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CW convention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38초

Proposals for the New Maritime Education System in Asian Countries

  • Park, Young-Soo;Inoue, Kinzo;Park, Sung-Yong;Park, Jin-Soo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693-698
    • /
    • 2008
  • The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is executed in Asian countries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 keeping for Seafarers(STCW). However, mainly basic training and education takes in maritime universities, because this convention is minimum requirements to become junior mariner. So, until now researches have not developed to the stage of discussing how maritime universities of advanced shipping countries should pursue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the new eras. Korea and Japan as the leading shipping countries in Asia, need to take initiatives in building a new education system in order to foster the next generation maritime expert. To enhance the professional abilities of maritime technologists in the new era, element design of science and technology relating to maritime issues and a new education system based on an amalgamation of maritime education and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education were discussed.

실습선 교육 기간과 승선 학기에 따른 해기능력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Maritime Ability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and Boarding Semester)

  • 김승연;김문주;박유진;이윤석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6-664
    • /
    • 2020
  • 본 연구는 실습 교육기간에 따른 실습생의 STCW 협약에 의거한 해기능력 향상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H대학교 실습선에 승선한 항해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50개의 평가항목에 대하여 자기평가 방법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기본적인 이해도를 평가하고, 승선 기간의 경과에 따라 이러한 이해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심층분석을 실시하였다. 해기기능과 해기능력의 평가시기에 따른 이해도 변화 분석 결과, 해기기능의 경우 1학기와 2학기 승선그룹 모두에서 3차 평가로 갈수록 이해도가 대체로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학기 승선그룹별로 이해도가 낮은 분야가 도출되었으며, 실습선 교육 과정에 저조한 해기능력에 대한 추가적인 학습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로 도출된 실습선 교육 기간에 따른 해기능력 향상 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는 추후 실습선 및 해사대학 교육 과정 개편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선박 전자기관사를 위한 교육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Training Model for Electro-Technical Officers on Ships)

  • 류기탁;이윤형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767-7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e a training model and to make a syllabus for electro-technical officers(ETOs) on ship.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firstly we study on qualification for electro-technical officers and also examine the foreign, domestic cases. Secondly, through the STCW convention and the IMO Model Course 7.08, we have compared the standards of competence for officers in charge of an engineering watch and ETO, and analyze the additional standards of competence to acquire the ETO's licens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we will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training model that officers in charge of an engineering watch must complete in order to obtain an ETO's license. This paper is expected to be useful i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preparing for training course.

An Analysis of Major Maritime Casualty from Bridge Resource Manage

  • Kim, Thi Thu Lan;Jeong, Jae-Yong;Jeong, Jung-Sik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15
    • /
    • 2011
  • This report represents analysis of the maritime casualty in terms of Bridge Resource Management. We evaluate the attitudes and knowledge of bridge officer regarding human factors issues that have been identified as causal to mishaps in high-risk situations. So to reduce human errors our goal is to establish effective officer resource management (ORM) program which is based on all subjects for cadets in IMO model course. In harmonization with STCW(The International Convention on Standards of training, Certification and Watch-keeping for Seafarers), as the result, the curriculumss in the maritime education institutions is surveyed to improve our education system and then reduce the human errors by mariners at sea.

  • PDF

선원법 개정에 따른 선원안전교육 수요분석 및 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Demand and Seating Capacity for Maritime Safety Training in Accordance with the Seafarers Act Revision)

  • 배석한;이진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671-678
    • /
    • 2016
  • 이 연구는 과거 안전교육 실적, 선원통계연보, 안전교육대상자, 안전교육증서의 유효기간, 선원의 취업률 및 정년퇴직 연령등의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교육대상인원을 예측하고, 선원안전교육 수행 기관의 교육 수용능력을 분석하여 안전교육 수요증대와 집중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향후 5년간 연평균 안전교육 수요는 선원법 기준으로 약 10,444명으로 예상되며, 현재 안전교육기관이 수용할 수 있는 적정 인원은 연평균 7,280여명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선원법 개정에 따른 안전교육 수요증대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안전교육시설을 확충하여 안전교육 수용능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선박 조종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알파 레이더교육에 대한 효과 분석 (Analyzing Effects on the ARPA & RADAR Training By Ship Handling Simulation)

  • 신대운;박영수;김상환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5-97
    • /
    • 2015
  • 자동충돌예방 교육과 레이더시뮬레이션 교육은 STCW 협약 상 지정된 교육으로 항해사들이 항해사로 승선 시 필수적으로 수료해야 하는 교육이다. 최근에는 지정교육기관기준에 의거 교육과정 및 필요시설의 요건을 권고규정으로 두고 있어 각 교육기관은 그에 맞추어 시뮬레이션 수업을 위한 장비, FMSS(Full Mission Simulator System)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는 도입 후부터 현재까지 FMSS를 이용해서 이루어지고 있는 알파/레이더/시뮬레이션 교육이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재학생을 대상으로 1년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 응답자들은 수업 전과 비교하여 2.13배 능력이 향상 되었다고 답변하였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뮬레이션 수업 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Collaboration to Enhan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hiphandling Simulators

