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REBP-1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4초

곽향과 금전초 추출물이 Palmitic acid로 유발된 비알코올성 지방간 세포 모델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astachis Herba Extract and Lysimachiae Herba Extract on the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FLDs Induced by Palmitic Acid)

  • 이혜인;김영광;임현찬;이다은;김은지;문영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302-312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wo herbal medicines, Agastachis Herba and Lysimachiae Herba, on a cellular model of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s (NFLDs). Methods: HepG2 cells were treated with palmitic acid an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Agastachis Herba (AH) or Lysimachiae Herba (LH) extract in water. The lipotoxicity was assessed using EZ-cytox, and the lipoapoptosis was assessed using cell death detection ELISA. Intracellular lipids were measured by oil red O staining. The efficacy of AH and LH on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1c (SREBP-1c), fatty acid synthase (FAS), and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HepG2 cells was measur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Both AH and LH extracts increased lipoapoptosis and decreased lipotoxicity and levels of SREBP-1c, ACC, and FAS (SREBP-1c, ACC, and FAS are factors in lipid synthesis). In the oil red O staining experiment, both extracts also re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in this instance, LH's efficacy was superior to that of AH.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ults, both AH and LH are likely to contribute to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s both interfere with lipid synthesis.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마우스에서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s of Black Soybean Doenjang in C57BL/6 Mice)

  • 김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486-1493
    • /
    • 2017
  • 된장은 콩 발효식품으로 주원료인 콩류에 Bacillus subtilis, Rizopus, Mucor와 Aspergillus species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소금물과 혼합하여 숙성 시킨 한국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물실험을 통하여 검정콩 된장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항비만 효과의 확인은 혈중 TG, TC, 아디포넥틴과 렙틴의 레벨을 측정함과 동시에 지방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 PPAR-g의 mRNA와 단백질 발현 정도를 측정하였다. 고지방 식이에 검정콩 된장을 첨가한 그룹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인해 증가된 체중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 혈중 중성지방, 콜레스테롤과 렙틴의 레벨은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마우스에 비하여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감소하였으며 아디포넥틴의 분비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 생성의 억제로부터 유도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지방 합성에 관여하는 전사인자인 SREBP-1c과PPAR-g의 mRNA양과 단백질 발현을 측정한 결과 검정콩 된장을 섭취한 마우스에서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검정 콩 된장의 섭취가 지방대사와 지방 전사 인자의 활성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검정콩 된장이 비만의 예방과 진행을 개선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간 실질세포주에서 니호채(泥胡菜) 분획물이 liver X receptor α 의존적 지방 생성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Hemistepta lyrata Bunge (Bunge) fractionated extract on liver X receptor α-dependent lipogenic genes in hepatocyte-derived cells)

  • 김재광;조일제;김은옥;정대화;구세광;김상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5-269
    • /
    • 2020
  • Objectives : Hemistepta lyrata Bunge (Bunge) is a wild herb that has been used for managing fever and woun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H. lyrata extract on liver X receptor (LXR) α-dependent lipogenic genes in hepatocyte-derived cells. Methods : After HepG2 cells or Huh7 cells were pre-treated with 1-10 ㎍/mL of H. lyrata extract or its fractionated extract for 0.5 h, the cells were subsequently exposed to LXR ligand for 6-24 h. Cell viability, LXR response element (LXRE)-driven luciferase activity,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response element (SREBP-RE)-driven luciferase activity, SREBP-1c expression, and mRNA levels of LXRα and its-dependent target genes were determined. In addition, LC-MS/MS analysis was conducted to explore major compounds in H. lyrata-chloroform fractionated extract #4 (HL-CF4). Results : Of various H. lyrata extracts tested, chloroform extract and its fractionated extract #4, HL-CF4, significantly decreased T0901317-mediated SREBP-1c expression. In addition, HL-CF4 significantly reduced LXRE atransactivation and LXRα mRNA expression without any cytotoxicity. Moreover, HL-CF4 prevented the SREBP-RE-driven luciferase activity and mRNA levels of fatty acid synthase and stearoyl-CoA desaturase-1 induced by T0901317. Results from LC-MS/MS analysis at positive/negative mode indicated that HL-CF4 contained several compounds showing m/z 197.1176 (C11H17O3), 693.2913/227.1069 (C38H45O12/C15H15O2), 203.1797 (C15H23), 181.1225 (C11H17O2), 591.2957 (C35H43O8), 379.1040 (C18H19O9), 409.1509 (C20H25O9), 309.1348 (C16H21O6), 391.1404 (C20H23O8), and 669.2924/389.1248 (C36H45O12/C20H21O8). Conclusion : Based on its inhibition of the LXRα-dependent signaling pathway, H. lyrata chloroform extract and HL-CF4 have prophylactic potentials for managing non-alcoholic fatty liver.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extract on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in 3T3-L1 adipocytes and SD rat models

