례가 없다. 또한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OGC 에서 제안한 국제표준인 SWE 에 대해 분석하고 실제 서비스 제공 가능한 형태로 구축하였다. 본 구축은 MVC 모델을 기반으로 오픈 플랫폼으로 개발 되었다. 또한 클라이언트를 플렉스로 개발하여 플래시를 지원하는 다양한 브라우저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물리 정보 신경망을 이용한 1차원 천수방정식의 해석 (Exploring the power of 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for accurate and efficient solutions to 1D shallow water equations)

  • 응웬반지앙;응웬반링;정성호;안현욱;이기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2호
    • /
    • pp.939-953
    • /
    • 2023
  • 천수방정식(shallow water equations, SWE)은 물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지배방정식으로 수리수문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비선형 연립방정식으로 일반적으로 수치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여러 수치 해석법은 격자망 생성에 민감하며 복잡한 지형에서의 해석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물리 정보 신경망(Physics-Informed Neural Networks, PINNs)을 사용하고자 하였다. PINNs은 물리 법칙을 신경망에 직접적으로 도입하여 지배방정식을 해석하고자 하는 기법이며 지배 방정식에 대한 물리적, 수학적 정보를 손실함수로 변환하여 최적화하고 해를 산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배방정식을 PINNs 구조 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신경망 구조, 학습 전략, 데이터 생성 기술과 같은 포괄적인 방법론을 제시하고 결과를 ANN 기법과 비교하였다. 물리적 사전지식이 반영되지 않은 ANN과 달리 PINNs은 천수방정식에 대하여 매우 정확한 수치적 솔루션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INNs은 지배방정식의 수치해석적 연구에 많은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정확하고 효율적인 천수방정식의 솔루션을 위한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GC 기반의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 분석 연구 (The research of Sensor network service analysis based on OGC)

  • 김남훈;함종완;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774-780
    • /
    • 2010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은 u-city, u-health 등과 같은 영역에서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유비쿼터스 사회에서 u-life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인프라이다. 따라서 u-Life의 핵심 기술인 USN 기술에 대한 국내 표준화 확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USN에 대한 표준 현황은 센서 노드 구현을 위한 기술과 센서 노드들 사이의 효율 적인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및 기존의 망과 연동을 위한 기술 표준 및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센서 네트워크와 USN 응용을 위한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의 통합관리, 센싱 데이터 관리 및 USN 데이터베이스 구조 정의 등과 같은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 및 연구는 아직 까지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내 센서 네트워크 서비스의 표준 개발 및 센서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 기술을 위해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를 구성하는 관련 표준 분석과, 국내 TTA(Telecommunications Technology Association)관련 표준과 상호 연관성을 통하여 OGC 표준의 국내 도입 가능성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수원 511호와 일품쌀의 항산화성분 및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70% Ethanol Extracts on Suweon-511 and Ilpum Rice)

  • 우관식;정응기;서세정;양창인;정헌상;김기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0호
    • /
    • pp.1223-1230
    • /
    • 2008
  • 2006년 새롭게 육성된 계통명 수원 511호 품종에 대한 이 용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항산화성분과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수원 511호에서 318.17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222.16 $\mu$g/g)보다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수원 511호에서 167.21 $\mu$g/g으로 나타나 일품쌀 (100.89 $\mu$g/g)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alpha$- 및 $\gamma$-tocopherol 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4 및 1.17 mg/100 g을 나타낸 반면 일품은 각각 0.06 및 0.80 mg/100 g으로 수원 511호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총 tocopherol 함량 또한 수원 511호 가 1.31 mg/100 g으로 일품(0.86 mg/100 g)에 비해 높았다. $\alpha$-, $\gamma$- 및 $\delta$-tocotrienol의 함량은 수원 511호의 경우 0.10, 0.43 및 0.02 mg/100 g을 나타냈으며, 일품은 각각 0.09, 0.43 및 0.03 mg/100 g으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 및 일품쌀의 $\gamma$-oryzanol 함량을 측정 한 결과 각각 76.58 및 7.77 $\mu$g/g으로 수원 511호가 약 10배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 항산화력은 수원 511호와 일품쌀 70% 에탄올 추출물의 총 항산화력은 각각 16.00 및 9.73mg AA eq/g으로 나타났으며, 환원력은 5 mg/mL의 농도에서 수원 511호 및 일품쌀 모두 0.18을 나타내었고 20 mg/mL의 농도에서 각각 0.61 및 0.58을 나타내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 511호의 DPPH radical, hydroxyl radical, superoxide radical 및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은 5 mg/mL의 농도에서 각각 42.00, 21.59, 23.27 및 17.13%로 나타났으며, 일품은 30.10, 22.37, 25.18 및 18.08%로 두 품종 간에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새롭게 육성된 수원 511호 쌀은 일품쌀에 비해 항산화성분이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항산화활성 또한 약간 높은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USN 응용 서비스를 위한 서비스 아키텍처의 설계 및 구현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vice architecture for USN application service)

  • 신극재;김용운;유상근;김형준;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015-1022
    • /
    • 2010
  • USN(Ubiquitous Sensor Network) 환경은 상황 인식 컴퓨팅을 통해 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된 정보를 응용 서비스들에게 전달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러나 국내 서비스 환경은 응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를 처리하는 제공자간의 표준 서비스 플랫폼 아키텍처 연구는 미약한 수준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센서 응용 및 미들웨어 부분에서의 표준화된 플랫폼 기술을 위해 OGC(Open Geospatial Consortium)의 SWE(Sensor Web Enablement)를 구성하는 관련 표준 분석 및 국내 표준 연구 분석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아키텍처 제안 및 기존 국내 시스템과의 연동을 위한 제공자 측면의 각 콤포넌트 설계 및 구현을 하였다.

GeoSensor의 공간연산을 확장한 Spatial-Sensor Observation Service (Spatial-Sensor Observation Service for Spatial Operation of GeoSensor)

  • 이혁;이연;정원일;배해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35-44
    • /
    • 2011
  • 과학과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에서 다양한 변화를 만들고 있다. 특히 센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실시간 모니터링과 효율적인 주변 환경 분석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는 조직별 자체 정의된 프로토콜과 아키텍처를 사용함으로써 네트워크 간의 통신에 추가적인 비용을 발생시켰다. 표준화된 센서 네트워크의 부재로 인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OGC에서는 표준화된 센서 및 센서 시스템에 대한 접근, 조작 등을 위해 2007년 SWE v1.0과 2011년 SWE v2.0을 발표했다. SWE는 다양한 하위 컴포넌트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중 센서 데이터 획득을 위한 SOS에 대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SOS들은 GeoSensor의 공간연산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매번 클라이언트에서 공간연산이 구현 및 실행됨으로써 적은 리소스를 갖는 클라이언트에 많은 부하를 초래하고 SOS의 용이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 및 이동형 GeoSensor을 위한 spatialFilter와 spatialFinder 공간 연산을 확장한 S-SOS를 제안한다. 제안된 S-SOS를 사용하여 기존의 기구축된 SOS를 수정하지 않고 필요에 의해 최소한의 추가로 공간 연산을 지원할 수 있는 아키텍처를 지원하며 이에 필요한 공간 연산의 질의 표현을 설명한다. 따라서 S-SOS는 다양한 위치기반 서비스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