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PSS statistics(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1,223건 처리시간 0.033초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몰입과 환자안전문화인식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 노숙;김태임
    • 임상간호연구
    • /
    • 제27권1호
    • /
    • pp.12-22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PPSC) on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PSNA)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Methods: Participants were 173 nurses working at five general hospitals in Chungcheong area.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𝑥2 tes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3.0 programs.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OC and PPSC were 3.28±0.50 and 3.85±0.35, respectively. The mean score of PSNA was 4.55±0.41, and PSNA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hospital's safety culture campaigns (t=2.70, p=.008).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patient safety knowledge and attitudes' (β=.27, p=.006) and 'unpunished environment to error' (β=.22, p=.004) as the sub-categories of PPSC were affecting factors on PSNA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6.0% (F=6.40,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 order to promote PSNA among nurses in comprehensive nursing care uni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patient safety-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In addition, the hospital's organizational efforts such as operating safety campaigns and creating an unpunished environment to error should be needed.

제조업의 산업안전보건 관련 의사소통이 안전보건경영 수준에 미치는 영향 - 관리감독자 인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on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 The Number of Supervisors as Mediating Factor -)

  • 김유리;이시영;천미혜;박지영;임미선;이진아;정혜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4-502
    • /
    • 202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nufacturing workpla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s, and to determine the impact of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within these organizations mediated by supervisory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personnel. Methods: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ata targeting 1,486 manufacturing 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ANOVA, and mediator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5.0. Results: The average score on communication levels related to safety and health was 11.20 out of 15. The average score of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was 31.04 out of 40. As a result of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had an effect on the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level (𝛽=0.434), and the number of safety and health supervisors was found to mediate the effect of this variable (𝛽=0.069). Conclusions: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related communication affects the level of health and safety management, and the number of supervisors mediates this influence. Therefore, the role of the supervisor is important in safety and health communi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can be improved through management and supervisors.

학업병행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es in postgraduate courses)

  • 김태은;안정아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7-146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es taking postgraduate courses, an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21 nurses who were enrolled in graduate school master's or doctoral programs in Korea.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30 to August 31, 2021, using an internet-base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IBM SPSS 23.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s of job stress, social support, and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the participants were 2.47 out of 4, 4.06 out of 5, and 3.47 out of 5, respective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the participants according to the degree program (F=-2.76, p=.007) and the length of nursing career (F=4.35, p=.015).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45, p<.001)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r=-.43, p<.001). As a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participants were found to be job stress (β=-.28, p=.003), social support (β=.23, p=.015), and the length of nursing career (β=.19, p=.01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28.0% (F=12.62, p<.001).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rganized efforts are needed to alleviate job stress and to increase social support for nurses in postgraduate courses in order to ultimately improv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제조업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가 근로자 안전행동 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 노현승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50-59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risk assessmen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In addi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factors related to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ystem in the workplace affect the risk assessment of manufacturing sites. Methods: This research i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s 2018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data. The sample for study is 1,967 manufacturing workplac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chi-square tes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25.0). Results: As a result of the multipl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risk assessment had an effect on employee safety behavior (t=4.435, p=<.001). Furthermore, the size of the workplace affected employee safety behavior (t=2.494, p=<.001). In addition, the presenc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organizations affected employee safety behavior (t=4.301, p=<.001). The factors of the safety and health organization (𝑥2=35.245, p=<.001),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mmittee (𝑥2=149.440, p=<.001), and the supervisor (𝑥2=16.472, p=<.001)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increased the possibility of risk assessment in the manufacturing workplaces.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risk assessment is a factor that increases the level of workers' safety behavior in manufacturing workpla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activating risk assessment at manufacturing workplaces.

보조생식술 시술 여성의 난임치료 지속 의도 관련 요인: 횡단적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for Continual Fertility Treatments by the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Procedures: A Cross-Sectional Study)

  • 김미옥;김민경;반민경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9-72
    • /
    • 2024
  • Purpose: This cross-sectional study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for continual fertility treatments among women undergo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Methods: A total of 197 women were recruited through convenience sample from fertility hospitals in Gyeonggi-do and Busan, South Korea.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orporating measures of uncertainty; Depression Anxiety Stress Scales; Fatigue Severity Scale; Coping Scale for Infertility-Women; spousal support; treatment environment; and intention for continual fertility treatment.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s,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26.0. Results: As many as 70.6% of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 intention for continual fertility treatmen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factors such as uncertainty (odds ratio [OR] = 0.44, 95% confidence interval [CI] 0.20~0.95), active coping (OR = 4.04, 95% CI 1.11~14.71), treatment environment (OR = 2.77, 95% CI 1.26~6.07), and the duration of marriage (OR = 2.61, 95% CI 1.24~5.49)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this intention. Conclusion: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significance of uncertainty management, having proactive coping strategies, having supportive treatment environments, and considering the duration of marriage concerning women's intention for continual fertility treatment in the context of ART.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extend to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aimed at providing crucial support for women undergoing ART and seeking to continue their infertility treatment.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대처, 가족응집력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K시와 Y시에 거주하는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 (The Effects of Stress Management and Family Cohesion on Middle-aged Women's Happiness Utilizing the SPSS Program - Focusing on middle-aged women living in Cities K and Y -)