  • Kyoung Kon Kim;Hye Rim Lee;Sun Min Jang;Tae Woo Kim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8권2호
    • /
    • pp.180-193
    • /
    • 2024
  • BACKGROUND/OBJECTIVES: Obesity is a major cause of metabolic disorders; to prevent obesity, research is ongoing to develop natural and safe ingredients with few adverse effects.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Rosa multiflora root extract (KWFD-H01) in 3T3-L1 adipocytes and Sprague-Dawley (SD) rats. MATERIALS/METHODS: The anti-obesity effects of KWFD-H01in 3T3-L1 adipocytes and SD rats were examined using various assays, including Oil Red O staining, gene expression analyses, protein expression analyses, and blood biochemical analyses. RESULTS: KWFD-H01 reduced intracellular lipid accumulation and inhibited the mRNA expression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γ (PPARγ), cytidine-cytidine-adenosine-adenosine-thymidine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s (C/EBPα),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transcription factor 1 (SREBP-1c), acetyl-CoA carboxylase (ACC), and fatty acid synthase (FAS) in 3T3-L1 cells. KWFD-H01 also reduced body weight, weight gain, and the levels of triglycerides, total and LDL-cholesterol, glucose, and leptin, while increasing high-density lipoprotein-cholesterol and adiponectin in SD rats. PPARγ, C/EBPα, SREBP-1c, ACC, and FAS protein expression was inhibited in the epididymal fat of SD rats. CONCLUSION: Overall, these results confirm the anti-obesity effects of KWFD-H01 in 3T3-L1 adipocytes and SD rats, indicating their potential as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functional health foods or pharmaceuticals to control obesity.

Coenzyme Q10 첨가 급여가 산란계의 지방대사 연관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enzyme Q10 on the Expression of Genes involved in Lipid Metabolism in Laying Hens)

  • 장인석;문양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47-54
    • /
    • 2016
  • Coenzyme Q10(CoQ10)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화합물로 세포호흡과 항산화제로서 그 기능이 잘 알려졌지만, 최근 유전자들의 발현 조절자로서의 가능성도 제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란계에서 CoQ10의 첨가 급이가 콜레스테롤과 지방산 대사관련 유전자들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실시하였다. Lohmann Brown(40주령) 36수를 CoQ10의 첨가원에 따라 대조군(CON, basal diet(BD)), CoQ10 건조분말 급여군(T1, BD+CoQ10 100 mg/kg 사료) 및 CoQ10 건조분말 유화처리군(T2, BD+micellar of CoQ10 100 mg/kg 사료) 등 모두 3처리구로 설정하여 5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종료 후 각 개체의 간으로부터 total RNA를 추출하고,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유전자들의 발현을 분석하였다.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에서 주요 조절 효소인 HMGCoA reductase(HMGCR)의 유전자 발현은 대조구에 비하여 CoQ10 분말첨가인 T1과 유화처리된 T2 처리구에서 모두 약 50%씩 억제되었다(p<0.05). 내생 콜레스테롤의 합성을 촉진시키는 전사인자인 SREBP2 mRNA 발현 또한 대조구와 비교해서 T1과 T2에서 각각 30%와 40% 감소하였다(p<0.05). CoQ10의 첨가 급이는 대조구에 비하여 liver X receptor(LXR) 유전자가 약 30~35% 그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sterol regulatory element-binding proteins(SREBPs)1 또한 T2에서 약 40% 유전자 발현이 감소하였다(P<0.05). 전사인자인 $PPAR{\gamma}$와 XBP1은 CoQ10에 의하여 약 15~40% 수준으로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하였다(p<0.05). 세포 내부로의 에너지 공급원인 포도당의 흡수를 담당하는 GLUT2는 약 35~60% 그리고 GLUT8은 약 25~30%의 유전자발현 각각 감소함을 보였다(p<0.05). CoQ10의 섭취는 중성지방 합성을 위한 지방합성효소(FASN)의 유전자 발현을 분말처리군에서 약 30%, 유화처리군에서 약 65% 억제됨을 확인하였다(P<0.05). 본 연구결과는 CoQ10 첨가급여가 콜레스테롤 및 지방대사 관련 유전자 발현에 영향을 미치며, 세포내 콜레스테롤과 지방의 생성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emporal Changes in the Hepatic Fatty Liver in Mice Receiving Standard Lieber-DeCarli Diet

