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SR

검색결과 543건 처리시간 0.034초

비행자료처리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SSR 코드 관리 방안 (The proposal of efficient SSR code management in Flight Data Processor system)

  • 오승희;한종욱;박효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13-615
    • /
    • 2010
  • 항공 교통량을 관리하는 항공관제 시스템의 핵심 구성요소인 비행자료처리시스템은 각종 비행 자료를 처리 및 배포하고, 항공기 위치 추정 및 궤도 모델링을 제공한다. 비행자료처리시스템에서 관리하는 비행 자료 중에서 SSR 코드는 우리나라 공역에 일정한 수로 한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중복을 회피하는 효율적인 SSR 코드 할당 및 회수 방안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효율적으로 SSR 코드를 관리하는 방안에 대해서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리 방안은 차세대 항공관제 시스템에도 적용 가능하며 급증하는 항공 교통량을 처리하는데 있어서 꼭 필요하다.

  • PDF

TCSC의 Damping 제어를 이용한 SSR 제어 (SSR Control by Damping Controller of TCSC)

  • 전진홍;전영환;김지원;김태현;김학만;국경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A
    • /
    • pp.142-144
    • /
    • 2000
  • This paper presents an auxiliary TCSC controller designed for damping SSR. Damping controller for SSR is designed in frequency domain for suppressing resonance. The SSR phenomenon and the performance of damping controller simulated by using PSCAD/EMTDC. In this simulation. the power system model for SSR is IEEE benchmark Model and TCSC is simplified to controllable impedance model.

  • PDF

SSR을 제어하기 위한 새로운 캐패시터 스위칭방법에 관한 연구 (New capacitor switching schemes to control subsynchronous resonance)

  • 이훈구;이승환;강승욱;한경희;정연택
    • 대한전기학회논문지
    • /
    • 제45권1호
    • /
    • pp.67-73
    • /
    • 1996
  • Subsynchronous resonance(SSR) causes a torsional shaft torque on the generator. Damages resulting from the uncontrolled SSR have resulted in the breakdown in the shaft and costs for replacement power. This paper is to determine the feasibility of controlling SSR by the fast modulation of series compensation capacitors. The presence of subsynchronous currents in the system was detected by a subsynchronous relay which was modeled by the transient analysis of control systems(TACS) in electromagnetic transients program (EMTP). The capacitor segments were switched by bi-directional thyristor switches. These were modeled into EMTP. The strategy to switch the capacitors were modeled as a closed loop system. The paper proves that effective control of SSR can be obtained only by the detuning of the system and the removal or blocking of subsynchronous energy from the system. (author). refs., figs., tabs.

  • PDF

참외 전장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및 SSR 마커 개발 (Whole genome re-sequencing and development of SSR markers in oriental melon)

  • 송운호;정상민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2호
    • /
    • pp.71-78
    • /
    • 2019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se 'Danta PR',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for genome resequencing to develop polymorphic makers between Chinese oriental melon, 'Hyangseo 1' and Korean oriental melon. From the resequencing data that covered about 81 times of the genome size, 104,357 of SSR motifs and Indel, and 1,092,436 of SNPs were identified. 299 SSR and 307 Indel markers were chosen to cover each chromosome with 25 markers. These markers were subsequently used to identify genotypes of 'Danta PR' BC1 (F1 x 'Danta PR') population and a genetic linkage map was constructed. SSR, Indel, and SNPs identified in this study would be useful as a breeding tool to develop new oriental melon varieties.

국내(國內) 6개(個) 은행(銀杏)나무 식재지(植栽地)에 있어서 I-SSR 변이체(變異體)의 다양성(多樣性) (Diversity of I-SSR Variants in Gingko biloba L. Planted in 6 Regions of Korea)

