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T36.ST44

검색결과 125건 처리시간 0.037초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 (Modified Thoracoscopic Bullectomy)

  • 박찬범;조민섭;사영조;이종호;진웅;권종범;조덕곤;박건;조규도;김치경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12호
    • /
    • pp.937-942
    • /
    • 2003
  • 흉강경을 이용한 기흉의 수술은 우수한 미용 효과, 낮은 이환율, 짧은 재원기간, 빠른 일상생활로의 복귀 등의 많은 장점이 있으나, 5∼10%에 이르는 재발률이 단점으로 지적되며,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액와부소개흉술은 절개창이 큰 단점이 있어 본 저자들은 고식적인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법과 액와부소개흉술의 장점을 합친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Modified Thoracoscopic Bullectomy)을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까지 총 66예의 기흉에 대하여 수술을 시행하였으며 이 중 액와부소개흉술군은 27예, 고식적인 흉강경을 이용한 기낭절제술군이 13예, 변형된 흉강경하 기낭절제술군이 18예였다. 각 군에서 환자의 평균 나이는 액와부소개흉술군이 21.9세(16∼35세), 고식적 흉강경 수술군이 20.6세(17∼28세),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술식군이 22.6세(16∼39세)였으며, 각 군에서 남녀의 성비는 액와부소개흉술군과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군에서는 모두 남자 환자였으며, 고식적인 흉강경수술군에서만 1명이 여자 환자였다.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소개흉술군이 11.4개월, 고식적 흉강경 수술군이 9.5개월이었으며,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군은 4.7개월이었다 결과: 수술시간을 보면 고식적 흉강경 수술군이 평균 44.23$\pm$19.24분으로 액와부소개흉술군의 67.04$\pm$21.04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p=0.010), 수술시 사용된 스테플러의 개수를 보면, 고식적 흉강경수술군이 평균 2.92$\pm$1.19개,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군이 평균 1.63$\pm$0.76개로 적게 사용되었다(p<0.001). 수술 후 흉관 거치기간은 액와부소개흉술군이 굉균 4.07$\pm$1.41일, 고식적 흉강경수술군이 4.46$\pm$2.33일 그리고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군이 1.63$\pm$0.76일로 유의하게 짧았으며(각각p<0.001), 술후 평균재원기간 역시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군이 3.26$\pm$0.81일로 액와부소개흉술군의 6.04$\pm$2.21일이나 고식적인 흉강경수술군의 6.69$\pm$3.33일보다 유의하게 ?았다(각각p<0.001). 수술 중 및 수술 후 합병증은 모두 8예에서 발생되었는데, 소개흉술군에서 2예(7.4%), 전통적인 흉강경을 이용한 기낭절제술군에서 5예(38.5%), 흉강경을 이용한 기낭절제술의 변형술식군에서 1예(5.6%)에서 발생되었다. 결론: 흉강경하 기낭절제술의 변형 술식은 매우 효과적인 술식으로 생각된다.

아전 근막절제술을 이용한 듀피트렌 구축의 치료 결과 (Clinical Results of Subtotal Fasciectomy for Treatment of Dupuytren Contracture)

  • 이윤민;송석환;김용우;최재훈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3-360
    • /
    • 2019
  • 목적: 듀피트렌 구축의 이상적인 치료 방법은 재발률을 줄이고 합병증이 적게 발생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낮은 재발 및 합병증 발생을 위해 아전 근막절제술을 시행하여 치료한 듀피트렌 구축 환자의 결과를 보고하고자 함이다. 대상 및 방법: 2007년부터 2017년 3월까지 아전 근막절제술을 시행한 45명의 환자를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아전 근막절제술은 구축된 결절과 끈과 함께 주변에 정상 근막을 포함하여 절제하는 수술 방법이다. 평균 추시 기간은 45.9개월이었으며, 92개의 수지가 이환되었다. 선행 인자 및 이환된 관절을 조사하였으며, 수술 전 후 관절 구축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임상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quick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quick DASH) score를 사용하였다. 수술 후 피부 결손 및 상처 관련 문제, 신경손상, 혈종,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과 같은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전 관절 구축은 근위지관절 평균 43.2°, 중수지관절 평균 32.9°였고, 수술 후 9예에서 평균 9.7° (범위, 5°-20°)의 잔여 구축이 남았으며, 전체 수지에 비교했을 때 평균 2.3°의 구축이 발생하였다. 수술 후 12개월 quick DASH score는 평균 12.4점이었고, 전체 합병증 발생률은 26.6%였다. 결론: 듀피트렌 구축에서 아전 근막절제술은 비관혈적 치료에 비해 현저히 낮은 재발률을 보이고, 타 수술치료에 비해 합병증 발생이 적은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다.