  • Yin, Hu-Quan;Lee, Byung-Hoon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13-117
    • /
    • 2008
  • Chronic exposure to ethanol induces cumulative damage to the liver starting from fatty infiltration to cirrhosis depending on the dose and duration of exposure. The whole process leading to the development of alcoholic liver disease is very complex and the mechanisms involved are not fully understood. Among many experimental animal models, Lieber-DeCarli liquid diet provides moderate to severe pathophysiological outcome depending on the compositional chang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temporal changes in the early phase hepatic disease in rats fed with standard Lieber-DeCarli diet. Male Wistar rats were fed with Lieber-Decarli ethanol diet for 6 weeks and the liver samples were obtained after 2, 4 and 6 weeks. Mild fatty infiltration was observed in 2 weeks of feeding and it became evident in 4 and 6 week samples. The level of hepatic triglyceride showed a good agreement with the data obtained in the pathological analysis. Feeding mice with ethanol diet resulted in the maturation and translocation of SREBP-1 to nucleus in the liver. Western blot analysis of the pooled liver sample of control and ethanol fed animals showed a clear-cut time-dependent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nSREBP-1. These data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for selecting proper time point in experimental intervention study in the field of drug development for alcoholic liver disease.

도라지, 울금의 Aspergillus oryzae 발효에 의한 항비만효과 연구 (Evaluation of the Anti-obesity Activity of Platycodon grandiflorum Root and Curcuma longa Root Fermented with Aspergillus oryzae)

  • 강윤환;김경곤;김태우;양춘수;최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111-118
    • /
    • 2015
  • 본 연구는 항비만 소재로 연구된 도라지와 울금 소재를 대상으로 발효 전과 후 3T3-L1 지방세포의 분화 억제효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발효 전 도라지와 울금은 3T3-L1 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Apsergillus oryzae 발효를 통해 만들어진 소재들은 도라지 발효물의 플라보노이드 증가를 제외하면 모든 소재에서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발효 전과 다르게 발효 후 도라지, 울금 및 도라지와 울금 혼합물의 발효물에서 3T3-L1 세포의 분화억제능이 oil red O 염색법을 통해 관찰되었으며, mRNA 발현 확인을 통해 SREBP-1c와 $PPAR{\gamma}$의 발현을 억제하여 분화를 억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Apsergillus oryzae 발효과정이 도라지와 울금의 항비만효과를 개선할 수 있으며, 발효과정을 통해 새로운 항비만 유효성분이 생성되었음을 예측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Apsergillus oryzae 발효공정이 도라지와 울금의 기능을 향상시켜 우수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개발공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발효울금 주정추출물부터 분리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 대한 3T3-L1 세포에서의 지방 형성 억제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50% Ethanol Extract of Fermented Curcuma longa L. in 3T3-L1 Cells)

  • 김지혜;박정진;전우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81-1687
    • /
    • 2014
  • FCEE를 3T3-L1 전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처리한 후, FCEE가 지방의 축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FCEE($200{\mu}g/mL$)를 세포에 처리한 후 Oil Red O 염색법과 AdipoRed 형광염색법을 이용한 지방 축적과 세포내 중성지방 함량을 측정한 결과, 무처리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각각 10.2%, 13.7%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기작을 확인하고자 포도당 유입량과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 처리 시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포도당 유입량이 36.6%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유리 글리세롤 방출량도 8일째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지방세포의 분화과정 중에 FCEE의 처리로 분화가 억제되어 지방구의 형성이 억제되고 배양액으로 배출되는 유리 글리세롤의 총량이 감소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지방세포 분화의 억제에 의한 것인지 판단하기 위해 지방 형성 관련인자의 mRNA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FCEE($200{\mu}g/mL$)의 처리로 AMPK mRNA 발현량은 지방세포와 비교하여 3배 증가하였으며, SREBP-1c, $C/EBP{\alpha}$$PPAR{\gamma}$ mRNA 발현량은 각각 0.6, 0.6 및 0.8배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FCEE는 지방 합성을 억제하는 활성을 보유하고 있는 바, 향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