  • 홍용표;조경진;홍경낙;신은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0권2호
    • /
    • pp.169-175
    • /
    • 2001
  • 6개지역에 식재된 은행나무 182개체의 잎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I-SSR과 RAPD 표지자를 분석하였다. 15개 I-SSR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수행해서 22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하였고, 5개 RAPD primer를 사용하여 67개의 증폭산물 변이체를 확인했다. 6개 집단에 있어서 집단내의 유전적 다양성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Shannon's Index, I-SSR : 0.35~0.40; 평균 0.38, RAPD : 0.31~0.38; 평균 0.35, 통합 : 0.35~0.40; 평균 0.37). 3개의 자료(I-SSR 표지자, RAPD 표지자 및 통합 자료)로부터 평가된 유전적 다양성 정도의 등급은 상호간에 일치하지 않았다. 유전적 다양성의 대부분이 집단내 개체간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I-SSR : 94.31%, RAPD : 93.62%, 통합 : 93.57%), 결과로써 집단간 분화정도는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수나무와 암나무 그룹간의 유전적 분화정도는 매우 낮았으며(I-SSR : 0.03, RAPD : 0.091, 통합 : 0.043), 수나무와 암나무들 동시에 채집한 3개 지역만을 대상을 분석했을 경우에는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I-SSR : 0.038, RAPD : 0.084, 통합 : 0.047). UPGMA법을 이용해서 분석한 집단간의 유전적 유연관계는 지리적 거리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몇몇 지역들이 종자 공급원을 공유하고 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된다. I-SSR과 RAPD data를 성별로 재편성해서 유집분석을 수행한 결과, 모든 수나무 집단들과 암나무 집단들이 각각 별개의 성별 분지군을 형성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2개의 data를 통합해서 유집 분석을 수행했을 경우에는 성에 따른 명백한 분지군이 형성되지 않았다.

  • PDF

Genetic diversity assessment of lily genotypes native to Korea based on simple sequence repeat markers

  • Kumari, Shipra;Kim, Young-Sun;Kanth, Bashistha Kumar;Jang, Ji-Young;Lee, Geung-Joo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6권3호
    • /
    • pp.158-164
    • /
    • 2019
  •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different genotypes reveals accurate information about the degree of genetic diversity that helps to develop a proper breeding program. In this study, a total of 30 EST-based simple sequence repeat (EST-SSR) markers derived from trumpet lily (Lilium longiflorum) were used across 11 native lily species for their genetic relationship. Among these 30 markers, 24 SSR markers that showed polymorphism were used for evaluation of diversity spectrum. The allelic number at per locus ranged from 1 at SSR2 locus to 34 alleles at SSR15 locus, with an average of 11.25 alleles across 24 loci observed.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ranged from 0.0523 for SSR9 to 0.9919 for SSR2 in all 24 loci with an average of 0.3827. The allelic frequency at every locus ranged from 0.81% at SSR2 locus to 99.6% at SSR14 locus. The pairwise genetic dissimilarity coefficient revealed the highest genetic distance with a value of 81.7% was in between L. dauricum and L. amabile. A relatively closer genetic distance was found between L. lancifolium and L. dauricum, L. maximowiczii and L. concolor, L. maximowiczii and L. distichum (Jeju), L. tsingtauense and L. callosum, L. cernuum and L. distichum (Jeju ecotype), of which dissimilarity coefficient was 50.0%. The molecular fingerprinting based on microsatellite marker could serve boldly to recognize genetically distant accessions and to sort morphologically close as well as duplicate accessions.

2열 H-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 공법(SSR)의 거동분석 및 시공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ur Analysi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lf-Supported Earth Retaining Wall (SSR) Using Landslide Stabilizing Piles)

  • 심재욱;박근보;손성곤;김수일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41-54
    • /
    • 2009
  • 본 연구는 터파기 형태의 건설공사에서 레이커나 지반앵커 등의 추가적인 버팀이 필요 없는 2열 H-파일을 이용한 자립식 흙막이(SSR) 공법에 대한 것이다. SSR 공법은 사면파괴 방지용 억지말뚝의 역할을 하는 후열말뚝으로 1차적인 토압을 감소시켜 흙막이 벽체의 토압을 분담하고 억지말뚝과 흙막이 벽체의 일체화를 통해 흙막이 벽체의 강성을 증대시킴으로써 레이커나 지반앵커 등의 지보재가 필요 없이 지반굴착을 수행할 수 있는 자립식 흙막이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SSR 공법에 대한 실내모형실험 결과를 통하여 굴착에 따른 지반 및 흙막이 구조체의 변협과 토압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여러 현장적용 사례와 계측결과를 통하여 굴착방법에 따른 흙막이 가시설의 실제 변형 특성 및 공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발생변위가 모두 계측 허용치 이내에서 만족하였다.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 교배양식 추정모수의 연간비교 (Two-Year Estimates of Mating System in Seed Orchard of Pinus densiflora Revealed by cpSSR and nSSR Markers)