생태·자연도의 관·민원 현황에 대한 고찰 (A Review on the Public Appeals of the Ecosystem and Nature Map)

  • 안경환;신영규;김지연;이율경;임정철;하정욱;권혁수;서재화;김명진
    • 환경영향평가
    • /
    • 제24권1호
    • /
    • pp.99-109
    • /
    • 2015
  • 생태 자연도는 자연자원을 식생, 멸종위기동 식물종 분포에 따라 생태학적 보전과 복원을 위한 정보 제공과 정책 및 토지이용계획 등에 중요 자료로 이용되고 있다. 생태 자연도는 2만 5천분의 일 축척 지도 794도엽에 대하여 1, 2, 3등급과 별도관리지역으로 구분하여 표기되고 있다. 2005년에 최초의 생태 자연도 국민열람(안)이 공개되어 1,419건의 관련된 관 민원이 발생하였으며, 일부 수정을 거쳐 2007년에 고시되었다. 2012년에 두 번째 생태 자연도 국민열람(안)이 공개되었으며, 1,263건의 관 민원이 접수되었다. 2007년에 고시된 생태 자연도의 등급조정을 위한 관원과 민원은 182건이 접수되었으며, 2013년까지 159건이 수정 보완 고시되었다. 2007년 생태 자연도 고시자료의 국토대비 각 등급별 면적 비율은 1등급 7.5%, 2등급 39.2%, 3등급 44.7%이다. 2012년 생태 자연도 개정고시 국민열람(안)에서는 1등급이 약 1.7%, 2등급이 약 6.3% 증가하였으며, 3등급은 8.1% 감소하였다. 전국의 1등급 지역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곳은 강원도(2007: 54.33%, 2012: 47.53%)로 나타났다. 1등급 면적 비율이 가장 높고 3등급 면적이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도며, 3등급 면적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서울특별시다. 1등급 면적이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경상북도며, 가장 많이 감소한 지역은 전라북도와 서울특별시다. 1등급 판정에 가장 높은 기여를 하는 평가 항목은 식생이었다.

설사 증상의 돼지 분변에서 분리된 용혈성 대장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의 인체로부터 분리된 균주로의 전이 (Transfer of Genes for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xin of Hemolytic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Feces of Pig Suffering Diarrhea to Human Isolates)

  • 이계남;정병열;이연희
    • 미생물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86-294
    • /
    • 2004
  • 1997년과 1998년 사이에 설사 증상을 보이는 돼지의 분변으로부터 총56균주의 Escherichia coli를 분리하여 이중 용혈성을 나타내는 38균주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능을 확인하였다. 항생제 한천 희석법으로 최소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를 측정한 결과 36균주$(94.7\%)$가 tetracycline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고, 27주$(71.0\%)$는 ampicillin에 내성, 26균주$(68.4\%)$는 chloramphenicol에 내성, 그리고 21균주$(55.2\%)$는 tri-methoprim에 내성을 나타내었으나, aztreonam, amikacin, norfloxacin에 내성을 나타낸 균주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중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다제내성(multiple drug resistance, MDR)을 보인 균주는 총 38 균주 중 21균주$(55.3\%)$였다. 또한 이중 디스크 시험법(Double Disk Synergy Test)을 수행한 결과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를 생산하는 균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가장 많은 수의 균주가 내열성 독소$(ST,89.5\%)$를 생산하였고, 다음으로 베로 독소(VT와 VTe, 각각$47.4\%$)와 이열성 독소$(LT,31.6\%)$를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에서 8균주$(21.0\%)$는 57만을 생산하였던 반면에 12균주$(31.6\%)$는 LT와 ST를 동시에 생산하였고, 13균주$(34.2\%)$는 ST, VT, VTe를 동시에 생산하였으며, 5균주$(13.2\%)$는 VT와 VTe를 동시에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네 가지 독소를 동시에 생산하는 균주는 없었다. 또한 이 균주들은 매우 다양한 혈청형(serotype)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각막절개 위치와 크기에 따른 난시교정인공수정체의 난시교정의 정확성 (Accuracy of Astigmatic Correction Using Toric Intraocular Lens by Position and Size of Corneal Incision)