  • 신소정;고재욱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3
    • /
    • 2018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대체와 가족응집력이 행복감과의 관계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하였다. 연구대상은 K시와 Y시에 거주하는 40세에서 60세 이하의 중년여성 32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18.0과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령은 40세 49세가 59.3%, 기혼이 82.7%(267명), 학력은 고졸 이하가 63.2%(204명), 종교는 77.6%(250명)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 가족응집력, 행복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트레스 대처, 가족 응집력 및 행복감의 관계는 모두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여성의 행복감에 가족응집력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스트레스 대처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량은 28.2%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중년여성의 행복한 삶의 질 함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다기능단속카메라 수집 자료를 활용한 과속운전 특성 분석 (Analysis of Speeding Characteristics Using Data from Red Light and Speed Enforcement Cameras)

  • 박정순;김중효;현철승;주두환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9-42
    • /
    • 2016
  • 과속은 교통안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요인이며, 사고 심각도에 영향을 끼칠 뿐만 아니라 사고 위험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 본 연구는 청주시의 신호교차로에 설치된 36개 다기능단속카메라(신호 및 과속)에서 수집한 27,968건의 속도위반 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이 자료에는 위반자의 3년간 위반이력을 포함한 다양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들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속도위반과 인적, 차량 및 도로 환경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으로 분석방법은 통계프로그램 SPSS 20의 기술통계와 이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속도위반은 지방부와 도시외곽부 지역에서 많이 일어났다. 둘째, 속도위반 운전자의 약 25.6%는 제한속도 대비 20km/h 이상의 심각한 수준의 과속운전을 한다. 셋째, 과속운전자와 정상속도 운전자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는 교차로의 공간적 위치와 운전자의 성별 및 연령이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에 의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모형이 개발되었다(Hosmer and Lemeshow test : 11.586, p-value: 0.171).

경호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에 관한 연구 (The Study about the Effect on Self-effectiveness of a Course Decision of Duty Stress in the College Students Related to Guard Major Study - Centering Around Gwang-ju and Jeonnam Region -)

  • 김평수;김공;서석윤;김영남
    • 시큐리티연구
    • /
    • 제31호
    • /
    • pp.47-71
    • /
    • 2012
  • 본 연구는 경호관련 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11년 4월 광주 전남 지역 대학교에 재학 중인 경호관련학과 학생들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표본추출은 무작위표본추출, 설문조사는 자기평가기입법을 실시하여 총 171(85.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Version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들 간의 Pearson's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취업스트레스의 가족환경스트레스, 학업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목표 선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환경은 정(+), 학업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직업정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스트레스의 학교환경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에 통계적으로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취업스트레스의 성격스트레스, 취업불안스트레스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은 부(-), 취업불안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정신장애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in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 송승연;이용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765-775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독립변수를 개인심리적요인, 사회적요인,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구분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자료는 2017년 보건복지부 연구, '지역사회 정신장애인 현황조사'에 참여한 정신장애인 969명이다. 분석방법은 SPSS 23.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심리적 요인에서는 우울이 높을수록, 정신건강자신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에서는 미등록장애 집단일수록, 폭력 및 차별 경험에 많이 노출될수록,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의 자살생각에 대한 설명력은 26.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도출한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에 관한 실천적·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는 정책과 개입 프로그램을 강구하는데 있어 개인심리적요소에만 초점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요소를 같이 평가하고 고려해야 한다. 둘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예방 정책을 강구하는데 있어, 폭력과 차별 경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권익옹호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정신장애인의 자살생각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신장애등록 제도를 개편하여 정신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당사자들이 제도 안으로 포섭될 수 있는 정책적 대안을 강구되어야 한다.

청·장년층 전자담배흡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자료 활용 (Factors Influencing on Self Rated Health of Young and Elderly Community E-cigarette Smokers: The Community Health Survey 2019)

  • 손기연;박주아;남미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31-341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장년층 전자담배흡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019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성인 19-50세의 전자담배흡연 청·장년층 지역주민에 포함되는 2,607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26.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분석 모듈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χ2 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청·장년층 전자담배 흡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 양호군은 90.2%, 주관적 건강상태 불량군은 9.8%로 나타났으며, 전자담배흡연자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Model I에서는 성별(p=.006), 연령(p=.036), 소득수준(p=.044), Model II에서는 신체활동(p=.033), 스트레스(p<.001)로 나타났다. 즉, 청·장년층 전자담배 흡연자에게 전자담배 흡연의 유해성에 대한 정확한 정보제공으로 자신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한 올바른 인식개선이 필요하며, 이들의 금연을 돕기 위한 운동 및 스트레스 관리 등의 맞춤형 건강관리 간호중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