  • Shi, Chaojian;Chen, Jinbiao;Xiao, Baojia;Ding, Baocheng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GPS/GNSS Vol.1
    • /
    • pp.459-464
    • /
    • 2006
  • It has been well proved that shiphandling simulators are efficient and useful facilities for training and education of cadets and seafarers. Most of the maritime universities and many maritime training institutes all over the world have installed shiphandling simulators, which play important roles in maritime education and training. However, most of the Shiphandling simulators are standalone facilities with diversities on system architectures, layouts and functions. STCW78/95 requires simulators used for simulator-based training shall be suitable for the selected objectives and training tasks. To ensure the shiphandling simulator facilities meet the requirements of STCW convention and other expanded applications, collaborated research and coordination are needed in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hiphandling simulators. Performance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for shiphandling simulator systems considering the advanced research needs as well as the needs in education, training, and assessment of competence. Standardizing and exchanging shiphandling mathematical models will improve critical performance of the system. Cooperated research on model course and training assessment approaches will enhance the training standard. In addition, the rapid spread of the internet technology has shown a promising future of application of shiphandling simulators through internet.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on internet based integration of multiple shiphandling simulators. A multi-agent based system, including necessary hardware, has been developed. Collaborated operation of the system can be of benefit in filling the gaps of the technical and operational level and methodology between maritime universities, enhancing mutual understanding of the navigation customs and culture background among cadets and seafarers from different countries, facilitating communication and maritime English training, and extending the functions of shiphandling simulators.

  • PDF

해양산업 디지털전환을 위한 사이버보안 전문 인력양성 방안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ybersecurity experts and training equipment for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maritime industry)

  • 유진호;임정규;박개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37-139
    • /
    • 2022
  • 해양산업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사이버 위협이 증가함에 따라 선박 및 항만 종사자들에 대한 사이버보안 교육훈련과 전문인력양성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선원의 교육훈련은 IMO의 STCW 협약과 연관되어 교육훈련 관리 및 자격증명이 이루어져야 하고, 선박과 항만의 OT시스템 특성을 반영한 사이버보안 교육훈련 시스템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MO 사이버 리스크 관리 가이드라인 기반 훈련모델 개발, 해양산업 위협의 특성 기반 사이버보안 훈련모델 개발, AR/VR 및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이버보안 훈련 효과 향상을 목표로 해양산업 디지털전환에 따른 사이버보안 전문인력 양성 시스템 개발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구명뗏목에서의 비상대응 심폐소생술의 효과 분석 및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Analysis and Improvement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on Life-rafts)

  • 이창우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33-440
    • /
    • 2019
  • 선박, 해양플랜트, 해상풍력 등과 같은 해양에서의 근무 환경은 고립되어 있고 거친 해상에 바로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높은 위험성을 안고 있다. 이에 해양에서 근무를 하는 모든 종사자에게는 비상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요구되고 있고 비상대응업무를 수행하는 자에 대해서는 STCW협약, OPITO Safety Training Standard 등의 관련 규정에 근거하여 자격 증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고립된 상황에서 해양종사자들의 응급처치기술은 필수 요건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선박을 포함한 해양구조물에서 비상탈출 시 사용하게 되는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은 구명뗏목의 바닥이 고무재질로써 충분한 가슴압박이 힘들어 응급처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피로도와 정확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은 조파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안전훈련센터에서 15명의 응급처치강사를 표본으로 바다와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여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 실험을 하였다. 실험 결과, 강의실에서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 평균은 99.6 %였으나 구명뗏목의 여러 환경에서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는 84 %였다. 두 장소의 심폐소생술 정확도에 대한 t 값의 절대값이 임계값의 절대갑보다 크기 때문에 구명뗏목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낮아짐을 검증하였다. 파도를 0.3미터 형성한 경우에는 구명뗏목의 심폐소생술의 정확도가 77 %로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논문을 통해 구명뗏목에서의 심폐소생술은 2인 1조로 실시할 것을 제시하며 최근 활용되고 있는 흉부 압박 자동화 장비를 활용할 것을 추천한다.

선박보안교육: 선원의 보안인식과 보안성과에 미치는 영향 평가 (Maritime Security Training: Evaluation of the Impact on Seafarers' Security Awareness and Security Performance)

  • ;조소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1-211
    • /
    • 2019
  • 선박의 안전과 보안의 유지는 공급망의 각 단계에서 화물운송 및 여객의 인명 안전을 보장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ISPS Code는 선원과 선박을 보안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SOLAS 협약에 채택되었고, STCW 2010 마닐라 개정에 따라 선원은 반드시 보안 교육을 이수해야 한다. 효과적인 선원의 교육과 훈련은 선박의 보안 관련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이행활동의 수준을 보장하는데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선원들이 이수한 보안교육과 선원의 보안인식 및 선박의 보안성과 사이의 관계를 실증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1) 선박 보안 교육을 이수한 선원들은 선박 보안에 대한 인식이 높고 (2) 이러한 보안 교육 및 보안 인식은 선박의 보안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3) 보안 인식은 보안 교육과 보안성과 관계에서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보안 교육과 훈련은 선원의 보안인식과 보안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이는 결과적으로 해운산업에서 보다 경제적 운영적 및 이미지 측면에서 주요 이점으로 해석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