  • 박우경;김만수;김은철
    • 대한안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26-134
    • /
    • 2019
  • 목적: 각막절개 방법에 따른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후의 잔여난시를 비교하여 그 방법에 따른 정확성을 비교하였다. 대상과방법: 2014년 1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수정체초음파유화술 및 난시교정인공수정체삽입수술을 받은 98명의 환자, 98안을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하였다. 각막절개창은 모두 가파른 난시 축에 내었고, 각막 상측에 절개창을 낸 직난시 군을 1군(n=54), 각막의 이측에 절개창을 낸 도난시 군을 2군(n=44)으로 나누었다. 각 군에서 2.75 mm 블레이드를 이용하여 절개창을 낸 군(소그룹 1)과 2.2 mm 블레이드를 사용한 군(소그룹 2)의 두 소집단으로 나누었다. 수술 전 굴절률 및 자동각막곡률을 측정하였고, 술 후 잔여난시값과 난시값의 감소량을 계산하였다. 결과: 술 후 나안시력, 최대교정시력, 굴절난시, 각막난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호전을 보였다. 각막난시값 감소량은 1군과(0.38 ± 0.30D), 2군에서(0.48 ± 0.38D)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44).술 후 잔여난시는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1군과 2군 모두 2.75 mm 각막절개(각각 0.46 ± 0.31D, 0.61 ± 0.36D)는 2.2 mm (각각 0.25 ± 0.25D, 0.23 ± 0.29D)에 비해 각막난시값 감소량이 유의하게 많았다. 결론: 난시교정인공수정체 삽입 시 각막절개의 위치와 크기에 따른 난시 유발의 크기를 정확하게 적용하여 계산하면 술 후 난시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형방지황탕이 Alzheimer's disease 모델 백서의 학습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yungbangjiwhangtang on Learning and Morris water maze and Radial arm maze paradigm)

  • 조윤숙;황의완;김현택;박순권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9궈1호
    • /
    • pp.1-24
    • /
    • 1998
  • The effects of Hyungbangjiwhangrang on the enhancement of learning and memory of AD model rats were studied with Morris water maze and radial arm maze. Sample group was electrolytically lesioned on nbM, and then daily treated with the medicine for two months. Control group with nbM lesion, and sham group with the sham operation were treated the vehicle for same dur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1. As the learning trials of Morris water maze processed repeatedly, sham group achiened 201.64${\pm}$33.13 seconds in 1st trial, 153.14${\pm}$61.80 seconds in 2nd, 106.21${\pm}$46.81 seconds in 3rd, 76.64${\pm}$48.40 seconds in 4th, and 52.29${\pm}$38.25 seconds in 5th. The control group achieved 224.08${\pm}$29.16 in 1st trial, 191.77${\pm}$67.97 seconds in 2nd, 177.77${\pm}$65.44 seconds in 3rd, 140.92${\pm}$68.27 seconds in 4th, and 126.46${\pm}$79.15 seconds in 5th. The sample group achieved 223.36${\pm}$23.33 seconds in 1st trial, 215.86${\pm}$38.93 seconds in 2nd, 190.79${\pm}$51.57 seconds in 3rd, 155.79${\pm}$62.67 seconds in 4th, and 127.93${\pm}$62.11 seconds in 5th. Therefore, these data shows that all three groups were improved in learning capacity as trials were repeated, but the shame group showed prominent improvement in learning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2. In memory retention test of Morris water maze that counts the staying time in the target area, sham group stayed for 15.36${\pm}$5.39 seconds, the control group stayed for 5.54${\pm}$5.64 seconds, and the sample group stayed for 7.43${\pm}$6.09 seconds. The analysis of the memory retention data shows that the sham group marked more significant improvement stati- stically in memory reten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3. In the learning of radial arm maze, the number and rate of animals that arrive the learning criteria amounted 12 out of 14, 85.7% in sham group, 4 out of 13, 30.8% in the control group, and 10 out of 14, 71.4% in the sample group So, the sample group shows better learning capacity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p<0.05).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bove, Hyungbangjiwhangtang can be supposed to have the improving effects on the learning and memory of AD rats induced by eletronical injury of nbM.

  • PDF

폐암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Evaluation of Primary Lung Cancer)

  • 이양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권1호
    • /
    • pp.25-34
    • /
    • 1971
  • We observed 88 csses of primary lung cancer clinically and statistically, which had been experienced at the dept. of thoracic surgery, St. Mary's Hospital, Catholic Medical College, during the period of 7 years from January, 1964 to December, 1970.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Peak incidence of age was from 5th decade to 7th decade (86.4%), the youngest being 25 and the oldest 76.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4.9: 1. 2) Squamous cell carcinomas showed high resectability (68.7%) and short clinical duration (188 days). Adenocarcinoma and undifferentiated carcinoma showed low resectability (33.3%, 36.4%) in spite of the more shorter clinical duration(120 days, 112 days, respectively) than squamaus cell carcinoma. 3) Positivity (above class III) in brochocopic cytology was 70.3%, and 44.8% in fresh sputum cytology. 4) Other combined pulmonary diseases (emphysema. chronic bronchitis) were noted in about one half of bronchographied 66 cases and which were considered as factors to contribute ventilatory function of lung. 5) Among 88 cases, twelve cases refused operation and 34 cases(44.7%) were operated. Seventeen cases(22.3%) out of the 34 thoracotomies were resected, 7 with lobectomy and 10 with pneumonectomy and remaining 17 cases were unresectable. 6) Histopathological findiugs of resected 17 cases were squamous cell carcinomas (11 cases), adenocarcinoll1a(1 case), undifferentiated carcinumas (4 cases) and undetermined carcinoma(l case). 7) There's no opelative mortality. Among resected 17 cases, [; cases are still alive(4 years, 3 years & 2 mo, 2 yearo, 13 mo., respectively), 7 case were expired (3 of these from remote metastasis), and remaining 5 cases were unable to follow up.