  • 김영미;홍용표;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4호
    • /
    • pp.578-587
    • /
    • 2015
  • 교배양식 유전모수를 확인하기 위하여 nuclear SSR (nSSR) 표지와 chloroplast SSR (cpSSR) 표지를 이용하여 2006년과 2007년에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에서 생산된 종자를 대상으로 타가교배율과 화분오염율, 근친교배율을 확인하였다. cpSSR 유전형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2006년에 94.9~100%(평균 98.9%)이며, 2007년에는 91.2~100%(평균 97.7%)이다. nSSR 유전자형에 근거한 타가교배율은 2006년에 90.3~100%(평균 95.9%), 2007년에 81.6~100%(평균 95.3%)의 타가교배율이 산출되었다. 두 표지를 동시에 비교하여 확인한 결과 2006년 생산종자의 평균 누적 타가교배율 100%, 2007년 생산종자의 평균 누적 타가교배율은 98.9%로 추정되었다. 근친교배율($t_m-t_s$: biparental inbreeding)은 2006년에 -0.006과 2007년에 0.007으로 추정되었다. 평균 화분오염율은 2006년에 평균 48.9%, 2007년에 평균 42.4%이며, 종자의 cpSSR 유전형을 근거로 확인한 화분친 기여율(기여화분친 수)은 2006년에 0.458(평균 16.2개), 2007년에 0.512(평균 14.8개)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2006년, 2007년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 내 클론간 높은 타가교배율이 확인됨으로써 채종원산 종자의 유전적 품질은 자가교배로 인한 근교약세가 원인이 되는 불량형질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안면도 소나무 채종원(77년 조성) 내 교배양식 연간 분석을 통해서 확인된 결과가 향후 진전세대 채종원 조성 및 관리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를 이용한 벼 품종 식별 (Identification of Rice Variety Using Simple Sequence Repeat (SSR) Marker)

  • 권용삼;박은경;박찬웅;배경미;이승인;조일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1001-1005
    • /
    • 2006
  • SSR markers를 이용하여 벼의 품종간 유전적 유연관계 분석과 품종식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SSR primer 50개와 벼 보급종 21품종을 PCR 반응시킨 결과 다형성을 뚜렷하게 나타내는 primer는 23개였으며, 각 marker에 의해 발생된 대립유전자의 수는 $2{\sim}9$까지 검출되었고, 평균값은 3.00개로 나타났다. 유전적 다형성 정도를 나타내어 주는 SSR marker의 PIC 값은 최소 0.091에서부터 최대 0.839까지 다양하게 분석되었다. SSR marker를 이용하여 분석된 벼 21품종에 대한 전체 유전적 유사도는 $0.59{\sim}0.92$의 범위에 속하였고 유사도 지수 0.65를 기준으로 할 때 4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SSR marker중에서 RM206, RM225, RM418, RM478은 marker genotype에 의해 21 품종에 대해 각각 고유한 밴드 특성을 나타내어 품종판별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후 이 연구결과는 벼 보급종의 품종식별을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수집 감 품종을 이용한 EST-SSR marker 개발과 유전적 다양성 분석 (Development of EST-SSR Markers and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Using Persimmon (Diospyros kaki Thunb) Cultivars Collecting from Domestic)

  • 서동휘;정경미;김세종;김경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91-502
    • /
    • 2013
  • 본 연구는 감 수집종의 분류 및 품종 육종을 위하여 EST-SSR 마커를 개발해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고, 형태적 유연관계를 비교 분석하여 DNA 마커의 효율성을 극대화한 연구 결과이다. 경북농업기술원 상주감시험장에서 수집한 42품종을 대상으로 6가지의 양적형질(과실크기, 과고, 과경, 과경굵기, 과경길이, 종자크기)과 19가지의 질적형질(횡단면, 종단면, 골의 정도, 얕은 동심원 균열, 옆모양, 정부열과, 세로홈, 꽃받침 끝 주름, 배꼽 홈길이, 꽃받침 쪽의 홈, 꽃받침 크기)을 사용하여 형태적 유연관계를 분석하였다. 유전적 유연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집한 감에서 cDNA library를 만들어 sequence를 분석한 후, PCR을 통해 얻은 polymorphism이 인정되는 25개의 primer set에서 16개의 EST-SSR primer set를 선발하였다. 수집한 감 42품종의 형태적 유연관계와 개발한 14개의 EST-SSR 마커를 이용하여 유전적인 유연관계를 분석한 결과 형태적 유연관계에서는 여러 그룹이 형성되었지만 coefficient가 0.02 이하로 형성되어 형태적 특성을 사용해 분류하기는 어려웠다. 유전적 유연관계는 coefficient 0.77에서 3개 그룹으로 분류되어, 상주수수감과 상주수꽃감, 밀양반시와 밀양고동시, 영동반시와 영동수시는 각각 같은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형태적 분석과 유전적 분석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형태적 분석의 유사도 거리와 유전적 분석의 유사도 거리 간의 값이 -0.03으로 유의성이 매우 낮게 나왔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분자마커는 (EST-SSR 마커) 국내 감육종 효율 증진뿐만 아니라 우수형질을 도입하는데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