  • PDF

천식 환자에 대한 자음강화탕과 경옥고 한의치료 1례 (A Case of Jaeumganghwa-tang and Gyeongok-go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Asthma Patients)

  • 서해니;송호섭;양승보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493-50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report the effects of Jaeumganghwa-tang (Ziyinjianghuo-tang) and Gyeongok-go on a patient with asthma. Methods: A 54-year-old female patient was treated with herbal medicine, including Jaeumganghwa-tang, Gyeongok-go,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reatment. The effects of treatments were evaluated using the modified medical research council dyspnea scale (mMRC),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and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 (QLQAKA). Results: Following treatment, the mMRC score decreased from 2 to 1, the SGRQ score decreased from 60.53 to 25.61, and the QLQAKA score increased from 44 to 72. In the SGRQ, symptom scores decreased from 70.67 to 57.49, activity scores from 36.22 to 25.96, and impact scores from 72.15 points to 15.44 points. In QLQAKA, symptom scores increased from 18 to 21, emotional scores from 7 to 13, environmental scores from 6 to 14, and activity scores from 13 to 24.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Jaeumganghwa-tang and Gyeongok-go could be effective in treating patients with asthma.

황사에 대한 인식 조사 -황사 관련 신문 기사 내용 분석- (Perceptions of the Asian Dust -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about the Asian Dust -)

  • 임형준;하미나;조수헌;권호장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6권3호
    • /
    • pp.298-301
    • /
    • 2003
  • Objectives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for the social, economic, environmental and health effects of the Asian dust (Hwang-sa in Korean language) in Korea. In this study, we intended to indirectly determine ordinary people's perception about the Asian dust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newspaper articles dealing with it. Methods: By using article searching services in the internet websites of three newspaper companies, we collected newspaper articles dealing with the Asian dust during the period from January $1^{st}$ of 1998 to December $31^{st}$ of 2002. We classified the articles into four categories: those forecasting the occurrence of the Asian dust, those about measures to cope with it, those about its occurrence in the neighboring foreign countries, and those about its effects. In particular, we analyzed articles about the health effects of the Asian dust more distinctly. Results : A total of 1,225 articles dealing with the Asian dust were found during the 5 year period. The number of articles increased from 102 in 1998 to 518 in 2002, approximately a five-fold increase, The numbers of articles about health effects, environmental effects and economical effects were 191 (44%), 171 (41%) and 147 (34%), respectively. It was reported that various diseases such as respiratory diseases (87%), eye problems (69%), and skin diseases (12%) were associated with the Asian dust. Conclusion : The increasing concern for the negative effects of the Asian dust necessitates more studios about this field. As the effects of the Asian dust are various, the information on the major concern of ordinary people could help establish the research agendas and measures for the Asian dust.

인공심폐기를 이용한 개심술후 혈청효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Changes of Serum Enzymes after Open heart Surgery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 고재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2권4호
    • /
    • pp.562-572
    • /
    • 1989
  • The changes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SGOT], serum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SGPT], serum lactic dehydrogenase [LDH] and serum creatine phosphokinase [CPK] were examined during and after the open heart surgery. In the total of 52 patients with heart diseases including 40 cases of congenital heart anomalies and 12 cases of acquired valvular heart diseases who undergone open heart surgery under cardiopulmonary bypas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value of SGOT before surgery was 30.27 [ 18:86 units. The enzyme was reached to the maximum of 139.88 [ 89.43 units on the 1st day after the operation [p< 0.05],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3rd day after the operation,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7th day after the operation. 2. The average value of SGPT before surgery was 14.36 [ 7.45 units. The enzyme was reached to the maximum of 34.67 [ 27.64 units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but it was valueless statistically,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3rd day after the operation,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5th day after the operation. 3. The average value of LDH before surgery was 263.07 * 86.66 units. The enzyme was reached to the maximum of 662.29 * 303.60 units on the 2nd day after the operation [p < 0.05],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5th day after the operation,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7th day after the operation. 4. The average value of CPK before surgery was 141.35 * 43.44 units. The enzyme was reached to the maximum of 377.42 [ 222.02 units on the 1st day after the operation [p < 0.05], the enzyme activity was gradually decreased from the 5th day after the operation, returned to the normal range on the 7th day after the operation. 5. In the relationships of the serum enzymes and duration of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the values on the group over 90 minute of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were increased than on the group below 90 minute of the extracorporeal circulation, but it was valueless statistical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